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on Oral Status of Hearing Impaired Youth by Using QLF-D

QLF-D를 이용한 청각장애 청소년의 구강상태에 관한 조사

  • 김창숙 (울산과학대학교 치위생과)
  • Received : 2013.07.01
  • Accepted : 2013.08.07
  • Published : 2013.09.28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oral status after recording the images by using QLF-D with targets of 38 youth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and hearing language impairmen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tate of oral hygiene, plaque index (O'Leary index) and contents of investigation of the state of the teeth included the number of sound teeth, the number of caries teeth, dental caries experience and the number of filling teeth.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women lacked the management on plaque and had more caries teeth compared with men. In terms of impairment classification, subjects with both hearing and language impairment lacked the management on plaque and had more caries teeth. Second, subjects who did not get an oral exam for one year had more caries teeth. Oral hygiene score was the highest with the brushing time for 3-4 minutes. The number of sound teeth was increased as the brushing time was increased. In addition, the oral hygiene management time was the highest when cleaning the teeth, gums and tongue at the same time. Third, it was shown that the satisfaction of oral health education by using the new equipment was high. As a result of this study, in order to improve the oral health level of impaired students, they shall be trained to manage their teeth by themselves and educated to increase their motivation and practice. Thus, it is thought that various approaches which are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methods are required to be tried.

본 연구는 울산시에 소재하는 특수학교에 재학중인 청각장애학생과 청각장애와 언어장애를 동시에 겪고 있는 학생 38명을 대상으로 Q-ray를 이용하여 구강 내를 촬영하였다. 대상자의 구강위생 상태의 분석을 위하여 치면세균막 지수를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치아 상태는 건전치아 수, 우식치아 수, 우식충전 치아수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에서 치면세균막 관리가 소홀한 것으로 나타났고, 칫솔질 시간 및 부위에 따라 치면세균막 관리정도와 우식치아 수에 있어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새로운 장비를 이용하여 교육시킴으로서 기존의 구강보건교육 방법에 비해 만족도도 높게 나타났다. 장애학생들의 구강건강수준의 향상을 위해서는 자신 스스로 구강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반복적인 훈련과 동기화를 일으켜 실천도를 높여야 하겠다. 그리고 시각적인 효과가 큰 장비의 이용으로 장애학생뿐만 아니라 차후 여러 계층의 대상자들의 효과적인 구강보건교육에 도움이 되어 질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배보명, 장애인의 구강건강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2. WHO, 1981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Impairment, Disabilities, and Handicap (ICIDH), 1981.
  3.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2005 장애인 복지 사업 안내, 보건복지부, 2005.
  4. http://www.kostat.go.kr
  5. 서화정, 최주현, 이명희, "정신지체 장애인의 구강 보건 교육에 따른 구강보건 행태변화", 치위생과학회지, 제12권, 제4호, pp.404-412, 2012.
  6. 이명주, 특수학교 교사의 장애아동 구강보건관리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7. 김윤태, 이미혜, 문도준, 서영석, 청각장애인 의료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07.
  8. 박수명, 청각장애학생의 읽기 수준과 문장 유형별 이해도,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9. 박주열, 청각장애아동의 읽기 능력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0.
  10. 최영주, 청각장애학생의 독해력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0.
  11. S. J. Margaret and W. J. Dorothy, "Television literacy: comprehension of program content using closed captions for the deaf," Journal of Deaf Studies and Deaf Education, Vol.6, No.1, pp.43-53, 2001. https://doi.org/10.1093/deafed/6.1.43
  12. J. L. Luckner, "Picturing ideas through graphic organizers," Perspectives in Education and Deafness, Vol.11, No.2, pp.8-22, 1992.
  13. E. de Josselin de Jong, F. Sundstrom, and H. Westerling, "A new method for in vivo quantification of changes in initial enamel caries with laser fluorescence," Caries Res, Vol.29, pp.2-7, 1995. https://doi.org/10.1159/000262032
  14. 김백일, "QLF의 원리와 임상적 활용", 대한치과의사협회지, 제49권, 제8호, pp.443-450, 2011.
  15. 박형주, 김종수, 유승훈, 신지선, "치아 우식증의 조기 진단을 위한 QLF-D 개발", 대한소아치과학회지, 제38권, 제4호, pp.317-326, 2011. https://doi.org/10.5933/JKAPD.2011.38.4.317
  16. V. A. Reed, An introduction to children with language disorders (3rd ed), Boston MA: Allyn and Bacon, 2005.
  17. D. Gribbs and E. Cooper, "Prevalence of communication disorders in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Vol.22, pp.60-63, 1989. https://doi.org/10.1177/002221948902200111
  18. 황도순, "청각장애학생의 의사소통방법이 학력과 성격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논총, 제12권, pp.61-82, 1995.
  19. 정성화, 김지영, 박지혜, 최연희, 송근배, 김영진, "우리나라 소아.청소년 장애인의 치아우식증 실태와 관련요인", 대한소아치과학회지, 제35권, 제1호, pp.102-109, 2008.
  20. 황지민, 성정민, 김지현, 유수민, 박용덕, "한국청소년의 구강건강행위와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연관성",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33권, 제3호, pp.367-376, 2009.
  21. 최주현, 이명희, 서화정, "정신지체 장애인의 구강보건 교육에 따른 구강보건 행태 변화", 한국치위생과학회, 제12권, 제4호, pp.404-412, 2012.
  22. M. A. Cugini and P. R. Warren, "The oral-B crossaction mnual toothbrush: a 5-year literature review," J Can Dent Assoc, Vol.72, pp.323, 2006.
  23. 히토시가토, 치주학, 고문사, 2002.
  24. L. F. Brown, "Research in dental health education and health promo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Health Edu Q, Vol.21, No.1, pp.83-102, 1994. https://doi.org/10.1177/109019819402100109
  25. 노희진, 최충호, 손우성, "청소년의 구강보건행태와 구강보건교육횟수의 연관성",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32권, 제2호, pp.203-213, 2008.
  26. 장경애, 황인철, "보육교사의 구강보건교육경험 인지도에 따른 구강보건지식의 관련성", 한국컨텐츠학회, 제9권, 제12호, pp.735-741,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12.735
  27. 정미애, "지역별 장애인 학교 구강보건사업 평가 비교", 한국컨텐츠학회, 제10권, 제7호, pp.276-284,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7.2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