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통이용행태

Search Result 304,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Comparative Study on the Travel Behavior of Residents by Housing Types and Implication Deduction for TOD Implementation (TOD구현을 위한 주택유형별 거주자의 통행행태 비교 분석 및 시사점도출)

  • Lee, Kyu Jin;Park, Kwan Hwee;Choi, Keech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2 no.1
    • /
    • pp.27-38
    • /
    • 2014
  • Recently, urban and transportation planning for Transit Oriented Development(TOD) has become a major issue. For the effective policy implementation of TOD,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travel behavior of residents in housing areas.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travel behaviors of residents by housing types based on 'the 2010 Household Travel Survey Data' focusing on metropolitan areas. By building an estimation model for subway trip frequency by housing types, it was identified that the factors influencing subway trips and ultimately suggested implications to increase the use of the subway. The highest share of bus mode was for detached house residents with 22.8%, whereas the share of subway mode was highest by efficiency apartment residents with 17.5%. Walking distance to the subway from efficiency apartment and row house were verified as 661meters and 749meters. As the residents of each housing type have more cars and bicycles, their subway trips were decreased. It was also found that subway trips were increased when the population density of residence was high with good accessibility to subway stations and poor accessibility to bus service. In this study, the statistical findings to differentiate the planning factors of public transportation by housing types were also provi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used for urban design considering the travel behaviors of residents by housing types and can also be utilized for promoting the patronage of public transportation. Some limitations and a future research agenda have also been discussed.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network model for Mode Choice and Trip Assignment (통합교통망 수단선택-통행배정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김현명;임용택;이승재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7 no.5
    • /
    • pp.87-98
    • /
    • 1999
  • 전통적인 교통계획 과정에서 이용되어 온 수요모형들은 대부분 수단선택과 통행배정을 나누어 실시하는 모형이 주를 이루어 왔다. 그러나 교통수단이 다양해짐에 따라 실제 통행자들은 통행 도중 환승을 통해 수단을 전환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이 경우 수단선택 과정과 통행배정 과정을 하나로 통합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기종점간 수단 분담율은 기점과 종점에서의 그 값이 다르지만 수단선택과 통행배정이 분리되어 있는 기존 모형을 적용할 경우, 출발과 도착시의 수단 분담율이 동일하게 나타나는 비현실적인 결과를 도출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통행수단을 통행의 기본단위로 보고, 수단통행량을 추정하기 때문에 그 수단을 이용하는 통행자들의 행태 대신 수단의 특성만이 모형화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존의 교통계획 과정에서는 수단분담 과정과 통행배정과정이 분리됨에 따라 수단간 환승이 고려되지 않아 통행자들의 경로 구성과정을 정확히 표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 수단분담 모형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로짓 모형의 경우 환승을 고려하면 비관련 대안간 독립성문제(CIA)가 발생하고, 환승경로 수요추정이 불가능해 사실상 통합 교통망과 같이 복수 수단이 운행하는 교통망은 분석하기 어렵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람통행(Person Trip)을 기반으로 하는 수단분담-통행배정 통합모형을 개발하고 기존의 결합모형과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 Lane Changing Model Yielding Reallstic Lane Usage (차로이용률을 유도하는 차로변경모형의 개발)

  • 연지윤;장명순;김진태;손봉수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5
    • /
    • pp.99-111
    • /
    • 2002
  • 전산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근래에 모의실험을 이용한 연속교통류의 미시적 분석이 활발히 수행되고 있고 다양한 모의실험 전산모형이 소개되고 있다. 미시적 연속교통류 전산모의실험은 차량추종모형과 차로변경모형을 적용하여 다양한 운전자들의 차량운행행태를 모사하여 분석하는 실험이다. 전산모형은 난수를 토대로 차량의 자유속도와 초기 발생 차로를 배정하기 때문에 낮은 자유속도를 할당받은 차량이 높은 속도의 차로(예:1차로)로 발생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많은 모의실험모형이 사용하고 있는 차로변경의 가정이 "운전자는 자신이 원하는 속도(자유속도)를 유지한다"는 것이며 그러한 가정만의 적용으로 인해 현실적이지 않은 차로 이용률이 결과되고, 따라서 전산모형을 통한 교통류 흐름분석에 문제를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 도로국에서 20여년 동안 개발되고 수정되어왔으며 현재 실용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Freeway Simulation(FRESIM) 전산모형이 내재한 차로변경모형을 토대로 고속도로 기본구간에서의 선택적 차로변경모형을 제시한다. 제시된 모형에서는 (1)저속의 선행차량이 고속의 후행차량에게 차로를 양보하는 가정이 새롭게 추가되고 (2)FRESIM모형에서 사용하는 상수값을 국내 현장조사를 통하여 도출된 분포식을 통한 값으로 대체하였다. 수집된 자료분석결과 연속 교통류에서의 15% 차두시간은 1.34초이며 차로변경시간은 평균 2.22초인 F분포를 따르고, 자유속도는 정규분포를 따르는 것으로 결과되었다. 모의실험결과 무작위난수를 토대로 배정된 차로로 생성된 차량들이 새롭게 제시된 차로변경모형의 적용으로 현장 차로이용률을 95% 신뢰수준에서 모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nalysis of spatial change for the subway construction using satellite image (위성영상을 활용한 지하철건설 전후의 공간환경변화에 관한 연구)

  • Han, Ki-Bong;Kang, In-Joon;Kim, Na-Young;Choi, Hyun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343-348
    • /
    • 2007
  • 위성영상은 항공사진과 더불어 지표면의 변화를 신속하고 주기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장점뿐만 아니라 위성영상에 포함된 분광정보는 시간에 따른 지표면의 변화를 면밀하게 관찰이 가능하다. 이러한 장점들을 이용하여 현재 도시의 중추적인 교통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는 지하철 구간주변을 대상으로 시간에 따른 공간변화를 알아보았다. 지하철 건설전후의 구간을 대상으로 Landsat TM영상을 이용하여 토지이용변화 정도를, SPOT Panchromatic 영상을 이용하여 주거 및 상업지구의 변화정도를 위성영상을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부산에서 발간한 토지건축물 대장, 교통유발금부과대장을 통해 영상에서 나타난 건물들이 어떤 용도의 건물인지를 파악하고 부산교통공사에서 발간한 일반현황자료를 통하여 지하철이용의 현황과 이용행태를 주변 공간변화와 더불어 분석해보았다.

  • PDF

An Assessment of Trip-maker's Behavior Under Uncertainty for Value of Travel Time (시간가치의 불확실성 아래 통행자행태에 관한 연구)

  • 문동주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 no.1
    • /
    • pp.64-81
    • /
    • 1983
  • 소비자 행태에 관한 신고전 경제이론을 통행수요의 분석에 그대로 적용하는데 문제 가 되는 특기 사항으로는 운임이외에 통행시간과 같은 서어비스 질도 통행수단의 선택에 영 향을 미친다는 점과 특정 두지점간의 통행에서 동일한 소비자도 여러 수송수단을 이용한다 는 점을 들수 있다. 본 연구의 주제는 이와같은 통행수요의 독특한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소비자의 효용최대화모형의 설정과 이 모형에서 유도된 수요함수의 구조를 분석함에 있다. 상술하면, 통행시간 가치의 불확실성 아래에서 효용을 극대화하는 의사결정문제를 Stochastic Programming 모형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이 모형에서 유도된 특성 통행수단의 수요함수는 이 수단이 가장 유리한 시간가치의 범위에 대한 부정적분으로 표현되며 이 적분 범위와 피적분함수는 모든 경쟁수단의 운임과 통행수단의 함수로 정의됨을 증명하였다. 또 한 수요함수는 통행수요에 관한 통계분석모형에서 묵시적으로 가정되고 있는 통행수단간 대 체성(Property of gross substitute)과 대각방향우세성(Property of diagonal dominance)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 PDF

Inherent Random Heterogeneity Logit Model for Stated Preference Freight Mode Choice (SP 화물수단선택을 위한 Inherent Random Heterogeneity 로짓 모형 연구)

  • KIM, Kang-S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3
    • /
    • pp.83-92
    • /
    • 2002
  • Freight mode choice models are essential to the analysis of many areas of transport research. However, observations of actual market choices have only been made in a limited number of situations. Therefore, stated preference(SP) techniques have emerged as an alternative source of actual market choices to be used for estimating freight mode choice models. Considerable confidence exists about SP data, but little consideration has been given to the potential for estimation bias. This paper has been motivated by the theoretical side of estimating SP discrete choice models, focusing on a case study of freight mode choice. Recently developed simulation methods are used to construct inherent random heterogeneity legit models, which consider individual heterogeneity, its inheritance to the next choices and overcome the independence from irrelevant alternatives (IIA) property.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models dealing with heterogeneity and its inheritance, and sheds light on the heterogeneity of freight transport.

Development of A Dynamic Departure Time Choice Model based on Heterogeneous Transit Passengers (이질적 지하철승객 기반의 동적 출발시간선택모형 개발 (도심을 목적지로 하는 단일 지하철노선을 중심으로))

  • 김현명;임용택;신동호;백승걸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9 no.5
    • /
    • pp.119-134
    • /
    • 2001
  • This paper proposed a dynamic transit vehicle simulation model and a dynamic transit passengers simulation model, which can simultaneously simulate the transit vehicles and passengers traveling on a transit network, and also developed an algorithm of dynamic departure time choice model based on individual passenger. The proposed model assumes that each passenger's behavior is heterogeneous based on stochastic process by relaxing the assumption of homogeneity among passengers and travelers have imperfect information and bounded rationality to more actually represent and to simulate each passenger's behavior. The proposed model integrated a inference and preference reforming procedure into the learning and decision making process in order to describe and to analyze the departure time choices of transit passengers. To analyze and evaluate the model an example transit line heading for work place was used. Numerical results indicated that in the model based on heterogeneous passengers the travelers' preference influenced more seriously on the departure time choice behavior, while in the model based on homogeneous passengers it does not. The results based on homogeneous passengers seemed to be unrealistic in the view of rational behavior.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aggregated travel demand models such as the traditional network assignment models based on user equilibrium, assuming perfect information on the network, homogeneity and rationality, might be different from the real dynamic travel demand patterns occurred on actual network.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Disaggregate Logit Models from Choice-Based Freight Data (선택기반 화물데이타를 이용한 개별로짓모형의 적용에 관한 연구)

  • Nam K.C.
    • Journal of Korean Port Research
    • /
    • v.7 no.1
    • /
    • pp.25-42
    • /
    • 1993
  • 지난 20여년간 화물수송 분야에는 큰 변화가 있었다. 수송 공급 측면에서는 보다 다양하고 기술적으로 앞선 수송수단들이 등장했으며, 수송 수요 측면에서는 로지스틱스 개념의 도입으로 화주들의 보다 높은 수송 서비스가 요구 되었다. 수송수단의 수송 분담에 있어서도 특히 철도에서 공로로의 두드러진 화물이동 현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수송 현안 해결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화물수송수요 예측기법의 이론적, 개념적인 발달을 가져왔다. 그 중 두드러진 발달은 화주의 행태를 반영하는 행태모형의 개발과 새로운 자료수집 방법 및 자료형태이다. 전통적으로 화물수송 및 교통 연구에 널리 사용된 행태모형은 확률표본을 사용하여 왔으나, 80년대 부터 비확률 표본 사용에 관심이 높아졌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 기반근거 데이터를 들 수 있다. 이 데이터는 제한된 정보를 제공한다는 자료자체의 한계를 지니고 있으나, 자료수집이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화물수송 분야에서 선택기반 데이터를 이용한 연구는 현재까지 두 편이 발표 되어 있다. 따라서 볼 연구는 선택기반 데이터를 이용한 개별선택모형의 잠재력을 검증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네 종류의 제조품 그룹을 대상으로 기반근거 데이터를 수집하여 로짓모형을 추정하였으며, 추정결과를 이전 연구들의 결과와 비교하여 그 타당성을 검토 하였다. 추정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직관적으로 타당한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그 결과는 문헌의 결과와도 일치하였다. 수송계획에 있어서 자료수집비용 절감의 필요성을 생각할 때 이것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PDF

A Study on Users' Travel Behavior Analysis of Transit Transfer (대중교통 이용자의 환승교통수단선택 행태분석에 관한 연구)

  • Lee, Sang Hyuk;Kim, Jae Seok;Kim, Min Seok;Woo, Yong Ha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2 no.1
    • /
    • pp.147-157
    • /
    • 2013
  • This study developed the transit transfer mode choice model aimed Daegu transit users using multinomial logit model. Dependent variables of estimating multinomial logit model were transit transfer modes such as bus to bus, bus to subway, subway to subway, bus to others, and subway to others, and explanatory variables which affect transit transfer mode choice were sex, age, occupation, handicap, transfer area, purpose of travel and travel time. Also probability regarding explanatory variables was estimated using multinomial logit model and limit marginal analysis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explanatory variables(cost, time). In the results, indicating goodness of fit is very reasonable as ${\rho}^2$=0.354. According to the result of marginal analysis for the selection of probability, when travel time is increased, users of bus to bus and bus to subway prefer to use subway to subway. Furthermore users of bus to bus and bus to subway prefer to use bus to others and subway to others when travel cost is increased in the result of marginal analysis for the selection of probability.

Analysis of the effect of improving access to wide-area public transportation on the Regional Economic Revitalization (광역 대중교통 접근성 향상이 관광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미치는 효과 분석)

  • Sangkeun Lee;Seungmin Yu;Jun Lee;Daeill Kim
    • Smart Media Journal
    • /
    • v.12 no.8
    • /
    • pp.26-36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ways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by analyzing the index changes and tourism big data before and after the opining of the KTX on the Gangneung Line in Gangneung City, where the population continues to decline. For This, the main current status of Gangneung-si and internal operation record data(DTG) of Gangneung-si were analyzed. After that, changes in the movement behavior of public transportation users before and after the opening of the KTX Gangneung Line were compared.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observe changes in tourist transportation preferences, demographic shifts, alterations in small-scale business sectors and in the travel patterns of tourists within the city of Gangneung. In particular, changes in the small business sector have shown an increase in general restaurants, leisure food establishments(cafes, etc.), and accommodation facilities following the opening of the KTX Gangneung Line. All three sectors have experienced growth concentrated in the vicinity of Gangneung Station, indicating the influence of Gangneung Station, which opened in the central part of Gangneung city, following the inauguration of the KTX Gangneung 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