• 제목/요약/키워드: 구개인두 부전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8초

상부기저형 인두피판을 이용한 구개인두 부전증의 외과적 처치 (SURGICAL MANAGEMENT OF VELOPHARYNGEAL INCOMPETENCE USING SUPERIORLY BASED PHARYNGEAL FLAP)

  • 안재진;장세홍;박지희;우성도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3권3호
    • /
    • pp.338-345
    • /
    • 1991
  • 선천성 혹은 술후성 기형으로 발생하는 구개인두 부전증은 구강과 비강사이의 부적절한 폐쇄기능으로 인해 과비음 등의 발음장애를 초래한다. 그 원인으로는 구개파열, 인두비대증, 편도선절제술후의 구개와 인두의 비율 부조화, 구개인두 괄약근의 기형, 구래부전마비, 연구개 결손, 상악골 전진 절단술 등이 있다. 구개인두 부전증의 진단에는 임상적, 방사선학적 검사와 더불어 섬유광학 비내시경을 이용한 구개인두의 기능검사가 강조된다. 수술방법으로는 구개성형술, 인두증강술, 인두성형술, 인두피판술 등이 있다. 근자에는 상부기저형 인두피판술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Hogan등이 개선시킨 술식에 의하면, 넓고 긴 피판을 얻을 수 있고 피판의 Raw surface를 연구개의 비강측 점막으로 덮을 수 있으며 측방 통로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저자등은 본인에 내원한 구개인두 부전증 환자 7례에서 상부기저형 인두피판을 이용하여 구강과 비강 사이의 측방 통로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서 발음을 개선시켜 본 바 양호한 임상성적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구개인두 기능부전을 갖는 구개열 환자에서 폐쇄장치를 이용한 보철 치료 증례 (Palatal obturator restoration of a cleft palate patient with velopharyngeal insufficiency: a clinical report)

  • 허유리;김종욱;이경제;정재헌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53-360
    • /
    • 2013
  • 구순 구개열은 구강 악안면 부위에 발생하는 선천적 기형이다. 정상적인 연구개는 휴식 시에는 구강과 비강을 연결해 주고, 연하나 특정 발음 시에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구강과 비강을 분리하는 구개인두 폐쇄 운동을 한다. 구개인두 기능부전을 갖는 구개열 환자에서는 이 운동이 불완전하여 저작, 연하, 발음 시에 어려움을 겪는다. 이때, 구개 결손부를 폐쇄하기 위해 사용하는 보철물을 구개 폐쇄장치라고 한다. 구개 폐쇄장치는 구강과 비강을 분리하여 발음, 저작, 연하, 심미적 기능을 회복한다. 본 증례의 환자는 구개인두 기능부전을 갖는 선천적 구개열 환자로 구개인두 폐쇄를 이루기 위하여 모델링 콤파운드와 점막 조정재를 이용한 기능인상 과정을 시행하여 제작한 구개 폐쇄장치를 장착하여 기능적인 면과 심미적인 면에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구개범인두부전증의 치료성적 (RESULT OF MANAGEMENT FOR VELOPHARYNGEAL INSUFFICIENCY)

  • 진성민;최종욱;정광윤;유홍균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1년도 제25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22-22
    • /
    • 1991
  • 구개열 및 구개근의 기능부전 등에 의한 인두문(velopharyngeal valve)의 폐쇄부전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구개범인두부전증(velopharyngeal insufficiency)은 흔히 과비성으로 알려진 구음장애를 나타내는 병적현상으로 Von Langenbeck(1861)이 구개 외측 점막성 골막편을, Smith(1895) 와 Ganzer(1920)는 각각 구개 4-판 및 3-판 점막성 골막편을 이용한 수술적 치료법을 통하여 구음장애를 해결하여 주려하였고, 그외 인두후벽의 증대 및 언어보조기 등을 이용한 방법으로 구음장애를 해결하여 주려는 연구가 최근까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만족할 만한 성적을 거두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에 저자들은 구개범인두부전증에 대한 수술적 치료후 증상의 호전정도를 관찰하고, 술후에도 증상의 호전을 보이지 않는 환자의 음성재활에 대한 향후 방향제시에 도움을 주고자 1987년 1월부터 1991년 1월까지 과비성을 주소로 본원 이비인후과에 내원하여 구개성형술을 시행받고 3개월 이상 추적 관찰이 가능하였던 14례의 환자를 분석한 결과 구개범인두부전에 대하여 1차 수술을 시행받은 14례중 5례(36%)에서 정상적인 구음이 가능하였으며 실패한 9례중 5례에 대하여는 재 수술을 시행하였으나 만족할 만한 음성회복을 거두지 못하여 그 원인과 저자들의 술식을 분석 검토함으로써 구개범인두부전증의 치료에 대한 보다 효율적인 방법을 모색하고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일측성 성대마비와 구개인두부전을 초기 증상으로 내원한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1 예 (A Case of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with Unilateral Vocal Fold Palsy and Velopharyngeal Insufficiency)

  • 박경호;김동현;조승호;김형태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1-53
    • /
    • 2003
  •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Is an unusual pattern of distal muscular atrophy with permanent bulbar sign. Vocal fold paralysis and velopharyngeal insufficiency(VPI) due to soft palate paralysis Is occasionally associated with distal muscular atrophy. Recently we experienced a case of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whose symptom was initially expressed with hoarseness and VPI. So we report a case with review of literature.

  • PDF

연구개내근성형술 및 서골피판을 동반한 2개 점막성골막판을 이용한 완전 양측성 구개열 환자의 치험례 (Case Report: Repair of Complete Bilateral Cleft Palate Using Two-Flap Palatoplasty with Intravelar Veloplasty and Vomer Flap)

  • 이의룡;서병무;정필훈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3-40
    • /
    • 2009
  • 구개열이 있으면 언어장애 음식섭취의 어려움, 구개범장근의 기능장애로 인한 이관의 개폐기능부전으로 중이의 액체고임, 부정교합등 여러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구개성형술은 갈라진 경구개와 연구개를 막아주며 동적인 연구개를 만들어 주어 충분한 구개인두폐쇄를 하여 정상적 발음을 하는데 그 목표가 있다. 그 외에도 음식물을 정상적으로 섭취할 수 있고 중이염 및 난청을 일으킬 수 있는 기능을 개선시키고 정상적인 교합을 만들어주는데 있다. 위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지금까지 많은 수술 방법이 개발되었고 개선되어 왔다. 하지만 아직도 가장 효과적인 수술방법, 수술시기에 대하여 논쟁거리가 되고있다. 언어를 분명하게 하려면 연구개는 인두벽에 닿기 위해 후상방으로 올라가고 인두의 후벽과 측벽은 올라온 연구개에 닿으려고 수축함으로써 비인두와 구인두 사이의 공간이 좁아지게 됨으로써 가능하다. 따라서 발음이 정확하려면 비인두괄약(nasopharyngeal sphincter)을 합리적으로 만들어주어 비인두와 구인두를 분리해 주어야 한다. 비인두괄약을 조성해 주는 방법에는 구개범거근이 괄약기능을 할수 있도록 연구개내근성형술(intravelar veloplasty)을 시행하여 양편구개범거근을 횡위로 옮겨 연결하여 올림근 걸이(levator muscle sling)을 만드는 방법, 구개 연조직을 후방으로 밀어 구개 길이를 연장하는 방법, 인두 피판술을 하는 방법등이 있다. 구개범거근의 주행방향과 부착이 잘못되어 있는 것으로, 정상에서는 구개범거근이 횡으로 주행하여 연구개의 정중봉선(median raphe)에 부착하는 데 반해 구개열에서는 구개범거근이 전방으로 주행하여 개열 가까이에 있는 구개열 후연과 골선 개열연에 부착되어 있고 구개인두근과 구개수근이 연구개를 그냥 지나쳐직접 구개열 후연에 붙는다. 저자등은 완전 양측성 구개열을 연구개내근성형술 및 서골피판을 동반한 2개 점막성골막판을 이용한 구개성형술로 수술을 시행하여 다소의 지견을 얻었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두 마리 개에서 완치가 어려운 구개 종양의 완화 수술 적용 증례 (Palliative Surgery in Two Dogs with Non-Curative Palatal Tumors)

  • 윤헌영;이정하;신동욱;박희명;정순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25-429
    • /
    • 2014
  • 식욕부진, 호흡부전, 또는 비출혈을 보이는 두 마리 개가 내원하였다. 신체검사에서 호흡곤란, 개구호흡 및 커다란 구개 종양을 확인하였다. 신체검사 중 2 번 증례에서 호흡부전으로 인한 심정지가 발생하였고 심폐소생술과 산소 공급을 통해 안정화 되었다. 1 번 증례의 CT 촬영에서 경구개 연구개를 포함하는 구강 인두, 인두 내 입구, 인후두 부위의 종양을 확인하였다. 연하곤란 및 호흡부전 개선을 위해 보호자 동의 하에 완화 수술을 결정하였다. 종양 제거 후 발생한 결손 부위 재건을 위해 구강 내 점막을 사용하여 회전 및 전진 피판술과 양측 90o 자리바꿈 피판술을 1 및 2 번 증례에 각각 적용하였다. 조직 검사 결과, 두 마리의 개 모두에서 무멜라닌 색소성 흑색종이 진단되었다. 수술 후 7 일째 두 마리 모두에서 정상 연하와 호흡이 확인되었다. 수술 후 4 주째 1 번 증례의 수술 부위에서 재발된 종양이 관찰되었다. 보호자가 추가적인 치료를 원하지 않았고, 연락 두절로 인하여 수술 후 2 개월 이후의 확인은 불가능하였다. 수술 후 3 주째 2 번 증례의 신체검사 및 방사선 촬영에서 국소적인 재발 및 전이는 확인 되지 않았다. 수술 후 7 주째 유선상으로 확인한 결과, 2 번 증례에서 원인불명의 갑작스러운 사망이 확인되었다.

Pierre-Robin Syndrome 1례 (A Case of Pierre - Robin Syndrome)

  • 천만희;박옥희;이승우;조중환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3년도 제17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8.1-18
    • /
    • 1983
  • 1923년 Pierre-Robin이 소하악증, 설하수증 및 고궁구개(high-arched palate)혹은 구개 파열의 3주징을 처음으로 기술하였다. 기도장애가 자주 발생하고, 신속하며 적절한 치료를 필요로 한다. 이 증후군은 출생아 5만명 중 1명 정도로 드물게 발생한다. 이 증후군의 원인은 불명확하지만 하악골발달의 일차적 부전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 소하악증으로 인해 혀의 기저부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인두후벽에 접근하여 기도폐쇄의 증상이 발생하며 이는 영아가 앙와위를 취할 때 악화된다. 환자를 복와위로 유지시킴으로서 경한 기도폐쇄의 문제들은 해결되지만, 섭식장애가 있을 경우에는 기도폐쇄가 악화되므로 빨리 설고정술을 실시하는 것이 좋으나 기관절개술은 최대한 피하는 것이 좋다. 설고정술에는 Douglas 수술법, Kirschner wire 삽입법 및 Duhamel 봉합법 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최근 호흡곤란 및 섭식장애를 주소로 내원한 출생 2개월 된 남아에서 소하악증, 설하수증 및 고궁구개 (high-arched palate)를 확인하였으며 Duhamel 봉합법으로 기도폐쇄의 증상이 호전되지 않아 기관절개술을 시행한 후 관찰 중인 이 환자를 Pierre-Robin Syndrome으로 생각하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후비공 폐쇄 2례 (2 Cases of Bilateral Choanal Atresia)

  • 심강석;이석용;문태용;윤강묵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3년도 제17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8.3-19
    • /
    • 1983
  • 후비공 폐쇄는 협비막의 과열부전, 협인두막의 지속적 잔존, Olfactory pit의 발생시 불완전 등의 선천성 원인과, 매독디프테리아, 수술 후 또는 외상 등으로 오는 후천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선천성인 경우에는 두부, 심장, 소화기 계통에 여러 가지 기형이 동반되기도 한다. Johann Roedere (1755년)은 이 질환의 예를 최초로 보고하였으며 Emmert (1853년)가 골성 폐쇄를 트로카를 이용하여 처음 수술을 시도한 이래 , 비강내, 구개, 상악동, 그리고 비중격을 통한 수술 방법이 제시되어 왔으나 이중 경주개 경유법이 술후 재협착 빈도가 가장 적고 또 수술시 폐쇄부의 확인이 용이하여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저자들은 선천성 양측 부분적 골부 후비공 폐쇄를 보인 11세 남아와 선친성 우측 완전 골막부 후비공 폐쇄와 좌측 부분적 골막부 후비공 폐쇄와 좌측 부분적 골막부 후비공 폐쇄를 보인 9세 여아에서 경구개 경유법으로 치험하였기에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Apert syndrome : 증례보고 (APERT SYNDROME : CASE REPORT)

  • 박광선;박호원;이주현;서현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539-547
    • /
    • 2008
  • Apert syndrome은 관상봉합의 조기유합에 의한 첨두증(acrocephaly)과 합지증(syndactyly)이 함께 나타나는 선천성 유전 질환으로서, 1906년 Apert에 의해 보고된 증후군이다. 약 $65,000{\sim}160,000$ 당 1명꼴로 발생되며, FGFR2(fibroblast growth factor receptor 2)의 돌연변이로 생겨난다고 알려져 있고, 상염색체 우성 유전을 한다. 임상적으로 첨단두증(acrobrachycephaly)을 보이고, 특징적으로 손과 발의 합지증을 보이며, 높은 이마와 평평한 뒤통수, 후퇴된 중안면부, 안구돌출, 시력이상, 양안격리증, 밑으로 쳐진 안검열, 상악골 형성부전, 상대적인 하악 전돌의 양상 등을 보인다. 감소된 비강인두와 좁아진 후비공으로 인한 구호흡과 전방부 개교를 보이며, 이완시에 입술의 모양은 사다리꼴 형태를 보인다. 중이염이 흔하고, 청각장애를 유발하기도 하며, 정신지체가 높은 비율로 나타난다. 특징적인 구내소견으로 연구개열 또는 구개수열과 가성 경구개열, V자 모양의 악궁과 치열의 총생 등이 관찰되며, 전치부 개방교합과 구치부 교차교합을 동반한 Class III 부정교합을 보인다. 본 증례는 강릉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6세 3개월의 남아로 충치 치료를 받고 싶다는 것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이 환자에서 보이는 Apert syndrome의 특징적인 치과적 소견에 대해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