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구강근

Search Result 302,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임상가를 위한 특집 4 - 교합기를 이용한 교합안정장치의 제작

  • Kim, Seong-Taek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47 no.6
    • /
    • pp.359-363
    • /
    • 2009
  • 지난 수십여 년 간 턱관저 및 저작근의 질환과 광범위한 보철 및 교정 수복 시 사용되었던 교합안전장치의 작용기전에 관하연느 아직 논란이 많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연구는 기존의 하악을 생리적으로 안정된 위치로 변화시킨다는 개념보다는 구강 내 장치가 위치함으로 인해 저작계의 행동변경(behavioral modification)으로 인해 구강 내 부기능적인 습관이 일시적으로 개선되는 것이라는 개념이 지배적이다. 좀 더 면밀히 말하면 이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한 게 사실이다. 본문에서는 그동안 사용되었던 여러 교합안전장치의 제작법 중에서 교합기를 이용하는 방법을 기공과정을 통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 PDF

Therapeutic Effect of Low Level Laser Therapy on the Trigger Points (발통점에 대한 저출력 레이저의 치료효과)

  • Cho, Soo-Hyun;Park, June-Sang;Ko, Myung-Yun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5 no.3
    • /
    • pp.331-343
    • /
    • 2000
  • 구강안면통증환자에서 저출력 레이저의 임상 효과는 많은 임상가에 의해 연구되었으나 그 결과에 대해서는 아직도 논란중이다. 이에 본 연구는 두 가지 방법으로 시행하여 구강안면부위의 발통점에 대한 저출력 레이저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첫 번째 방법은 저작근 중 교근, 측두근과 경부근육 중 승모근에 발통점을 가진 부산대학교 치과대학생 69명중 37명은 레이저 조사군, 32명은 레이저 모의 조사군으로 무작위로 분류하여 저출력 레이저의 치료효과를 평가하였다. 둘째 방법으로 동일 근육에 발통점이 있는 19명의 환자와 발통점이 전혀 없는 20명의 정상인을 무작위로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으로 분류하고, 각 군을 다시 레이저 조사군과 모의 조사군으로 나누어 실제 저출력 레이저의 치료효과와 위약효과를 평가하였다. 50mW, 820nm의 GaAlAs 반도체 레이저를 이용하여 4주 동안 첫 주는 2회, 이후 3주 동안 각 1회씩 총 5회를 조사하였고, 레이저 모의 조사군에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치료반응은 전자통각계를 이용하여 압력통각역치를 치료 전, 치료 2주 및 4주에 측정하여 이를 비교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레이저 조사군의 각 근육에서 측정한 압력통각역치는 치료 2주 후부터 유의하게 높아졌으며(P<0.05), 모의 조사군과의 차이는 이후 점점 더 증가하였다(P<0.001). 모의 조사군에서는 압력통각역치의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2. 레이저 조사-환자군에서 측정한 압력통각역치는 레이저 모의조사-환자군의 압력통각역치보다 그 증가폭이 더 크게 나타났다(P<0.05). 정상 대조군은 레이저 조사와 관계없이 압력통각역치에 유의성이 없었다. 3. 약간의 위약 반응이 레이저 모의조사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에서 관찰되나, 레이저 조사 환자군의 실제 레이저 치료효과가 위약 반응보다 우세하였다.

  • PDF

Occupational risk factors influencing subjective oral symptoms in hospital facility Temp·Contract Workers (병원 시설 파견·용역 근로자들의 주관적 구강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 위험 요인에 관한 연구)

  • Hong, Min-Hee;Lee, Jung-Min;Jang, Ki-Won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1 no.7
    • /
    • pp.298-306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ccupational risk factors that affect oral symptoms in hospital facility workers. This study surveyed 627 hospital facility temp·contract workers in the metropolitan area from November 17, 2020 to May 20, 2021.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oral symptoms were higher among workers with high risk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injuries. Also, symptoms of oral mucosa,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and dry mouth were high in the areas of job insecurity and organizational injustice. As the occupational risk factors and occupational stress of workers increased, the risk of oral symptoms increased. In the future,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improving oral health policies to better the oral health of hospital facility workers.

An Electromyographic Study on Changes of Mandibular Position (하악위 변화에 따른 저작근의 근전도학적 연구)

  • Lee, Eun-Hee;Suh, Bong-Jik;Oh, Hee-Myung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4 no.1
    • /
    • pp.49-58
    • /
    • 1999
  • 저자는 하악의 위치변화가 저작근에 미치는 영향을 근전도학적으로 평가하고자, 측두하악장애의 징후와 증상이 없는 정상성인 28명을 대상으로 중심위 교합장치(centric relation splint), 중심교합위 교합장치(centric occlusion splint), 전방 재위치 교합장치(anterior repositioning splint)를 장착시킨 상태에서 하악의 중심의, 중심교합위, 전방위률 유도한 후 최대 이악물기 상태의 좌우측 교근 및 전측두근의 근전도를 채득, 분석,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전측두근에서 하악의 위치변화에 따른 최대 근활성도의 차이가 나타났으나(p<0.05), 교근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2. 전측두근의 경우 중심교합위에서 최대 이악물기 상태의 최대 근활성도는 교합 장치물을 장착하지 않은 경우 및 중심위에서와 비교하여 감소하였다(p<0.05). 3. 전측두근의 경우 전방위에서 최대 이악물기 상태의 최대 근활성도는 교합 장치물을 장착하지 않은 경우 및 중심위에서와 비교하여 감소하였다(p<0.001). 4. 교근과 전측두근의 좌우 비대칭지수(asymmetry index)는 하악의 위치변화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A STUDY ON OCCLUSAL CONTACT USING COMPUTERIZED OCCLUSAL ANALYSIS SYSTEM (Computerized Occlusal Analysis System을 이용한 Occlusal Contact에 관한 연구)

  • 연태호;김영구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14 no.1
    • /
    • pp.81-88
    • /
    • 1989
  • 저자는 정상 치열을 가지며 두개하악장애의 증상 및 병력이 없는 성인 21명을 대상으로 computerized occlusal analysis system인 T-Scan system을 이용하여 교합력에 따른 치아접촉수와 총치아접촉시간을 측정한 후 정량적인 분석을 시도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최대 측두근 전부 근활성도의 약 20%, 50%, 80% 수준의 교합력에서 치아접촉수의 평균은 각각 1.6개, 8.8개, 16.7개로 교합력이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2. 최대 측두근 전부 근활성도의 약 20%, 50%, 80% 수준의 교합력에서 치아당 치아접촉수이 평균은 대구치에서는 0.2, 1.4, 2.2 개였으며 소구치에서는 0.1, 0.5, 1.1개였고, 전치에서는 0.1, 0.2, 0.6개로 교합력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3. 치아접촉분포로 구분된 대칭군과 비대칭군간의 총치아접촉시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PDF

A Study on the Changes in Motor Unit Action Potential, EMG Power Spectrum, and Pressure Pain Threshold of Masticatory Muscles during Sustained Fatiguing Contraction (피로를 유발하는 지속적인 근수축 동안 저작근의 운동단위전위, 근전도 power spectrum, 압력통각역치 변화에 대한 연구)

  • Kim, Cheol;Kim, Young-Jun;Kim, Kyung-Nyun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6 no.3
    • /
    • pp.261-276
    • /
    • 2001
  • 본 연구는 구강안면동통 중에서 빈번히 나타나는 근육성 동통의 주 원인인 저작근의 과활성으로 유발된 근육의 피로 시에 운동단위전위, 압력통각역치, 근전도 power spectrum의 변화 양상과 이들 척도간의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두개하악장애의 병력 및 현증이 없고 정상적인 구치부 교합관계를 가진 평균연령 25.8세인 36명의 정상 성인(남자 26명, 여자 10명)을 대상으로 교근과 전측두근의 지속적인 등길이 수축 전후의 압력통각역치 및 운동단위전위를 측정하였고 인내시간까지의 근수축 동안 근전도 power spectrum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지속적인 등길이 수축 후 교근과 전측두근의 압력통각역치는 수축 전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2. 압력통각역치는 수축 전과 수축 후 모두에서 전측두근이 교근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높게 나타나는 양상을 보였으나 성별간의 차이는 전측두근의 수축 후 압력통각역치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3. 지속적인 등길이 수축말기의 중간주파수는 수축초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전측두근의 수축초기 중간주파수와 수축말기 중간주파수 모두 교근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4. 교근은 지속적인 등길이 수축 전에 비하여 수축 후의 운동단위전위의 지속시간,진폭, 면적, 상의 4가지 척도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전측두근은 진폭을 제외한 나머지 3가지 척도, 즉 지속시간, 면적, 상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5. 교근과 전측두근의 지속적인 등길이 수축 전의 압력통각역치와 운동단위전위 척도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고 교근에서는 수축 후의 압력통각역치와 운동단위전위의 지속시간, 진폭, 면적, 상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위의 실험결과를 통해 근육피로 검사에 압력통각역치, 근전도 power spectrum 검사 외에 근육수축의 기능적 최소 단위인 운동단위전위의 분석 또한 유용할 수 있고 추후 만성으로 진행된 근막동통환자와 정상 대조군간의 운동단위 수준에서의 비교연구와 근피로에 더욱 민감한 운동단위전위의 다른 척도에 대한 개발과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Power Spectral Analysis in Anterior Temporal and Masseter Muscles at Sustained Submaximal Isometric Contraction Close to Chewing Force Level (저작 수준의 등척성 수축시 전측두근 및 교근의 근전도 스팩트럼 분석에 관한 연구)

  • Seung-Ryeul Lee;Heung-Sang Lee;Young-Ku Kim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19 no.2
    • /
    • pp.99-110
    • /
    • 1994
  • 저자는 저작 수준의 등척성 수축시 하악 폐구근에서의 근전도 스펙트럼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정상 성인 25명을 대상으로 최대수의적 수축의 40% 수준으로 근활성을 2분간 유지하게 하고, 이때 전측두근과 교근에서 얻어진 근전기 신호를 컴퓨터를 이용한 근전도 시스템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저작 수준의 등척성 수축 지속시 시작과 마지막 구간 모두에서 전측두근과 교근의 평균중간주파수와 중간주파수 기울기는 성별 및 연령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2. 저작 수준의 등척성 수축 지속시 시작과 마지막 구간 모두에서 전측두근과 교근의 평균중간주파수와 중간주파수 기울기는 좌우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저작 수준의 등척성 수축 지속시 전측두근과 교근의 마지막 구간 평균중간주파수는 시작 구간 평균 중간주파수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전측두근 : p<0.01, 교근 : p<0.01). 4. 전측두근과 교근에서 저작 수준의 등척성 수축이 지속됨에 따라 시작 구간과 마지막 구간 모두에서 power spectrum은 저주파 영역으로 이동하였으나, 중간주파수 기울기는 시작 구간과 마지막 구간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PDF

Clinical Effect on the Patient with Orofacial Pain through Electro-acupuncture Stimulation Therapy(EAST) (구강안면동통환자에 대한 전기침 자극요법의 임상효과에 관한 연구)

  • Kim, Young-Ku;Lee, Sung-Woo;Chung, Sung-Chang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5 no.1
    • /
    • pp.109-116
    • /
    • 2000
  • 구강안면 동통중 가장 대표적인 측두하악장애를 치료하는데 있어 전기침 자극요법이 갖는 임상적 치료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측두하악장애 환자군을 환자에 대한 교육 및 온습포를 시행하는 자가치료 환자군, 전기침 자극요법을 시행하는 전기침 자극 환자군, 교합안정장치를 장착하는 구강내 장치장착 환자군, 총 3군으로 구분하였다. 이들 환자군에서 치료전과 치료 1주후 및 1개월 후에 visual analogue scale을 이용한 동통의 정도와 두경부의 근육촉진지수, 하악의 기능이상지수 및 저작근들의 압력통각역치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자가치료 환자군의 1주일 치료후 동통정도, 근육촉진지수 및 기능이상지수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2. 전기침 자극환자군은 1주일 치료후 동통의 정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면 1개월 치료 후 동통의 정도와 근육촉진지수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3. 구강내 장치장착환자군은 1주일 치료 후 동통의 정도가 유의하게 감소하고 심부교근의 압력통각역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심부교근의 압력통각역치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 PDF

Oral-Motor Facilitation Technique (OMFT): Part I-Theoretical Base and Basic Concept (구강운동촉진기술: 1 부-이론적 배경과 기초 요소)

  • Min, Kyoung Chul;Seo, Sang Min;Woo, Hee-soon
    •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
    • v.10 no.1
    • /
    • pp.37-52
    • /
    • 2021
  • Introduction : Oral motor function is basic function of sensory exploration, feeding, and communication, that develops from the fetal stage to childhood. Problems with oral motor function result in difficulty within handling food in the oral cavity, decreased swallowing and feeding skills, difficulty with communication, and problems with oral hygiene. To treat these symptoms, oral motor therapy is provided for normalizing sensory adaptation in the oral cavity, and increasing postural control, oral movement and oral motor function. Discussion : The oral motor facilitation technique (OMFT) was developed for increasing general and integrated oral motor function based on the following: 1) understanding orofacial muscular physiology; 2) a comprehensive approach to sensory·adaptation·behavior·cognition; 3) sensorimotor stimulation by a manual approach; 4) motor control and motor learning theory. The OMFT is a new evidence-based treatment protocol, for children and adults with neuromuscular and oral motor problems. Conclusion :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provide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OMFT development and the basic concept for the clinical application of OMFT. We hope that this article will help oral motor therapy experts to provide effective therapy in a more professional way.

Intraoral Approach in Submandibular Gland Extirpation (구내접근법을 이용한 악하선 적출)

  • You, Jun-Young;Ko, Kwang-Hee;Yoon, Hyun-Joong;Lee, Kook-Yeop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v.17 no.2
    • /
    • pp.186-190
    • /
    • 1995
  • 타석증을 동반한 만성 악하선 타액선염의 경우 악하선 적출은 일반적인 치료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악하선 적출술은 수술의 용이성, 수술시야의 확보 등의 장점으로 구강외접근에 의해서 시행되어져 왔다. 그러나 시대적으로 심미적인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요즈음 구외 접근으로 인한 술후 반흔은 구외접근법의 가장 결정적인 단점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설하선과 함께 적출하여야 할 경우 구내접근과 구외접근을 동시에 실시할 경우 술후 치유과정상의 후유증을 유발할 수도 있다. 반면에 구강내 접근에 의한 악하선의 적출은 수술상의 고도의 난이도로 수술자체의 어려움은 있으나 구강의 반흔을 남기지 않아 심미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본 저자 등은 타석증을 동반한 악하선 타액선염의 환자에 있어 구내 접근으로 악하선 및 설하선 적출술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