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강 내 산도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9초

한국산 야생 오소리에서 분리한 오소리구충 (Tetragomphius procyonis)의 광학 및 주사전자현미경 소견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of Tetragomphius procyonis (Ancylostomatoidea) from Wild Badger)

  • 손화영;오윤희;김현철;박배근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79-385
    • /
    • 2009
  • 계룡산국립공원으로부터 기증된 야생오소리의 췌장에서 오소리구충 (Tetragomphius procyonis)을 분리하여 광학 및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그 형태를 관찰하였다. 충체의 길이는 수컷 15.0-18.8 mm, 암컷 21.5-25.5 mm에 달하였다. 암수 모두 구강 복면 변연에 한 쌍의 절판과 배면에 하나의 절판이 존재하였다. 컵모양의 구강 기저부에 한쌍의 분기된 아복치 및 한쌍의 아배치가 존재하였다. 충체 전체에 가로 줄무늬가 존재하였고 경부유두 선상의 복측 중앙에 배설공이 개구하였다. 가늘고 긴 교접자 (8.7-9.3 mm)는 그 끝이 서로 융합되어 있었다. 교접낭은 잘 발달되어 있었으며 잘 발달된 배늑은 평행으로 주행하였다. 음문은 충체 후방 4/5 부위에 개구하였고 꼬리에는 미돌기 및 미유두가 존재하지 않았다. 배구 및 부교접자가 존재하지 않았으며 음문은 체후방 4/5에 개구하였다. 자궁내의 충란은 16 세포기였고 직장내의 충란은 32 세포기였으며 충란의 크기는 77.48-83.45 ${\times}$ 50.75-63.38 ${\mu}m$였다.

시판 주스가 법랑질 표면에 미치는 변화에 대한 융복합적 비교 (Convergent Comparison of the Change in Commercial Juices on the Enamel Surface)

  • 김유린;최유리;최미숙;남설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153-159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시판되고 있는 청포도 주스와 석류 주스의 노출 시간에 따른 치아 표면 변화에 대한 위험성을 융복합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발치된 건전 치아를 사용하였으며, 접촉시간에 따른 구분으로 총 8그룹으로 대조군과 10 ml의 시판되는 청포도 주스와 석류 주스를 1, 3, 5, 15, 30, 60, 120분 적용한 실험군 7그룹으로 나누었다. 실험 주스의 pH가 측정되었고 표면의 변화와 미세 형태는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청포도 주스는 3.9±0.02, 석류 주스는 3.5±0.01로 제조사가 명시한 주스의 pH 범위보다 청포도 주스는 약간 높았지만 석류 주스는 낮았다. SEM을 통한 결과에서도 대조군과 비교하여 치아 표면의 손상이 생겼다. 접촉 시간이 증가될수록 표면의 손상은 증가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음용 횟수나 구강 내 저류 시간을 줄이고, 치과 임상에서 치아 침식증 환자에게 질환의 진행을 낮출 수 있는 과일 주스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Fusobacterium nucleatum의 유황화합물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FACTORS AFFECTING THE PRODUCTION OF SULFUR COMPOUNDS BY FUSOBACTERIUM NUCLEATUM)

  • 오인근;박은혜;오종석;양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3-40
    • /
    • 2003
  • 구취를 일으키는 구강 내 혐기성 세균 일종인 Fusobacterium nucleatum은 유황 성분이 함유된 배지에서 $H_2S$와 같은 휘발성 유황화합물을 생성하고 철 성분과 결합하면 FeS를 형성한다. 구강내 여러 인자에 의하여 Fusobacterium nucleatum에 의하여 생성되는 유황화합물 농도가 달라진다. 본 연구에서는 Fusobacterium nucleatum의 유황화합물 생성시 영양 물질과 pH의 영향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배지에 sodium thiosulfate가 1.0% 되도록 첨가하면 배지의 흡광도는 $0.817{\pm}0.032$로, L-cysteine hydrochloride를 0.05% 되도록 첨가하면 $1.297{\pm}0.024$가 되었다. 2. 배지에 자일리톨을 첨가하면 배지의 흡광도는 $0.799{\pm}0.032$인데 반하여 포도당과 병합으로 첨가하면 $1.775{\pm}0.003$으로, 과당과 병합으로 첨가하면 $1.648{\pm}0.022$로 증가하였다. 3. 배지의 pH가 5.5 이상이면 휘발성 유황화합물 농도는 20,000 ppb이상이었다. 배지의 흡광도는 배지 내 L-cysteine hydrochloride 농도가 높을수록 높았으며, 배지의 pH가 산성으로 갈수록 낮았다. 4. 배지 위에 증류수나 식염수가 있을 때, 그리고 그 양이 적을수록 휘발성 유황화합물 농도는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Fusobacterium nucleatum에 의한 유황화합물 생성 이 자일리톨과 산에 의하여 억제되었다.

  • PDF

HS-1200과 cisplatin의 병용처리가 사람구강암세포에 미치는 세포자멸사 효과에 대한 연구 (Apoptotic Effect of co-treatment with HS-1200 and Cisplatin on SCC25 Human Tongue Squamous Cell Carcinoma Cell Line)

  • 김덕한;김인령;박봉수;안용우;정성희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8권3호
    • /
    • pp.221-233
    • /
    • 2013
  • 담즙산은 지방의 흡수와 콜레스테롤의 항상성을 조절하는 유전자의 전사에 관여하는 필수 콜레스테롤의 생성물이다. 담즙산 합성유도체인 HS-1200이 여러 가지 암세포에서 세포자멸사(apoptosis)를 유도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사람혀 편평세포암종세포(SCC25 cells)에서 담즙산 합성유도체인 HS-1200과 대표적인 항암제인 cisplatin의 병용처리 후 세포자멸사 증가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HS-1200과 cisplatin의 병용처리가 단독처리에 비해서 효과적인 세포생존율 감소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MTT법을 시행하였고, 세포자멸사의 유도와 증가를 알기 위해서는 DNA 전기영동법, Hoechst 염색법, DNA hypoploidy법 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세포자멸사에 관계하는 단백질의 발현 변화와 세포내에서의 이동을 밝혀내기 위해서 Western blot 분석과 면역형광 염색법을 수행하였다. 더 나아가서 proteasome 활성도와 사립체막 전위 변화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HS-1200과 cisplatin을 병용처리한 SCC25 세포에서 핵의 농축, DNA분절, MMP와 proteasome 활성도의 감소, Bax의 증가와 Bcl-2의 감소, DNA양의 감소, cytochrome c의 세포질로의 유리, AIF와 DFF40(CAD)의 핵으로의 이동, caspase-9, caspase-7, caspase-3, PARP 그리고 DFF45(ICAD)의 활성화와 같은 다양한 세포자멸사 증거를 보였다. 반면에 상기 물질들에 단독처리 된 SCC25 세포에서는 세포자멸사 현상이 거의 없었다. 24시간 동안 $25{\mu}M$의 HS-1200, $4{\mu}g/ml$의 cisplatin 을 각기 단독처리 한 결과에서는 세포자멸사를 거의 유도하지 못했으나, 병용처리한 결과에는 아주 탁월하고 명확한 세포자멸사의 유도를 보였다. 그러므로 본 실험결과는 HS-1200과 cisplatin 의 병용요법이 사람구강편평세포암종 환자를 위해 새로운 치료전략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소목으로부터 분리된 Brazilin이 Streptococcus mutans ATCC 25175의 생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Brazilin from Caesalpinia sappan L. on the Growth of Streptococcus mutans ATCC 25175)

  • 권현정;한만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09-215
    • /
    • 2012
  • 본 연구는 소목(C. sappan L.)으로부터 분리된 Brazilin이 S. mutans의 생장 및 배양 환경 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Methanol에 의해 분리된 소목의 수율은 총 4.8%로 나타났으며, 여러 분획물 가운데 brazilin이 포함된 에틸아세테이트(EtOAc) 분획물에서 3.94%로 가장 높은 수율을 보였다. 2. 소목으로부터 분리된 brazilin의 S. mutans 생장에 대한 효과는 대조군이 24시간에서 0.816으로 최대 생장률을 보였으나, brazilin (0.3 mg/ml, 1 mg/ml, 3 mg/ml)을 투여한 배지는 32시간 만에 최대생장을 보였다. 3. S. mutans를 16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 내 pH를 측정한 결과 대조군은 5.25이었으며, brazilin (0.3 mg/ml, 1mg/ml, 3 mg/ml)을 투여한 배지는 각각 pH 7.00, pH 7.01, pH 6.98로 유지하여 산 생성을 억제하였다. 4. S. mutans를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 내 탄수화물 변화량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보다 소목의 brazilin이 투여된 배지의 탄수화물의 소모량이 적었다. 5. S. mutans를 24 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 내 단백질 변화량을 측정한 결과, 최대 생장량을 보인 24 시간에서 대조군은 2.46 mg/ml 이었으며, 소목의 brazilin이 투여된 배지는 2.54 mg/ml 이었다. 6. S. mutans의 다당류 생성에 미치는 효과는 대조군의 경우 배양 8 시간에 300 mg/100 ml을 생성하였으나, 소목의 brazilin이 투여된 배지에서는 200 mg/100 ml을 생성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소목의 EtOAc 분획에 존재하는 brazilin은 배지 내 S. mutans 균주의 생육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향후 구강 내 우식원성 세균의 억제물질로 활용을 제시한다.

찹쌀가루 첨가량에 따른 산약병의 기호성 및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Sensor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nyakbyung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of Glutinous Rice Flour)

  • 윤숙자;장명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591-594
    • /
    • 1999
  • 찹쌀가루의 첨가수준을 0%, 10%, 20%, 30%, 40%, 50%로 달리하여 제조한 산약병의 기계적 측정 및 관능적 특성을 통해 품질평가를 하였다. 산약병의 수분함량은 찹쌀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수분함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의 것을 L 값은 찹쌀가루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였으나, a 값과 b 값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는 마가루에 함유된 단백질 함량의 영향 및 마가루 자체의 색으로 인해 마를 첨가할수록 육안으로 보기에도 검어지며, 황색도 및 적색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Two bite compression test에 의한 텍스쳐 특성치를 살펴보면, hardness, gumminess, chewiness, cohesiveness 등은 찹쌀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springiness는 각 시료간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마가루의 함량이 높을수록 조직이 잘 결착되며 점성을 띄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관능검사 결과에서는 항목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는데, 색의 것은 10% 첨가한 것을, 향미는 20% 첨가한 것을, 맛은 40% 첨가한 것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 내에서의 조직특성을 나타내는 adhesivenes와 consistency 역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는데, adhesiveness 및 consistency의 경우 40% 첨가한 것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마의 함량이 높을수록 점성이 증가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떡을 먹을 때 이에 달라붙어 점착성이 큰 것보다는 부드러운 것을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 Overall acceptance의 경우, 40% 첨가한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찹쌀가루가 40% 정도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 PDF

단클론항체를 이용한 타액 내 Streptococcus mutans 수준의 측정 (DETECTION OF SALIVARY STREPTOCOCCUS MUTANS LEVELS USING MONOCLONAL ANTIBODIES)

  • 김추성;김재곤;양연미;백병주;이경열;김미아;임수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86-192
    • /
    • 2010
  • Streptococcus mutans는 구강 내에 상존하는 치아우식증의 주요 원인균으로서 치면의 피막에 부착 후 glucan을 형성하여 세균의 군락을 이루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자당대사를 통하여 유기산을 생성함으로써 법랑질을 탈회시킨다. 치아우식 활성도의 평가를 위한 단클론항체를 이용한 방법은 진료실에서 빠른 시간 내에 간편하게 타액에 존재하는 Streptococcus mutans의 정량분석이 가능한 방법이다. 이 연구는 3세에서 6세 사이의 어린이 15명을 대상으로 자극성 타액을 채취하여 시판 중인 단클론항체를 이용한 Salivacheck$^{TM}$ Mutans, strip을 이용한 Dentocult$^{(R)}$-SM 그리고 MSB배지 배양법으로서 타액 내 Streptococcus mutans를 측정한 후 그 값을 우식경험치아수와 비교하여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Saliva-check$^{TM}$ Mutans를 이용한 방법은 Dentocult$^{(R)}$-SM과 MSB배지법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p<0.05), MSB배지법은 어린이의 우식경험치아수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다(p=0.34).

한국산 놀래기과(科) 어류 2미기록종 (New Records of the Labrid fishes, Cheilio inermis and Labroides dimidiatus from Korea)

  • 고정락;김용억;명정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7
    • /
    • 1995
  • 1993년 4월 부터 1993년 8월중 제주도에서 놀래기과(科), Labridae 어류 가운데 Cheilio inermis(1개체)와 Labroides dimidiatus(2개체)가 채집되어 표본의 계수, 계측형질을 기재하고 한국 미기록종으로 보고하고자 한다. Labroides dimidiatus는 Cuvier와 Valenciennes(1839)에 의해 Cossyphus dimidiatus로 기재된 후 Randall에 의하여 1958년에 Labroides속(屬)으로 재검토되었다. 특히 이들 어류는 다른 어류의 아가미나 구강내 또는 외부에 기생하고 있는 기생충을 포식하는 습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어 본 종의 한국명은 "청줄청소놀래기"로 명명한다. Cheilio inermis는 Forssk${\aa}$l(1775)에 의해 처음 기재되었고 놀래기과(科) 어류의 특징인 측선이 체측의 말단부에서 끊어지지 않고 연결되어 있으며 특히 체장이 체고의 6배 이상으로 상당히 신장되어 있는 점에서 다른 놀래기과(科) 어류들과 잘 구별된다. 본종의 한국명은 "꼬치놀래기"로 명명한다.

  • PDF

작은대칭이, Anodonta arcaeformis flavotincta의 유생 발생 중 숙주어류내에서 글로키디움 유생의 피낭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Glochidial Encystment in Host Fish during the development of Anodonta arcaeformis flavotincta)

  • 박갑만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권1호
    • /
    • pp.81-87
    • /
    • 1998
  • 한국산 작은대칭이 (Anodonta arcaeformis flavotincta)의 유생발생 중 유생(glochidium)을 숙주어류인 붕어(carassius auratus)에 감염시켜 유생의 피낭형성과정(부착부위, 부착후 탈락가지의 시기)을 알아보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유생들은 30분내에 숙주어류의 니트러미, 구강 그리고 아가미에 부착되었다. 이 연구에서 유생이 부착된 숙주어류의 지느러미를 시간별로 관찰하였다. 유생의 부착률은 숙주어류의 가슴지느러미,꼬리지느러미, 배지느러미에 각각 30%, 22%, 17%였다. 피낭형성과정은 천천히 진행되었다. 1차 피낭형성은 24시간에서 27시간째에 이루어졌고, 그리고 5일 내지 6일째 유생은 숙주조직의 상피세포로 완전히 덮였다. 유패의 탈락과정은 숙주에 감염시킨후 8일째에 관찰되었다. 유생의 대부분은 15일 이내에 숙주어류의 피낭으로부터 탈락되었다. 유생이 숙주에 부착되기 전과 숙주어류의 피낭으로부터 탈락된 유패의 크기는 변화가 없었다.

  • PDF

부식된 도재와 광중합성 수지와의 접합강도에 관한 실험적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BOND STRENGTH OF THE LIGHT ACTIVATED COMPOSITE RESIN BONDED TO THE ETCHED PORCELAIN)

  • 이준규;계기성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63-378
    • /
    • 1987
  • 도재소부전장관에서 금속이 노출되지 않고 도재만이 파절시, 구강내에서 직접 행할 수 있는 심미적 수복 방법으로서 복합성 수지를 이용한 수복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는데 본실험의 목적은 도재와 광중합성 수지간의 접합강도를 비교 측정코저 함에 있다. 본 실험에서는 주사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도재의 부식액 (5% 불화수소산용액, Excelco's porcelain etching gel) 및 부식 시간(2.5분, 5분, 10분, 20분)에 따른 부식양상을 먼저 관찰하였다. 그다음 각기 다른 시간에서 부식 처리된 도재와 대조군으로서 미부식 처리된 도재에 광중합성 수지를 부착시킬시, 첫째 Silane coupling agent(Scotch-Prime)도포후 광중합성 수지를 결합 시켰고 둘째 bonding agent(Scotch bond)도포후 광중합성 수지를 결합시켰으며 셋째 Silane coupling agent(Scotch-Prime)에 bonding agent(Scotch bond)를 도포후 광중합성 수지로 결합 시킨후, 인장강도 측정기 (Shimadzu universal testing machine)를 사용하여 결합력을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부식처리된 도재가 미부식 처리된 도재 보다 결합력이 높았다. (p<0.05, P<0.001) 2. 부식 처리된 도재나 미부식 처리된 도재에 있어서 silane coupling agent 도포후 bonding agent로 처치한 경우 가장 결합력이 높았으며 그다음 silane coupling agent로 처치한 경우, bonding agent로 처치한 경우의 순이었다. 3. 도재부식 시간의 증가에 따른 결합력의 차이는 5% HF용액으로 부식 처리된 도재와 Excelco로 부식 처리된 도재에 있어서 5분 정도 까지는 결합력의 증가를 보였으나 그 후에는 결합력에 있어서 거의 증가하지 않는 양상을 보였다. 4. Excelco로 부식 처리된 도재와 5% HF 용액으로 부식처리된 도재간의 결합력 차이에 있어서 bonding agent만으로 처치한 경우에는 두결합력 사이에 서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P>0.5) silane coupling agent만으로 처치한 경우와 silane coupling agent 도포후 bonding agent로 처치한 경우에는 두결합력 사이에 서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P<0.001) 5. Excelco로 부식처리된 도재가 5% HF 용액으로 부식처리된 도재보다 부식정도가 더 현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