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구강병

검색결과 345건 처리시간 0.024초

신경베체트병의 자기공명영상소견 (MRI Findings of Neuro-Behcet's Disease)

  • 장한원;변우목;조길호;황미수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5권2호
    • /
    • pp.306-315
    • /
    • 1998
  • 1994년 1월에서 1998년 8월까지의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신경베체트병으로 진단받은 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신적인 임상증상과 자기공명영상소견을 분석한 결과 주된 전신적인 증상은 구강궤양, 안질환, 음부궤양이었으며, 자기공명영상소견에서 병소부위는 중뇌, 내포, 뇌교, 시상, 대뇌기저핵, 중소뇌각, 연수, 그리고 피질하백질 순으로 호발되었다. 이들 병소는 T2강조영상에서 불균질의 고신호강도, T1강조영상에서 저신호 강도로 보였으며, 국소적인 조영증강이 비교적 흔하게 관찰되었다. 추적영상에서 병변의 호전 및 재발이 관찰되었으나 1년이상 추적검사에서 병변이 있던 부위에 뇌조직의 위축이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신경베체트병의 전신적인 임상증상과 특징적인 자기공명영상소견을 앎으로서 신경베체트병의 진단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 PDF

한국내 말티즈에서 발생한 제 1형 폰 빌레브란트병 증례 (Type I von Willebrand Disease in a Maltese)

  • 김승곤;강민희;이교임;김하정;박희명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359-362
    • /
    • 2013
  • 6살령의 중성화된 숫컷 말티즈(4.16 kg)가 2일전 스켈링과 발치를 실시한 후 지속적인 구강내 출혈로 본원에 내원하였다. 환축은 폰 빌레브란트 인자 항원 평가 결과 54% (정상 범위 70%에서 180%)였으며, 유전된 폰 빌레브란트병를 가진 동형접합체로 판정되었다. 초기 치료를 위해 신선 전혈 수혈을 실시하였다. 수혈 후 환축은 임상증상이 개선되었으며 현재까지 건강한 상태이다. 본 증례는 한국내 말티즈에서 발생한 제 1형 폰 빌레브란트병의 첫 번째 진단 보고이다.

전방부분절 골절단술에 의한 상하악 전돌증의 악교정 1 예 (Combined Surgical and Orthodontic Treatment of Bimaxillary Dento-Alveolar Protrusion: A Report of Case)

  • 변상길;이희경;진병로;오명철;김태주;김영준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권1호
    • /
    • pp.271-279
    • /
    • 1985
  •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치과 구강외과에 상 하악 전돌을 가진 환자가 안모 추형으로 인한 심미적 장애와 상악 전치부 치간이개 및 하악전치부 치열부정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안면치조기형에 대한 육안적평가, 방사선학적검사, 두부계측사진분석 및 진단 모형분석 등 다각적인 분석 결과 상 하악 치조 전돌증으로 진단을 내렸으며, 내원 당시 본 환자는 전반적으로 치주병학적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고 개인적으로 군입대라는 특수상황하에 있었기 때문에 치주조직에 대한 손상을 최소로 하면서 치료기간을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는 치료계획을 세웠다. 상하악 천치부에 대한 술전교정 치료 후 상악골은 전방부분절 골절단술로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하악골은 전방부분 치근단 하방 골절단술로 후하방으로 이동시키므로서 상하악 전돌증에 대한 악교정 외과적 처치를 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악골 내 거대 낭종성 병소의 감압술을 위해 고안된 장치를 이용한 치험례: 증례보고 (Treatment of large sized cystic lesion of the jaws with specific appliance for decompression:cases report)

  • 장창수;김주원;양승빈;임진혁;김좌영;양병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7권2호
    • /
    • pp.133-136
    • /
    • 2011
  • Cystic lesions on the jaws with expansion can invade the adjacent anatomical structure, infiltrate and expand the jaws, cause facial deformity, etc. There is great potential for pathologic fractures after cyst enucleation, and damage to the major structures like the nerve, artery. For these reasons, marsupialization and decompression are commonly used to reduce the cystic size. In 1947, Thomas first mentioned decompression that reduces the osmotic pressure in a cyst by making a hole in the cyst and insert a drain. In our cases, a large sized cystic lesion was treated with a specific device made from an orthodontic band and spinal needle. This device is easy and effective for applications and self irrigation.

과잉치로부터 줄기세포의 분리 배양 (Isolation and Culture of Dental Pulp Stem Cells from a Supernumerary Tooth)

  • 안소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5권2호
    • /
    • pp.191-200
    • /
    • 2009
  • 줄기세포는 미분화 상태의 세포로 지속적인 자가 분열능과 특정 세포로 분화 할 수 있는 분화능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으로 말미암아 난치병의 새로운 장을 열 것이라는 기대감을 얻고 있다. 즉, 세포이식 후 특정 세포로 분화 유도를 시켜 기존의 치료 방법으로는 치료가 되지 않았던 많은 의학적 난제들을 풀 수 있는 열쇠인 것이다. 치아는 평생에 걸쳐 발거되는 조직으로 치아줄기세포는 얻기가 비교적 쉬워서 다른 성체줄기세포들보다 더 높이 평가되고 있다. 과잉치는 전 세계 다양한 인종에서 발견되는 중요한 임상적 질환이다. 과잉치의 유병율은 관련 연구 보고서마다 다양하나 소아치과 의사들의 경우 임상에서 자주 과잉치를 발거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진행된 줄기세포 관련 연구들을 살펴보면 과잉치의 줄기세포에 관한 보고는 없으며, 이는 줄기세포로 이용 가능한 중요한 자원을 파기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문이 생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과잉치에 포함된 세포가 줄기세포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를 밝혀내기 위해 진행되었다.

구강저암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n floor of Mouth Cancer)

  • 이국행;심윤상;오경균;이용식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3년도 제27차 학술대회 초록집
    • /
    • pp.93-93
    • /
    • 1993
  • 저자들은 1985년 1월부터 1992년 12월까지 원자력병원 이비인후과를 방문하여 병리 조직학적 확진을 받은 100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그 임상상과 병기별 분류, 치료에 따른 결과와 생존율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연령별로는 50대, 60대의 순이었으며, 남녀비는 4.6:1로 남자에서 많았다. 흡연자가 95명이었고, 하루에 필터담배 1갑 이상을 흡연하는 경우가 13명이었다. 음주의 경우 하루에 2홉들이 소주 1병 이상을 섭취하는 음주자가 51명이었다. 대부분의 경우인 95례에서 편평세포암종이었고, 그 이외에 선양낭포암종, 점액표피양암종 등이 있었다. 병기별로는 4기가 62례로 가장 많았고, 림프절 전이의 경우 71례에서 병리 조직학적으로 확진되었다. 2례에서 원격전이가 있었고, 1례에서 다발암이 확인되었다. 치료방법에 따른 5년 생존율은 주로 초기 암종의 경우 외과 단독요법만을 시행하였고, 71.4%의 좋은 결과를 얻었다. 항암약물요법에 상관없이 방사선조사를 시행한 경우는 대다수가 진행성 암종이었고, 전례에서 사망하였다. 방사선 외과 복합요법의 경우, 5년 생존율은 32.4%이었다.

  • PDF

소아에서 하악 양측 매복 견치와 연관된 치성 점액종 (A CASE OF ODONTOGENIC MYXOMA RELATED TO BOTH IMPACTED CANINE TEETH IN THE MANDIBLE)

  • 최세훈;정종철;송민석;서지훈;김성범;전창훈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9권1호
    • /
    • pp.64-67
    • /
    • 2003
  • 본 증례는 하악골 정중부의 종창과 미맹출 매복 견치를 주소로 내원한 12세 남아 환자로 환자의 임상 및 방사선 소견상 함치성 낭종으로 가진하였다. 그러나 정확한 진단과 환자의 조절 등의 문제로 인하여 전신마취하에 낭종성 병소의 적출을 시행하여 조직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 매복 견치와 관련된 점액종으로 진단되었다. 이에 저자 등은 하악 양측 견치의 미맹출 매복치과 연관되어 매우 드물게 발생되는 점액종을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이용한 악골 골수염 병소의 세균 동정 (MOLECULAR IDENTIFICATION OF BACTERIA FROM OSTEOMYELITIS OF THE JAWS)

  • 김미성;김수관;정해만;김생곤;국중기;김미광;김화숙;유소영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9권1호
    • /
    • pp.48-55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solate and identify the bacteria in osteomyelitis lesion of 3 patients. Two lesions were due to the post-infection after extraction. The other was resulted from mal-fixation of both sides of mandibular angles. Pus samples were collected by needle aspiration from the lesion and examined by culture method. Bacterial culture was performed in three culture systems (anaerobic, $CO_2$, and aerobic incubator). Identification of the bacteria was performed by 16S rRNA gene cloning and nucleotide sequencing method. Our results showed that Streptococci species was predominantly isolated in both lesions of extraction socket. Only one species (Proteus vulagris) was detected in lesion of mandibular angle. This study was not sufficient to identify the causative bacteria in those osteomyelitis. However, our data may be offered the clue to solve the problem.

이하선부에 발생한 Kimura's disease에 대한 치험례 (A CASE REPORT OF KIMURA'S DISEASE IN THE PAROTID REGION)

  • 변성수;정휘동;최영달;김현실;차인호;김형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3권5호
    • /
    • pp.554-558
    • /
    • 2007
  • 저자 등은 좌측 이하부에 발생한 기무라씨병을 가진 19세의 남환에 대하여 표층 이하선 절제술을 동반한 종양 절제술과 함께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였다. 수술 후 약 6년 9개월 경과 관찰 한 결과 현재까지 특기할만한 후유증 및 합병증과 재발 소견 혹은 증상은 보이지 않았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며, 이후에도 지속적인 경과관찰을 요하리라 사료된다.

치과용 임플란트 주위 뼈모세포에 대한 전기자극의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Electrical Stimulation on Osteoblast Surrounding Dental Implant)

  • 우경엽;권긍록;최부병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19권3호
    • /
    • pp.195-206
    • /
    • 2003
  • Several factors can affect the formation of bone tissues surrounding implants. One of the factors is electrical stimulation. It is known to change the movement of cells, form and destroy cells, and alter concentration and chemical component of soft tissues and bones. The effect of electrical stimulation on bone formation can vary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electric currents, stimulating time, the method of sending electric currents, and tissues and cells currents are applied to. This study examines how various enviroments affect osteoblasts. (1) effect on osteoblast with varying intensity of currents Osteoblast-like cells were raised on four plates where implants can be placed. A constant current sink (MC3T3-E1) that can adjust the intensity and stimulating time of electric currents was used. The four plates were stimulated with $0{\mu}A$, $10{\mu}A$, $20{\mu}A$, and $40{\mu}A$, respectively. After 24 hours of stimulation, the number and distribution of cells surrounding implants were examined. (2) effect on osteoblast with varying conditions The 3 study was performed with same method. (1) The change of attached cell number 72-hour after application of various currents (2) The change of attached cell number 72-hour after application of various interval (3) The comparison of attached cell number by implant surface texture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1. The distribution and density of cells surrounding implant is highest under the intensity of electric currents of $20{\mu}A$. 2. The number of cells attached implants is highest under the intensity of electric currents of $20{\mu}A$. 3. The number of cells attached implants is highest under continous electric currents 4. The number of cells attached implants is not different by implant surface tex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