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차감염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27초

간흡충 감염 가토의 면역진단에 대한 연구 2. 성충 조항원의 정제 및 발육단계별 항원 분석 (Studies on the Immunodiagnosis of Rabbit Clonorchiasis 2. Immunoamnity purification of whole worm antigen and characterization of egg, metacercaria and adult antigens of Clonorchis sinensis)

  • 이옥란;정평림;남해선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6권2호
    • /
    • pp.73-86
    • /
    • 1988
  • 간흡충(Clonorchis sinensis)의 조항원(WWA), 정제항원(ABA)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비교해 보는 한편, 발육단계별로 충란 항원(EGA)-피낭유충 항원(MEA)-성충 항원(WWA)의 단백질 구성물질의 차이를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SDS-PAGE)로 관찰하고 이들 항원의 유용성을 효소면역반응(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으로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간흡충의 조항원으로부터 정제된 항원(ABA)은 항체와 결합한 결합항원(affinity-purified antibody(IgG) binding antigen:ABA)으로서 Ouchterlony 반응으로 간흡충 감염 가토혈청과 4개의 침모대 (WWA는 7개)를 형성하였다. WWA의 major protein들은 분자량 16,300∼18,500 및 28,000∼29,000 dalton의 Polypeptide band였고, ABA는 분자량 18,000∼21,000 및 29,000∼31,000 dalton의 단백질로 다소의 차이를 보였다. ELISA시첩에서 ABA는 WWA에 비해 현저히 민감도가 낮았다. WWA와 ABA에 대한 폐흡충 감염 사람혈청의 ELISA 정사에서 WWA는 Ouchterlony 양성자 8예중 3예에서 교차반응을 나타내었으나 ABA는 교차반응을 나타내지 않았다. 간흡충의 발육단계별 항원 단백질의 분자량 범위는 WWA 11,000∼80,000, MEA 15,000∼100,000, EGA 15,000∼200,000 dalton이었다. 주류원 단백질의 분자량은 EGA는 각각 36,600 (band No. 22), 38,500(No. 20), 64,000(No. 9), 62,000(No. 10), 54,500(No. 11), 53,000(No. 12) dalton, MEA는 각각 65,600(No. 3), 44,700 (No.7), 43,900(No. 8) dalton, WWA는 각각 16,300∼18,500(No. 31-32), 28,000∼29,000(No. 25), 11,000w13,000 (No. 35) 및 31,000(No. 24) dalton이었다. 즉, MEA와 EGA가 WWA보다 고분자의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었다. 각 발육단계별 항원의 항원성은 ELISA 반응으로 볼 때 WWA가 가장 높았고, MEA는 약한 항원성만을 나타내었으며 EGA는 음성이었다. WWA와 간흡충 감염 가토혈청은 감염 4∼6주에 OD>1.0, 12주 이후 항체가의 plateau를 나타내었으나 MEA는 Ouchterlony 반응에서 EGA와 함께 음성반응을 보였다. ELISA에서도 중감염군(12∼20주)에서만 OD>0.6으로 미약한 항원성이 인정되었으며 경감염군은 전감염기간중 OD<0.6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성충 항원이 가장 강력한 함원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음이 명백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성충 조항원은 면역진단에 사용할 겹우 타흡충과의 빈번한 교차반응이 예상되므로 민감도 및 특이도가 높은 정제 항원물질을 분리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소 세균성 폐렴과 예방대책

  • 이희수
    • 월간피드저널
    • /
    • 제4권12호통권40호
    • /
    • pp.136-141
    • /
    • 2006
  • 소에서 발생하는 호흡기 질병은 가축이 가지고 있는 내적인 요인과 사육환경의 악화나 각종 스트레스 등의 외적인 요인과의 복합적인 균형의 파괴에서 시작된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질병발생요인은 다른 축종이나 소화기 등 타 질병에서도 동인한 사항으로 생각될 수 있으나 호흡기질병의 경우 환경적인 요인이 더욱 중요한 발병이자로 작용하게 된다. 즉 밀집다두사육, 환절기의 낮과 밤의 큰 일교차, 환기불량이나 우사내의 유해가스, 장거리 수송 등의 스트레스가 일차적인 발병인자가 되며, 이타적으로 가축이 가지고 있거나 외부에서 유입된 여러 가지의 병원 미생물의 다량증식하고, 동물개체는 면역력이 떨어지면서 질병에 감염되어 단일 또는 복합적인 임상증상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호흡기질병의 원인균에는 다양한 종류의 세균 및 바이러스에 의해 이루어지며, 단일의 원인균에 의한 질병발생보다는 복합적으로 감염되어 병을 악화시키고 피해를 크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고에서는 소에서 흔히 나타날 수 있는 주요한 세균성 호흡기 질병의 종류와 임상증상 및 일반적인 방제대책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 PDF

CDC 치과감염관리 표준예방지침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wareness of CDC Dental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 오혜영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7-36
    • /
    • 2023
  •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질병관리센터(CDC) 치과감염관리 표준예방지침에 기준하여 감염관리 인식과 예방에 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CDC 치과감염관리 목록을 기준으로 'CDC 감염관리기준에 관한 표준 및 교육', 'CDC 감염관리 예방에 관한 사항', '연구대상자의 특성 및 감염관리 특성'에 관한 설문을 구성하였다. 총 222개의 설문을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결과: 연구대상자의 특성은 대부분 대학병원이나 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었으며 최근 1년이내 감염 예방 교육을 93.7%가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CDC 치과 감염관리 표준 및 교육 인식은 평균 77.2%로 이전 연구 결과와 비교해 더 높았다. 예방에 관한 인식은 평균 71.5%로 나타났으며 인증평가를 받은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로 예방에 관한 인식이 높았다(p<0.001). 결론: 본 연구 대상자는 감염관리 표준 및 교육 인식과 예방에 관한 인식이 이전연구 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CDC 치과감염관리 표준예방지침에 비교하여 미흡한 수준이었다. 따라서 정부 부처와 관련 기관은 체계적인 감염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수생산물의 생산과 관리에 관한 기초연구 : ELISA법을 이용한 Edwardssiella tarda의 직접 검출 (Study on the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aquatic animals : direct detection of Edwardsiella tarda using an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 정순윤;손상규;정준기;허민도;정현도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75-86
    • /
    • 1997
  • 어류의 감염 조직으로부터 edwardsiellosis의 원인균인 Edwardsiella tarda를 whole cell 자체로 직접 검출할 수 있는 solid phase ELISA법을 연구하였다. A. hydrophila ATCC7966, V. anguillarum HUFP5001, Y. ruckeri 11-4, E. ictaluri 및 Streptococcus sp. NG8206 등의 어병세균에 대해 ELISA법으로 실시한 교차반응 분석에서 A. hydrophila ATCC7966 균주와 V. anguillarum HUFP5001 균주가 E. tarda Edk-2에 대한 토끼 항혈청에 대해 높은 교차반응을 나타내었으나, 항혈청을 A. hydrophila ATCC7966 FKC로 흡착시킴으로써 교차반응을 제거할 수가 있었다. 그러나, 응집항체가 측정 결과와는 달리, ELISA 분석에서는 E. tarda 분리 균주간의 교차반응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issue homogenate내에 있는 항원을 검출함에 있어, 조직내의 지질이나 단백질 성분이 함께 분석용 plate에 coating되어 감도가 훨씬 감소하므로 ELISA법의 적용을 위해서는 감염 조직의 homogenate를 PBS에 100배 이상 희석한 후 진단을 실시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issue homogenate내에 있는 생균을 항원으로 하여 직접 검출할 때에는 검출한계가 $1{\times}10^3$ cells/ml로 나타나 FKC 항원의 사용에 비하여 더 증가된 감도를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본 ELISA법은 양식장에서 발생한 edwardsiellosis를 진단함에 있어서 특이적이고 신속하며 민감한 방법으로 확인되었다.

  • PDF

초음파 탐촉자(Probes)의 위생관리 실태와 감염 인식도 조사 및 세균 오염도 측정 (Investigation into the Actual State of Sanitary Management and Recognition Degree and Infection Level of Ultrasonographic Probes)

  • 김창복;이양섭;이원홍;조정찬;윤향이;이용문;김영근;이경섭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7권3호
    • /
    • pp.51-58
    • /
    • 2004
  • 초음파 검사 후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남아있는 Gel은 미생물이 증식하기에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들은 초음파 탐촉자의 위생관리 실태와 위생과 감염에 대한 인식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2003년 12월부터 서울지역에 있는 42개의 병원을 대상으로 전화설문을 시행하였다. 또한 세 대의 초음파 장치 탐촉자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미생물을 배양 증식한 후 탐촉자의 오염된 정도를 알아보았다. 21개 병원만이 탐촉자의 위생관리를 실시하였고, 소독 방법은 주로 알콜솜을 많이 이용하였다. 위생관리 주기는 14개 병원만이 매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탐촉자에 묻은 Gel제거 방법은 면수건을 많이 이용하였다. 감염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환자의 초음파 검사 시 감염예방관리를 하고 있는 병원은 32개였고 환자 검사 시 탐촉자를 비닐커버나 외과용 장갑, 알콜 소독 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감염 인식도 조사에서 초음파 탐촉자 사용법이 비위생적이라는 생각이 78.6%(33개)였고, 탐촉자를 통한 세균이 감염여부에 대해 54.8%(23개)가 감염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탐촉자에서 채취한 시료를 배양한 결과 세균과 진균이 셀 수 없이 너무 많이 오염되어 있었고 대장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초음파 검사 후에는 탐촉자에 묻어있는 Gel에서 세균이 증식하여 감염이 될 수 있으므로 완전히 제거하여 환자간 교차 감염의 위험요인을 줄이는 것과 감염관리에 대한 의식전환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간흡충 현증감염 특이항원 (A Clonorchis sinensis-specific antigen that detects active human clonorchiasis)

  • 김석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6권1호
    • /
    • pp.37-46
    • /
    • 1998
  • 인체 간흡충증의 현증감염 시기에 생산된 특이 IgG 항체와 반응하는 간촘충 특이항원을 규명하였다. 간흡충 성충의 조항원 및 서로 다른 조건에서 회수한 4가지 분비배설항원 (CsE)의 항원성을 면역이적법 소견으로 비교하였다 CsE2의 30. 7 kDa 항원이 간흡충 환자혈청과 강한 면역반응을 보였다. 이 항원들은 프라지콴텔 완치 후 6개월 혈청과는 반응하지 않았으나 투약 후 간흡충 충란이 검출된 환자의 치료 후 혈청과는 반응하여 현증감염의 면역반응과 관련된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30 Ka항원은 폐흡충 요코가와흉충 감염혈청과 교차반응하였고. 7 kDa 항원은 반응하지 않았다. 또. 30 kDa 항원은 일부 간흡충 과거 감염자 혈청과 반응하였으나 7 kDa 항원은 반응하지 않아 7 님)a 항원의 특이도가 높았다 간흡충 유행지역에서 7 kDa 항원의 민감도를 파악한 바 간흡충 현증감염자 25명 중 23명 (92%) 간홉충 요코가와흡충 중복감염자 11명 중 10명 (91%)과 반응하였다. 반면 간흡충 과거감염자 15명 중 6명 (40%), 요코가와흡충 감염자 7명 중 3명 (43%)과 반응하였다. 따라서. CsE2의 7 kDa 항원은 인체 간흡충 현증감염의 표식자가 되는 간흡충 특이 항원으로 판단된다.

  • PDF

치과위생사의 유니폼 관리 실태조사 (Survey on the uniform management of dental hygienist)

  • 손은교;최우양;정화영;정상희;이지연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517-523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niform management of the dental hygienists in Korea. Methods: The study was carried out by direct telephone survey to dental gygienists in Gangneung, Wonju, and Seongnam from March 15 to April 10, 2015. The subjects were seventy dental clinics by random sampling.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4 items), infection control education(3 items), and infection control activity(9 items). Cronbach's alpha was 0.781 in the study. After informed consent from the dental hygienists, the survey was done by telephone. Data were analyzed by SPSS 21.0 program. Results: The dental hygienists taking infection control education tended to wash the uniforms twice a week (${\chi}^2$=15.95, p<001). The majority of the dental hygienists thought that the best washing place of uniform would be dental clinics than any other place (${\chi}^2$=38.76, p<001). Conclusions: It is very important to implement the infection control education for the dental hygienists. The establishment of standard guideline for infection control of the uniform washing will enhance the dental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of the dental service consumers.

간호 대학생의 의료관련감염 관리에 대한 표준주의 인지도와 표준주의 수행도: 내적 건강통제위의 매개효과 (Awareness and Performance on Standard Precautions of Hospital-acquired Infection Control in Nursing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 양선이;임효남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78-388
    • /
    • 2017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atus of performance on standard precautions among nursing students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wareness and performance on standard precautions of hospital-acquired infection control.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34 nursing students. The measurements included a standard precautions awareness and performance scale, and a multidimen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acute{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techniques. Mediat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the Baron and Kenny's method and Sobel test. Results: The mean score of standard awareness, standard performance, and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about standard precaution were $174.30{\pm}9.08$; $169.48{\pm}12.04$; and $20.43{\pm}2.82$; respectively.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tandard awareness and performance (r=.414, p<.001). Also, standard awarenes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r=.413, p=.014).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wareness and performance.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a need to improve the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of nursing students. Therefore, an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improvement program should improve performance on standard precautions for patients and themselves.

중환자실에서 클로르헥시딘 목욕이 다제내성균 획득과 의료관련감염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Daily Chlorhexidine Bathing on the Acquisition of Multidrug-resistant Organisms and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in an Intensive Care Unit)

  • 이주연;정재심;김민영;박실화;황영희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0권1호
    • /
    • pp.38-46
    • /
    • 2018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daily 2% chlorhexidine gluconate (CHG) bathing on the acquisition of multidrug-resistant organisms (MDRO) and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HAI) in a medical intensive care unit (MICU). Methods: The study was a randomized controlled group posttest only design, involving 91 patients in MICU at a tertiary hospital (47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44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The 2% CHG bathing was performed daily according to bathing protocol to the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raditional bath was performed every three days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Fisher's exact test and x2 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MDRO were found in 6 pati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in 15 patients of the control group.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 .016). HAI occurred in 2 pati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in 7 patients of the control group.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084). Conclusion: The results confirmed that daily bathing with CHG was effective in reducing the incidence of MDRO acquisition.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daily bathing with CHG will be us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reduce the incidence of MDRO acquisition.

Satellite RNA 보유 Cucumber mosaic virus(CMV)의 고추 CMV병에 대한 교차방어 효과 (Cross-Protection Effectiveness of Cucumber mosaic virus (CMV) Isolates Associated with Satellite RNA for Prevention of CMV Disease in Pepper Plants)

  • 최장경;성미영;정혜진;홍진성;이상용
    • 식물병연구
    • /
    • 제7권3호
    • /
    • pp.155-163
    • /
    • 2001
  • 기주반응 실험을 통하여 무병징 또는 엷은 병징을 발현하는 satRNA 보유 Paf-CMV 및 Rs2-CMV를 고추 CMV병의 방제를 위한 약독바이러스로 공시하여 교차방어효과를 검정하였다. 공시한 satRNA-CMV는 모두 agar gel diffusion test에서 강독계로 공시한 Mf-CMV의 항원과 융합하는 침강선을 나타내 subgroup I의 혈청 형으로 판단되었다. 이들 약독계 satRNA-CMV의 물리적성질은 내희석성이 $10^{-4}$으로, 강독계 Mf-CMV나 satRNA를 보유하고 있는 Ap-CMV보다 낮게 나타났으나, 내열성 및 내보존성 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공시한 satRNA의 염기서열을 결정한 결과, Rs2-satRNA는 335염기, Ap-satRNA 347염기, Paf-satNA 386염기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들 염기서열을 이미 보고된 Y-CMV의 satRNA와 비교한 결과, 양 말단 영역 특히 5'말단으로부터 80염기 및 3'말단으로부터 174염기는 안정된 conserved sequence를 나타냈다. 그러나 중간영역의 염기서열에서는 .많은 변이를 나타냈고, 특히 병징과 관련된 domain으로 보고된 영역에서 Paf-satRNA의 염기서열은 다른 계통의 satRNA에 비하여 많은 차이를 보였다. 각 satRNA의 cDNA로부터 전사시킨 transcript RNA를 Mf-CMV의 게놈RNA와 혼합하여 고추에 접종한 결과, 본래의 각 satRNA-CMV를 접종하였을 때와 마찬가지로 Paf-satRNA 및 Rs2-satRNA의 transcript 와 혼합한 Mf-CMV에 감염된 고추의 병징이 약하게 발현되었다. 선발된 약독CMV의 강독계 바이러스에 대한 교차방어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Paf-CMV 및 Rs2-CMV를 접종한 고추와 담배에 강독 Mf-CMV를 challenge한 후 교차방어 지속효과를 검정한 결과, Paf-CMV를 접종한 고추와 담배는 모두 Mf-CMV를 challenge 접종한 3주후까지 병징이 발현되지 않았으나, Rs2-CMV를 접종한 식물은 challenge 2주 후에 약 반수의 개체에서 강독계 병징이 발현되었다. 또한 challenge바이러스의 농도별 교차방어효과에서도 Paf-CMV를 접종한 고추에 정제한 Mf-CMV를 0.2 mg/ml 이하의 농도로 challenge한 경우, 접종 30일이 되었을 때까지 병징이 발현되지 않았으나, Rs2-CMV에서는 일부의 개체에서 병징이 발현되어 강독계에 대한 교차방어의 효과가 일정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고추의 유묘에 약독CMV를 접종한 다음, 포장에 재배하면서 바이러스병징이 발현되는 개체를 조사한 결과, 약독 CMV접종 30-60일 후에 Paf-CMV 접종구에서 1.8-6.4%, Rs2-CMV 접종구에서 8.2-18.3%그리고 무접종구에서 2.7-47.2%의 바이러스병징이 발현됨으로서 Paf-CMV의 강독계 CMV의 감염에 대한 교차방어효과가 안정되고 높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