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강보건지수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21초

구강건강상태에 따른 삶의 질 평가 (Assessment on Quality of Life: Based on Oral Health Conditions)

  • 김지화;강선희;정미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4873-4880
    • /
    • 2010
  • 본 연구는 환자가 느끼는 자신의 주관적 구강보건영향지수(OHIP-14; Oral Health Impact Profile-14)와 주관적 전신건강지수(THI; Todai Health Index)를 사용하여, 구강보건이 전신건강과 삶의 질(QOL; Quality of Life)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구강질환 예방과 구강보건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지역사회주민의 건강과 삶의 질을 증진하고자 한다.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 따른 OHIP를 분석한 결과 자가 인식 구강 건강상태는 전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총 점수가 건강한 편이 4.33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 따른 THI를 분석한 결과 자가 인식 구강건강상태는 전 영역에 걸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총 점수에서는 매우건강 한 자가 3.83으로 점수가 높았다.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 따른 QOL을 분석한 결과 자가 인식 구강건강상태에서는 사회적 영역을 제외한 전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총 점수는 건강한 편이 3.39로 가장 높았다.

일부지역 임신부의 구강건강상태와 행태에 따른 구강건강영향지수(OHIP) (Relationship of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Behaviors to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OHIP) of the Pregnant Women)

  • 허아롱;송귀숙;차은종;김경아;손호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81-89
    • /
    • 2016
  • 본 연구는 임신부의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행태에 따른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조사해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2014년6월23일~7월30일까지 전라북도 일부지역 임신부 127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는 PASW Statistics 18.0을 사용하여 주요 측정변수에 대한 Shapiro-Wilk 정규성을 검정하였다. 대상자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구강건강관심도는 임신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조사대상자의 46.5%가 자신이 '건강하다'고 느끼고 있으며 51.2%가 자신의 구강건강상태가 '건강하다'고 응답했고, 57.5%가 자신의 구강건강에 관심이 '있다'고 응답했다. 구강건강행태에 따른 삶의 질은 구강보건교육경험이 없는 경우, 칫솔질 횟수가 3회 이하인 경우, 정기적으로 검진을 받지 않은 경우, 치석제거 경험이 없는 경우 삶의 질이 낮게 나타났다. OHIP-14에 유의한 영향변수는 임신 기간이 길수록, 분만경험이 없고, 주관적 건강상태,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건강하지 않을수록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임신부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은 주관적으로 인지하는 구강건강 상태와 구강건강행태가 밀접한 연관이 있으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구강건강교육 전후에 구강건강행동과 계획된 행동이론 변수들과의 융합적 상관관계 연구 (Convergence correlation of oral health behavior and planned behavior theory variables before and after oral health education)

  • 김한홍;김선예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51-56
    • /
    • 2019
  • 이 연구는 구강건강교육 전후 구강건강행동과 계획된 행동이론변수들 및 구강건강행동의 영향요인들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알코올전문병원에 입원한 62명의 남성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구조화된 설문지와 구강검사를 통하여 자료를 얻었고, 상관관계분석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교육전 상관관계지수와 비교하였을 때, 구강건강 교육후 구강 건강교육그룹은 구강건강행동과 행동의도, 행위태도, 주관적 규범, 인지된 행동조절이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교육후 변수들은 통계적으로 더욱더 높은 상관관계지수를 보였다. 그것은 구강건강교육에 의하여 상관관계가 더욱 강화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는 입원한 알코올중독환자들의 구강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구강건강교육을 체계적으로 해야 하는 근거를 제시한 것이다.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구강관리능력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of Acculturative Stress, Self-esteem and Oral Management Ability of Vietnam Marriage Migrant Women)

  • 임재란;한양금;김한홍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109-119
    • /
    • 2017
  • 본 연구는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구강관리행태와 구강관리능력과 관련있는 변수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편의 추출된 D광역시의 베트남교민회, C도 보건소의 협조를 얻어 베트남어로 번역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기기입식 조사와 구강검사를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85부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6월부터 2017년 2월까지 실시하였다. 구강관리능력과 관련 있는 변수는 국내 거주기간, 칫솔질 횟수, 구강보건교육경험과 자아존중감과 구강관리능력 사이의 경로계수는 -0.624(p<0.001)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어머니의 구강보건지식, 인식 및 생활습관이 가족의 구강건강에 영향을 미치므로 관리, 교육 및 구강 질병 발생 시 치료로 연계되는 체계적 프로그램과 사회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QLF-D를 이용한 청각장애 청소년의 구강상태에 관한 조사 (Research on Oral Status of Hearing Impaired Youth by Using QLF-D)

  • 김창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305-311
    • /
    • 2013
  • 본 연구는 울산시에 소재하는 특수학교에 재학중인 청각장애학생과 청각장애와 언어장애를 동시에 겪고 있는 학생 38명을 대상으로 Q-ray를 이용하여 구강 내를 촬영하였다. 대상자의 구강위생 상태의 분석을 위하여 치면세균막 지수를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치아 상태는 건전치아 수, 우식치아 수, 우식충전 치아수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에서 치면세균막 관리가 소홀한 것으로 나타났고, 칫솔질 시간 및 부위에 따라 치면세균막 관리정도와 우식치아 수에 있어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새로운 장비를 이용하여 교육시킴으로서 기존의 구강보건교육 방법에 비해 만족도도 높게 나타났다. 장애학생들의 구강건강수준의 향상을 위해서는 자신 스스로 구강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반복적인 훈련과 동기화를 일으켜 실천도를 높여야 하겠다. 그리고 시각적인 효과가 큰 장비의 이용으로 장애학생뿐만 아니라 차후 여러 계층의 대상자들의 효과적인 구강보건교육에 도움이 되어 질것으로 사료된다.

일부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Oral Healthcare Program for Som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손정희;최원익;임도선;최은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04-209
    • /
    • 2019
  • 이 연구는 충청북도에 위치한 C 특수학교 고등부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운영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적용하였다. 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은 1주 간격으로 총3번 진행하였으며, 사전에 수집한 정보를 기반으로 교육자료를 개발하였다. 매 회차마다 구강보건교육과 자가 및 전문가치면세균막 관리를 시행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구강환경관리능력지수, 치아우식발생 위험도, 위상차현미경을 관찰 및 검사하였다. 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 전 후 PHP index는 $3.21{\pm}0.69$에서 $2.42{\pm}0.80$로 감소하였고, 치아우식발생 위험도는 13.78이 감소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위상차현미경을 관찰한 결과 1회차에 비하여 3회차에서는 구균의 수가 감소하였고, 간균이 거의 보이지 않았다. 또한 구강미생물의 운동성도 현저히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복 교육과 동기유발을 포함한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은 지적장애 학생들의 구강환경관리 능력을 개선시키고 치아우식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유아 어머니의 구강보건지식 및 행동에 따른 유아구강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Effect of Mothers'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ur on Oral health status in their Preschool Children)

  • 김연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5-27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how mothers' oral health behaviour, knowledge,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fluence on dental caries status of their children. The 142 children and their mother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children were 5 and 6 years old in the three day care centers in Ulsan, Korea. Date were collected by oral examination on children and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on their mothers. The questionnaire was surveyed mothers' behaviour and know ledge of oral health and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higher mother's educational level and the greater children members, the higher degree of oral health knowledg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 2.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mothers and correct toothbrushing, between monthly mean income and important for oral health. 3. The dft index was lower when the higher mother's oral health knowledge, the larger toothbrushing frequency, preventive dental visit.

  • PDF

고혈압 노인의 질병관련 특성과 구강건강상태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and Oral Health State o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with Hypertension)

  • 정윤경;유은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505-514
    • /
    • 2022
  • 본 연구는 고혈압 노인의 질병관련 특성과 구강건강상태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K시의 보건소에 등록된 65세 이상의 고혈압 노인 108명이며, 자료수집기간은 2020년1월 부터 2월까지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chi-square test,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대상자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주관적 건강상태(β=.351, p=.002), 체질량지수(BMI)(β=.271, p=.024), 나이(β=-.260, p=.028)로 확인되었고 설명력은 46.0%(F=9.02, p<.001)였다. 즉, 주관적 건강상태와 체질량지수가 높을수록, 나이가 적을수록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고혈압 노인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구강건강 유지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전북 일부 지역 노인구강보건사업 실태와 노인구강건강평가지수 및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ral Health Assessment Index (GOHAI)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state of oral health project of the elderly in Jeonbuk Korea)

  • 박정순;한예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55-564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ral health assessment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recognition and beneficiary oral health projects for oral health promotion of the elderly. Methods: The subjects were elderly over 65 years old in Jeonbuk province. The study instrument was structured questionnaire including general characteristics, oral care condition, recognition of project, satisfaction of project, geriatric oral health assessment index, life satisfaction. For data analysis, the study used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well aware of the perceived health status of oral health projects. Satisfaction scaling project was the highest in the satisfaction of the received projects. People who recognized the oral health project had a high oral health assessment index. People who benefit from oral health project showed higher satisfaction in life. Conclusions: As for the elderly's perception on oral health care, they showed higher oral health assessment index and life satisfaction.

포천시 초등학생의 주관적 구강건강인식 및 구강보건 행태와 우식경험영구치지수와의 관련성 (An analysis of the associated factors which influence DMFT index of the primary school children's in Pocheon city)

  • 김영남;송윤신;최은정;김영수;최은미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13-126
    • /
    • 2011
  • Objectives : We supposed that identifying the influencing factors on DMFT index in the primary school children in Pocheon be indispensible for the primary school children's oral health program establishment in Pocheon. So, to prepare the basic materials for the primary school children's oral health program establishment in Pocheon, we analyzed the associated factors which could have an influence on the primary school children's DMFT index in Pocheon. Methods : We selected 3,676 primary school children in Pocheon, whose age were from 6 to 11, and surveyed those children by a questionnaire and the oral examination based on WHO's oral health survey method. Data were analyzed with a $x^2$-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5.0^{(R)}$. Results : The results of oral survey in the primary school children in Pocheon revealed as follows: DMFT index, National Health Oral health survey of 2006 people nationwide in the results when compared to younger grade children and older grade in the low and the higher. Subjective oral health awareness, high of viscosity junk food snacks, fruit, gender, dental visits and humidity, oral health education classes, including the variable of attitude was 6(p<0.05). Their higher awareness of dental health, oral health education classes ever the more positive attitude to DMFT index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Solid in the habit of eating junk food snacks to the students of a liquid relative to student intake was higher DMFT index indices(p<0.05). Conclusions : We could reason that one's oral health recognition and behavior should have a relationship with his(her) DMFT ind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