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체 주기

검색결과 316건 처리시간 0.026초

저전력 셋톱박스를 위한 가상화 서비스 제공 방법 (A Method of Providing Virtualized Services for Set-Top Box with Low Power Mode)

  • 권은정;정의석;이현우;이용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12-413
    • /
    • 2016
  • 최근 그린IT가 주요 사업으로 급부상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소비전력 저감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특히, 멀티미디어서비스 발전에 따라 '국내 셋톱박스가 2,000만대 이상 보급되었으나 미사용 대기시간에도 상당한 양의 전력을 소비하여 국가 전력 수급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어 이에 대한 해결방안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방송 서비스 사업자는 방송 콘텐츠의 활용성 증대, H/W교체 주기 연장 및 소비전력 저감 등의 이점으로 인하여 저전력 모드를 지원하는 셋톱박스에 가상화 서비스 제공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방법을 또한 모색하고 있다. 본 논문은 셋톱박스의 발전 방향이 하이브리드화, 고기능/복합화 함으로써 소비전력이 더욱 증가하고 있으므로 셋톱박스의 소비전력 저감을 보장하고, 가상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고려사항과 에너지 효율성을 보장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확률적 수리비용과 임계수준을 고려한 주기적 교체 모형에 관한 연구 (A Periodic Replacement Model with Random Repair Costs and Threshold Levels)

  • 강영길;강성진
    •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4-125
    • /
    • 1992
  • A policy of periodic replacement with minimal repair at failure is considered for a complex system. Under such a policy the system is replaced at periodic times. iT(i=1,2, $\ldots$), while minimal repair is performed at any intervening system failures. The cost of the j-th minimal repair to the component which fails at age t is g(C(t). $c_j$ (t)), where C(t) is the age-dependent random part, $c_j$(t) is the deterministic part which depends on the age and the number of the minimal repair to the component, and g is a positive nondecreasing continuous function. The cost of replacement is expensive when the number of failures occurring in (0. T) is greater than a threshold level. The problem of determining the optimal replacement period, $T^{\ast}$, which minimizes the total expected cost per unit time over an infinite time horizon is considered. Various special cases are considered.

  • PDF

도시철도 전기설비 온라인 상태진단 기술 (On-line Condition Monitoring Technology of Railway Electrification System)

  • 김도윤;정호성;박영;이상빈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8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9
    • /
    • pp.500-500
    • /
    • 2008
  • 최근들어, 도시철도 전력설비에는 온라인 상태진단이 가능한 센서를 설치하여 각 기기의 상태를 상시 감시하는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이 적용됨으로써 전력설비의 교체 주기를 판단하고, 사고를 미연에 방지 하는 등의 최적의 관리를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운영기관에 따라 다양한 방법의 진단설비가 설치되어 있어 유지보수가 어려워, 도시철도에 적합한 진단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어 지고 있다. 도시철도 주요 전기설비로는 변압기, 단로기, 차단기, 정류기 등이 있다. 현재 이를 진단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각 장치에 따라 부분방전시험, 유전정접시험, 절연유분석시험, 차단기동작시험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 외에서 제시되고 있는 전기설비의 온라인 상태진단 기술을 조사하고, 상용화된 온라인 상태진단 시스템을 분석하여 도시철도 전기설비에 적용 가능한 상태진단 항목과 상태진단 기법을 조사, 분석하였다.

  • PDF

전동차 출입문제어 계전기의 신뢰도예측을 통한 적정 교체주기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of Optimal Replacement Period by Reliability Prediction for the Door Control Relay of EMU)

  • 한재현;김종운;구정서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8권7호
    • /
    • pp.34-40
    • /
    • 2014
  • In this paper, we want to know the optimal replacement cycle(time) for this study was performed. The optimal preventive replacement age can be fond by finding the value of time that minimizes the cost function(model of Barlow and Jardine). In addition, The reliability of the relay according to the service environment were studied. The use of the exchange relay period is longer, and maintenance cost rate(per hour) may increase, and also the reliability may cause a decline. In addition, considering the preventive maintenance and purchase order, a representative relay(RAX-L440-A type) life was calculated.

철도사고 위험원 분석을 통한 철도신호안전기준(안) 작성 (A draft of a safety criteria of railway signal based on the hazard analysis of railway accidents)

  • 윤용기;황종규;이재호;김용규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제38회 하계학술대회
    • /
    • pp.2082-2083
    • /
    • 2007
  • 고속철도 운행, 도시철도 고밀도화, 무인자동운전의 경량전철 등 신교통시스템 도입 등 급변하는 철도환경에 따른 철도안전의 위험요인이 증가하고 있다. 국내 철도사고 사망자는 설비개량, 노후차량교체, 건널목입체화로 감소하고 있으나 10년을 주기로 대형참사가 발생하고 있으며, 철도관련 종사자의 안전의식이 낮은 수준이다. 이러한 대형참사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철도안전법이 제정되고 이의 효율적인 시행기반을 구축하기 위하여 철도시설안전체계 구축 및 기술분야별 안전기준을 개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철도종합기술개발사업의 철도사고 위험요인분석(PHA : Preliminary Hazard Analysis)을 토대로 관계있는 위험원을 선정하였다. 또한 위험원에 의한 사고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철도신호분야의 안전기준항목을 기술하였다.

  • PDF

ETA 및 암모니아 수용액에서 연속화학평형 모델을 이용한 이온교환 모델링 (Sequencing Chemical Equilibrium Modeling for Ion Exchange in ETA and ${NH}_{3}$ Aqueous Solutions)

  • 이인형;안현경;김상대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325-327
    • /
    • 2003
  • 원자력 발전소 2차계통수에는 pH를 조절하여 부식을 억제하기 위해 pH제어제로 암모니아를 사용하였으나 상변화 지역에서 액상의 pH가 낮아 부식생성물이 생성, 증기발생기로 유입되어 진열관의 부식을 촉진 시킨다. pH 제어제로 암모니아 대신 ETA를 도입하여 pH를 증가시키고 증기발생기로 유입되는 부식생성물의 양을 감소하여 진열관의 부식을 억제시키고 있다. 그러나 암모니아에서 ETA로 변경함에 따라 증기 발생기취출수계통의 탈염의 운진기간이 단축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탈염기의 수지 교체주기도 연장시키고 안전성도 확보할 수 있는 탈염기내 양ㆍ음이온 이온교환수지 조성 비율을 최적화하는데 있다. 연속화학평형모델을 이용한 결과 양ㆍ음이온 이온교환수지 비율이 10:1일 경우 최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유기발광소자를 위한 가교형 정공 수송 재료 (Cross-linked Hole-Transporting Materials for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 김정규;육경수
    • 공업화학전망
    • /
    • 제22권3호
    • /
    • pp.1-5
    • /
    • 2019
  •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자로서 상용화된 유기발광소자(OLED)는 현재 진공기반의 증착공정을 통해서 제작되므로 제조공정 비용이 높다. 진공 증착공정을 용액공정으로 교체하면 공정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지만, 용액공정으로 다층 박막 구조를 형성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층 구조를 제작할 때 이미 형성된 하부 박막 위에 새로 형성되는 박막이 하부 박막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용액 공정용 잉크 용매의 내용제성을 증가시켜 상부 박막을 코팅할 때 하부 박막이 용해되거나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하는 가교형 소재를 이용한 방법이 있다. 본 원고에서는 OLED 소자를 용액공정으로 제작하기 위한 가교형 정공 수송 재료의 특징과 개발 현황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의료장비 수요예측 및 유지보수 최적화를 통한 병원 효율성 제고에 관한 연구 (Enhancing Hospital Efficiency Through Medical Equipment Demand Forecasting and Maintenance Optimization)

  • 김지은;김관빈;송병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86-487
    • /
    • 2024
  • 본 연구는 병원, 종합병원 등 유형에 따른 의료장비 수요를 분석하고 최적화하는 시스템 개발을 목표로 함. 병원 유형별 장비 재고를 분석하여 수요를 예측하고, 유지보수 일정 및 장비 교체주기를 추천하는 기능을 포함함. 예비 연구 결과, 이 시스템은 중복 장비 구매를 줄이고 자원 할당을 최적화하여 비용 절감 효과를 보였으며, 예측 유지보수를 통해 가동 시간 증가와 고장 감소 등 병원 운영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남. 이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병원은 의료 장비의 더 나은 계획 및 관리를 통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

지속적 바이오매스 생산을 위한 클로렐라 반연속 배양 연구: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광원 및 고농도 인과 질소를 함유한 배지 사용 효과를 중심으로 한 연구 (Optimum Semi-Continuous Cultivation of Chlorella sp. FC-21 for Production of Biomass: Light Emitting Diodes as a Light Source and High Concentrations of Nitrogen and Phosphate in Culture Media)

  • 최보람;임준혁;이제근;이태윤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523-527
    • /
    • 2012
  • 본 연구는 담수미세조류의 일종인 클로렐라를 적색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반연속 배양하기 위한 조건을 찾기 위해 수행되었다. 클로렐라 배양에 가장 효율적인 적색 LED를 사용하여 반연속배양을 실시하였으며, 배양 중 인과 질소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이는 클로렐라의 성장과 반비례의 관계를 보여 주었다. 효율적인 반연속 배양을 위해 인과 질소의 농도를 증가시킨 배지를 사용하여 배지교체 주기를 연장시켜 배양 효율성을 높였다. 배지교체 시 클로렐라의 셀 농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셀 크기는 감소하였다. 셀 농도와 셀 크기를 고려할 때 배양 전과정을 통해 생산되는 바이오매스의 양은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보조 경로를 이용한 에너지 인식 라우팅 알고리즘 (Energy-Aware Routing Algorithm using Backup Route for Ad hoc Network)

  • 정세원;이채우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2권6호
    • /
    • pp.23-32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에너지 제약적인 애드 혹 네트워크를 위해서 보조 경로 기법을 사용하여 네트워크의 에너지를 고르게 사용함으로써 네트워크 수명을 증가시키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최근 네트워크의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On-Demanding 방식 기반의 다양한 알고리즘들이 제안되었다. 그 중 PSR(Power-aware Source Routing)은 경로 탐색 동안에 선택된 하나의 경로만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DSR(Dynamic Source Routing)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에너지 사용량에 따라 경로를 주기적으로 교체함으로써 네트워크 수명을 늘린다. 그러나 이는 경로 교체 동안 발생되는 잦은 플러딩(Flooding)으로 인해 라우팅 오버헤드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경로 탐색 동안 설정된 보조경로(Backup Route)를 사용해 플러딩의 발생 없이 경로를 변경시키는 HPSR(Hierarchical Power-aware Source Routing)을 제안한다. HPSR은 보조 경로를 사용한 잦은 경로 변경 통해 네트워크 수명을 증가시키면서도 플러딩의 감소로 라우팅 오버헤드를 감소시킨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OPNET을 사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HPSR의 성능을 검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