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차상관분석

Search Result 380,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함양지역 지하수위 변동자료의 시계열 분석

  • 정재열;함세영;손건태;이병대;류상민;차용훈;류수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9a
    • /
    • pp.548-551
    • /
    • 2003
  • 부산 금정산 지역의 지하수위와 강우량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시계열 분석을 통하여 자기상관함수와 상호상관함수를 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금정산 산성마을 주변의 19개 관측공 중 자동수위측정기가 설치된 4개 관측공(KJ2, KJ8, KJ15, KJ19)의 지하수위 자료와 부산지역의 강우량 자료를 이용하였다. 지하수위 및 강수량은 각각 1일 평균, 1일 누적 값을 이용하였다. 자기상관분석의 경우, KJ2와 KJ19의 경우 지연시간이 2일 이내, KJ8의 경우는 3일 이내에 0으로 수렴하며, KJ15의 경우는 지연시간이 8일째에 0으로 수렴한다. 강수량과 지하수위의 교차상관분석결과, KJ2, KJ15, KJ19호 공은 지연시간이 0일 때 교차상관함수가 각각 0.6572, 0.6303, 0.7857이교 KJ8호 공은 지연시간이 1일 때 0.7141이다. 또한 대부분 짧은 지연시간에 교차상관함수가 0으로 수렴한다.

  • PDF

창원 강변여과수 취수지역의 지하수위와 낙동강 수위의 연관성 분석

  • Jeong, Jae-Yeol;Ham, Se-Yeong;Kim, Hyeong-Su;Han, Jeong-Sang;Son, Geon-Tae;Cha, Yong-Hun;Jang,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9a
    • /
    • pp.227-230
    • /
    • 2003
  • 시계열 분석 기법을 통하여 창원시 대산면 갈전리 강변여과수 취수지역의 지하수위와 하천수위와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연구지역의 6개 관측공의 30분 간격의 지하수위의 자기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세 개의 그룹으로 나타난다. 이 세 그룹은 낙동강으로부터 가까운 거리에 있으며 강한 자기상관성을 보이는 그룹(1그룹), 하천으로부터 비교적 가깝고 양수정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그룹(2그룹), 그리고 약한 자기상관성을 보이는 그룹(3그룹)으로 나타난다. 1그룹이 강한 자기상관성을 보이는 것은 낙동강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며, 3그룹의 약한 자기상관성은 취수정의 양수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6개 관측공 지하수위와 낙동강 수위의 교차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차상관함수가 0.1이하의 낮은 교차상관성을 보이고 있다. 이는 취수정의 양수에 의한 관측공의 수위변동에 의해서 낙동강 수위와의 연관성이 잘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 PDF

Analysis of groundwater level variability in the middle mountain area of Pyoseon watershed in Jeju Island using normalized standard deviation and cross correlation coefficient (정규화된 표준편차 및 교차상관계수를 이용한 제주도 표선유역 중산간지역의 지하수위 변동성 분석)

  • Shin, Mun-Ju;Moon, Soo-Hyoung;Moon, Duk Chu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3 no.5
    • /
    • pp.337-345
    • /
    • 2020
  • 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 for proper management of groundwater resources,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precipitation and groundwater withdrawal on groundwater levels is needed.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orrelation of precipitation-groundwater level and groundwater withdrawal-groundwater level using time series data converted by normalized standard deviation (Nor.St.Dev) and cross correlation coefficient (CCC) for nine groundwater monitoring wells in the middle mountainous area in the southeastern Jeju Island. First, the CCCs of precipitation-groundwater level were estimated using daily time series data, and the low CCCs of up to 0.3 were obtained. However, the result of using the Nor.St.Dev showed a clearer correlation by obtaining a CCC of up to 0.8. In addition, in most cases, precipitation variability and groundwater level variability had positive CCCs, whereas groundwater withdrawal variability and groundwater level variability had negative CCCs. Therefore, the groundwater level in this study area was largely influenced by precipitation with little effect of groundwater withdrawal. Last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ve effects of Seongpanak and Gyorae rainfall station on the groundwater level, the rainfall at the relatively downstream Gyorae rainfall station has more influence. The analysis method used in this study can be easily used for analyzing the effects of precipitation and groundwater withdrawal on groundwater level variability in other regions in the futur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limate indices and Korean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using empirical mode decomposition : II. Correlation analysis (경험적 모드분해법을 이용한 기상인자와 우리나라 강수 및 기온의 상관관계 분석 : II. 상관관계 분석)

  • Ahn, Si-Kweon;Choi, Wonyoung;Shin, Hongjoon;Heo, Jun-Hae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9 no.3
    • /
    • pp.207-215
    • /
    • 2016
  • In this study, it is analyzed how large scale climate variation has an effect on climate systems over Korea using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limate indices and Intrinsic Mode Functions (IMFs) of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For this purpose, the estimated IMFs of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from the accompanying paper were used. Furthermore, cros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lag time between climate indices and IMFs were calculated considering periodicities and tendencies. As results, more accurate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obtained compared with those between climate indices and raw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data. We found that the Korean climate is closely related with climate variations of $El-Ni{\tilde{n}}o$ in terms of periodicity and its tendency is followed with increasing sea surface temperature due to climate change.

A study on Appropriate Range of Vertical Grade at Urban Road Intersections (상관관계분석을 통한 도시부 평면 교차로의 종단경사 적정범위 연구)

  • Lee, ki-young;Yoon, Byoung-Jo;Jang, Jae-Hun;Yang, Sung-R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199-200
    • /
    • 2015
  • 도시부 교차로의 설계는 지방부 교차로와 근본적으로 달라야 하나, 현행 도시부 교차로 설계는 지방부 교차로 설계기준을 준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부 및 지방부 교차로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고, 국내외 교차로 종단경사 설계기준을 검토한 후 적정 설계기준(안)을 적용한 후, 이를 통계적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검증하여 설계기준을 정립하는 순으로 진행 하였다. 분석결과 정면충돌사고율과 차대차추돌사고율이 종단경사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적정 교차로 종단경사를 적용한 설계가 이루어져야 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The Study on Time Series Analysis of Groundwater Data and Groundwater Recharge in Jeju Island (제주도 수리자료에 대한 시계열 분석 및 지하수 함양률 추정 연구)

  • Choi, Hyun-Mi;Lee, Jin-Yong;Ha, Kyoo-Chul;Kim, Gee-Pyo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1 no.4
    • /
    • pp.337-348
    • /
    • 2011
  • We examined temporal variations in and relationships among groundwater level, groundwater temperature, and electric conductivity, and estimated groundwater recharge at Jeju Island. The time lag and regulation time of groundwater level data revealed that monitoring well in Ansung (JM-AS) has the highest auto-correlation. The cross-correlations for electric conductivity-water level, precipitation-water level, and air temperature-water temperature revealed that monitoring well in Seogwi-2 (JR-SG2) (electric conductivity-water level), monitoring well in Hamo (JD-HM) (precipitation-water level), and monitoring well in Wonjongjang-2 (JT-WJJ2) (air temperature-water temperature) had the highest cross-correlations. The average groundwater recharge ratio was 39.61%, and the average groundwater recharge amount was 1,153,490,407 $m^3/yr$,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Relationship between Hydrologic Flux of Total Organic Carbon and Gross Primary Production (총 유기탄소의 수문학적 플럭스와 총 일차생산량 사이의 관계분석)

  • Park, Yoonkyung;Cho, Seonju;Choi, Daegyu;Kim, Sangda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4 no.4
    • /
    • pp.503-518
    • /
    • 2012
  • Models estimating carbon budget at land surface are mainly interested in vertical flux of carbon. On the other hand, studies on horizontal flux are obviously lacked to confirm that relationship between the hydrological flux of organic carbon discharged from catchment and terrestrial carbon production, a relation between Total Organic Carbon(TOC) and Gross Primary Production(GPP) tried analysis through cross correlation. The best correlation structure is correlation between GPP and TOC of flow-weighted mean concentration from watershed without delay. Furthermore, cros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consider periodicity. The correlation between TOC and GPP in summer was similar to correlation without periodicity. Therefore, correlation between GPP and TOC was most regulated by the correlation between GPP and TOC at summer. As a result, the vegetation carbon and organic carbon from watershed is recognized a close relationship on the seasonal. Therefore, future research is correlation analyzing between vegetation variables according season, GPP and TOC, we are expected to use quantitative understanding that horizontal flux flow of carbon from the surface.

대구시 주거지역의 오존농도 평가

  • Kim, Beom-Jun;Choe, Seong-U;Kim, Hye-Jin;Choe, Hy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122-123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2001년부터 2005년까지의 최근 5년간의 대구시 보건환경연구원의 대기질 자동측정망 자료와 대구기상대의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대구시 주거지역의 오존농도를 평가하였다. 분석기간은 2001년부터 2005년까지 고농도 오존일이 가장 많이 발생한 5, 6월을 대상으로 하여, 오존농도와 대기오염물질 및 기상요소와의 상관관계분석과 교차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구지역의 오존농도는 측정지점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기온 및 일사량이 증가하는 하절기에 증가하고, 동절기에 감소하는 전형적인 패턴을 보여주었다. 분석기간 중 오존최고농도는 상관관계분석 결과 고농도 오존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 대기오염물질로는 $NO_2$, NO 그리고 기상요소로는 온도, 상대습도, 일사량으로 나타났다. 교차상관관계분석 결과 NO2, NO, 온도와 상대습도는 0시간 차이에서 가장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내었으며, 일사량의 경우 오존농도가 최고치를 나타낼 때보다 -2시간 차이에서 가장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내었다.

  • PD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ecipitation and the Groundwater Levels and Electrical Conductivity Variation in Agricultural Villages (농업마을에서 강수량과 지하수위와 전기전도도 변동량의 상관관계)

  • Jo, Won Gi;Kang, Dong-hwan;Park, Kyeong-D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15-415
    • /
    • 2021
  • 농업시설의 확장과 함께 수자원으로서 지하수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면서 지하수 수질 특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강수량과 지하수 그리고 전기전도도의 상관관계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많은 연구에서 선행 강수를 고려한 누적이동강수량을 사용하여 지하수위와 강수량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줄어든 강수일수와 강수량으로 인하여 지하수 수질 변동의 장기간 분석이 어려워짐에 따라 지하수 수질변동에 대한 강수량의 단기간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지하수위 변동량과 강수량의 상관관계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지하수위 변동량은 지하수 함양률 산정 및 함양 특성 분석 등 지하수 변동 특성을 분석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본 연구에서는 충남 예산 효교리에서 2019년 7월 1일부터 2020년 6월 30일까지 지하수위와 전기전도도를 관측하였고 지하수위와 전기전도도 변동량을 강수량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단기적인 변동 특성을 해석하고 상관관계를 도출하였다. 먼저, 강수량과 지하수위, 전기전도도의 시계열 분석을 통한 교차상관분석(cross-correlation)을 수행하여 자료 간에 지연 시간(lag time)을 산정하였다. 다음, 지연 시간을 고려하여 강수량과 지하수위 변동량의 상관성 분석과 강수량과 전기전도도 변동량의 상관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