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구강근

Search Result 302,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교합과 저작근 활동

  • Kim, Jung-Su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25 no.10 s.221
    • /
    • pp.913-916
    • /
    • 1987
  • 저작운동을 중추신경계와 말초조직의 작용에의해 일생동안 학습과 적응의 가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저작의 양상은 유치가 구강내에 맹출되면서 이루어지며, 상하악 치아의 접촉, 점막과 혀 및 치아상호간에 일어나는 접촉과 치근막의 고유수용기와 악관절 수용기등에 의해 조정되어 최종적으로 에너지소비가 적고 동통이나 불편함이 없이 최대의 효율을 나타내는 양상으로 된다. 그러나 원활한 저작과 하악은동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저작근, 악관절, 상하악 치아의 교합등이 서로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만일 외상에 의해 악관절의 기능장애가 오면 저작근활동이 변화하고 이에따라 교합장애를 야기한다. 또한 치아를 상실하거나 대합치아간의 조기접촉이 있으면 교합장애가 원인이 되어 근육활동이 변화와 악관절 기능장애를 초래한다. 그리고 때로는 지나친 근육의 활동(이갈이, 지속적 긴장성 수축)에 의해 지나친 치아의 마모로인한 교합장애나 악관절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하악의 기능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교합의 형태학적 관계와 더불어 저작계의 기능적인 면도 고려하여 그 상호관계를 검토하여야 하며 본문에서는 교합에 관련된 저작근의 작용과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 및 교합장애와 근육활동장애의 연관성에 관해 고찰코자 한다.

  • PDF

The Study on the Validity of the OHIP 14 (Oral Health Impact Profile 14) Using Health Index on Elderly Population, Gangneung City (강릉시 노인의 임상지표를 이용한 OHIP 14 (Oral Health Impact Profile 14)의 타당도 연구)

  • Lee, Ji-Youn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9 no.4
    • /
    • pp.475-483
    • /
    • 2009
  •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668 elderly people aged over 65 from Gangneung city. OHIP 14 went through a first translation from English to Korean, discussion among experts, a second translation from Korean to English, and then the translation was approved. After the primary and main research were carried out, validity and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the outcome of oral and mental health examination were studied. OHIP 14 in terms of the perception of oral health was relevant to the perception of overall health and oral health, the necessity of dental treatment, the satisfaction about oral health, the level of pain from observation, and the satisfaction about artificial tooth. OHIP 14 on account of oral health state was related to the number of present natural teeth, the necessity of dental treatment, and the status of no teeth. OHIP 14 according to overall health was correlated to the number of ailments, the state of mind, nerve systems, bones and sinews, digestive systems, urogenital systems, cerebrovascular systems, respiratory systems, eyes, ears, and dementia. OHIP 14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oral healt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overall health and oral health, the level of pain in terms of observation, and the satisfaction on artificial tooth. OHIP 14 on account of oral health state demonstrated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number of present natural teeth, the necessity of dental treatment, and status of no teeth. OHIP 14 in terms of overall health exhibited considerable difference in the state of mind, nerve systems, bones and sinews, digestive systems, cerebrovascular systems, respiratory systems, ears, and dementia. From the study, it was proven that there was relevance between the validity of OHIP 14 and the perception of oral health, the state of oral health, and the state of overall health in the experiment on some Korean elderly people.

  • PDF

Localized Myositis Ossificans of the Temporal and Lateral Pterygoid Muscles- A Case Report for Open Limitation (측두근과 외측 익돌근에서 발생된 국한성 화골성 근염 : 개구제한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의 증례보고)

  • Han, Won-Jeong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37 no.4
    • /
    • pp.227-231
    • /
    • 2012
  • Localized myositis ossificans is a disease with the main feature of formation of heterotropic bone and fibrous tissue involving muscle. It also called traumatic myositis ossificans. Myositis ossificans is likely to occur in the femoral region or brachium but, rarely in the head and neck including the masticatory muscles. It arises from traumatic episodes caused by prolonged mouth opening, surgical procedure, local anesthesia injection. The main clinical feature is the mouth open limitation. The diagnosis of myositis ossificans is usually based on the patient's history, clinical symptoms and on imaging finding. We present the case of patient with localized myositis ossificans of the temporal and lateral pterygoid muscles.

ORAL AND OROPHARYNGEAL CANCER: TWENTY-YEAR EXPERIENCE IN KOREA (구강 및 구인두암)

  • Seel David John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1 no.1
    • /
    • pp.7-13
    • /
    • 1985
  • 구강과 구인두에서 발생되는 유표피암은 전체 예수병원 암환자의 3.9%를 차지한다. 만 20 년 간의 월발성 유표피암 환자 5%명에 대한 고찰결과, 혀 전방 2/3 에서 29%로써 가장 높은 발생빈도를 보였으며 faucial arch, base of tongue 및 tonsil을 포함한 구 인두는 28%의 발생빈도를 나타냈다. 그외는 잇몸, 구강저, 구순, 구개 (palate) 및 구강내 점막의 빈도순이었다. 환자 중 153 명 만이 근치적 치료를 받았다. 1974 년 이전에는 치료 정책에 수술만이 활용되었던 까닭으로 역행성 분석결과 74 명에서는 수술만 시행케 되었으나, 그 이후의 70 명에서는 종합적치료를 시행하였으며 그중 9 명은 확실한 방사선요법을 받았다. COMMANDO 수술과 복합절제술 (Composite resection) 을 시행했던 환자들의 비교검토는 매우 의의가 있었다. 수술만 받은 환자와 비교해 볼때, 수술후 방사선요법을 병행했던 수술환자의 경우에 있어서 재발율은, Stage III 에서는 50%에서 41%로, Stage IV 는 79%에서 68%로 각각 감소를 보였다. 또한, COMMANDO 수술 경우만 국한시켜 비교할 때는 수술만 받은 환자와 비교할 때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와 비교하여 2 년간 무병율 (disease free interval) 이 수술후 방사선요법을 병행함으로써 17.3%에서 29.3%로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Distinct cell subtype composition using gene expression data in oral cancer (유전자 발현 데이터 기반 구강암에서의 세포 조성 차이 분석)

  • Rhee, Je-Keu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8
    • /
    • pp.59-65
    • /
    • 2019
  • There are various subtypes of cells in cancer tissues, but it is hard to confirm their composition experimentally. Here, we estimated the cell composition of each sample from gene expression data by using statistical machine learning approaches, two different regression models and investigated whether the cell composition was different between cancer and normal tissue. As a result, we found that CD8 T cell and Neutrophil were increased in oral cancer tissues compared to normal tissues. In addition, we applied t-SNE, which is one of the unsupervised learning, to verify whether normal tissue and oral cancer tissue can be clustered by the derived cell composition. Moreover, we showed that it is possible to predict oral cancer and normal tissue by several supervised classification algorithms. The study would help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immune cell infiltration at oral cancer.

Comparative Study on Maximal and Habitual Clenching Through T-Scan System (T-Scan System을 이용한 Maximal Clenching과 Habitual Clenching의 비교연구)

  • Young-Ku Kim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14 no.1
    • /
    • pp.35-42
    • /
    • 1989
  • 악구강계의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후의 예후를 판정하기 위하여 maximal clenching시에 측정된 tooth contacts의 수와 분포가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maximal clenching시 반복된 tooth contacts의 측정은 저작근 피로등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연구는 건강한 성인 15명을 대상으로 maximal clenching 및 habitual clenching시 T-Scan system을 이용하여 치아접촉 수와 접촉시간을 측정, 비교 검토하여 habitual clenching을 이용한 방법이 Tooth contacts의 연구에 이용될 수 있는지를 확인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Habitual clenching시 upright, semisupine position에서의 전측두근의 근활성은 maximal clenching시의 64.5%, 61.9% 및 73.3%로 나타났다. 2. Maximal clenching시 치아접촉 수와 접촉시간은 16.82개 및 0.429초로 나타났으며 habitual clenching시에는 11.65개 및 0.177초로 나타났다. 3. 치아접촉수와 접촉시간은 체위에 따라 크게 변화되지 않았다. 4. 치아접촉수와 접촉시간의 측정시에 habitual clenching을 이용하는 방법이 maximal clenching을 이용하는 방법보다 재현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Tooth contacts의 연구시 habitual clenching을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다.

  • PDF

Study on the Skin Temperatures of the Orofacial Trigger Points for the Patients with TMJ disorders (턱관절장애환자의 안면 발통점의 피부온도에 대한 연구)

  • Jung, Deuk-Jin;Kim, Ki-Suk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6 no.4
    • /
    • pp.345-353
    • /
    • 2001
  • Thermography는 신체 체표면에서 발생되는 온도를 정량화하는 다양한 방법에 대한 일반적인 표현이다. Electrothermography는 의학분야에서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술식이다. 인체를 포함한 모든 물체는 적외선을 방출한다. 그래서, Wien의 법칙에 따르면, 방출되는 최대에너지에서의 주파수는 체온에 의존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피부 표면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온도가 측정될 수 있다. 최근에는, electrothermography가 만성 구강안면동통 환자의 진단에 있어서 새로운 진단 기기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측두하악관절장애의 증상이 있는 교근, 측두근, 그리고 측두하악관절의 발통점의 피부 온도와 증상이 없는 대측의 피부 온도를 디지틀 적외선 체열 촬영으로 비교하고자 하였다. 측두하악관절장애를 주소로 하고 편측성의 구강안면동통을 호소하는 21명의 내원환자를 선택하였다. 디지틀적외선 체열촬영은 DTI-16-DOREX21(Dorex Inc., U.S.A) 기기를 사용하였다. 발통점 피부에 marker를 부착하고, 좌측과 우측의 color thermogram을 $0.1^{\circ}C$ 해상도로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서 측정한 발통점은 masseter inferior, masseter anterior, temporalis anterior 그리고 TMJ이었다. 증상이 있는 부위와 증상이 없는 대측의 피부온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paired t-test를 사용하였으며,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급성 근육장애 환자에 있어서는 증상이 있는 부위와 증상이 없는 대측과의 피부온도 차이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75). 2. 만성 근육장애 환자에 있어서는 증상이 있는 부위와 증상이 없는 대측과의 피부온도 차이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 3. 측두하악관절 내장증 환자에 있어서는 증상이 있는 부위와 증상이 없는 대측과의 피부온도 차이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 결론적으로 적외선 체열촬영은 급성저작근장애의 진단에 있어서 유용한 진단방법의 한가지로 사료되며, 앞으로 임상적으로 더욱더 심화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tiffness and Elasticity of the Masticatory and Facial Expression Muscles in Patients with the Masticatory Muscle Pain (저작근통 환자에서 저작근 및 안면표정근의 경도와 탄성도 평가)

  • Kim, Yeon-Shin;Kim, Ki-Suk;Kim, Mee-Eun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34 no.3
    • /
    • pp.317-324
    • /
    • 2009
  • This study aimed to assess stiffness and elasticity of the masticatory muscle in the patients with the masticatory muscle pain using a tactile sensor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 masticatory muscle pain affects the facial expression muscles. From those who visited Department of Oral Medicine in Dankook University Dental Hospital, 27 patients presenting with unilateral muscle pain and tenderness in the masseter muscle (Ms) were selected (mean age: $36.4{\pm}13.8$ years). Exclusion criterion was those who also had temporomandibular joint (TMJ) disorders or any neurological pain. Muscle stiffness and elasticity for the muscles of mastication and facial expression was investigated with the tactile sensor (Venustron, Axiom Co., JAPAN) and the muscles measured were the Ms, anterior temporal muscle (Ta), frontalis (Fr), inferior orbicularis oculi (Ooci), zygomaticus major (Zm), superior and inferior orbicularis oris (Oors, Oori) and mentalis (Mn). t-tests was used to compare side difference in muscle stiffness and elasticity. Side differences were also compared between diagnostic groups (local muscle soreness (LMS) vs myofascial pain syndrome (MPS) and between acute (< 6M) and chronic ($\geq$ 6M) groups. This study showed that Ms and Zm at affected side exhibited significantly increased stiffness and decreased elasticity as compared to the unaffected side.(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ocal muscle soreness and myofascial pain syndrome groups and between acute and chronic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masticatory muscle pain in Ms can affect muscle stiffness and elasticity not only for Ms but also for Zm, the facial expression mus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