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정용 와이어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34초

치과 교정 물질에 따른 자기공명영상의 왜곡 (Distortion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for Different Types of Orthodontic Material)

  • 송현옥;임청환;이상호;양오남;백창무;정홍량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2호
    • /
    • pp.439-446
    • /
    • 2014
  • 자기공명영상검사에서 치과 교정용 금속 물질에 의한 인공물(Artifact)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치과 교정에 사용되는 와이어(Wire)와 브라켓(Bracket)을 재질별로 선택하여 비교 연구하였다. 치과 금속을 넣은 사각 아크릴 용기는 $200{\times}135{\times}120mm$ 크기이며, 영상을 얻기 위하여 두부 코일을 사용하여 $T_2$강조영상, $T_1$강조영상, FLAIR영상을 획득하였다. 획득된 시퀀스별 자기공명영상의 인공물을 평가하기 위하여 Image J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인공물의 면적을 측정 비교하였다. 연구에서 치과 교정용 와이어와 브라켓의 인공물이 가장 큰 물질은 Stainless steel로 나타났다. 현재까지는 치과 교정에서 교정을 목적에 두고 금속 물질을 선택하였으나 치과 교정용 금속은 환자의 기능과 미의 특성뿐 아니라 자기공명영상 인공물 생성 여부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추후 교정용 금속의 선택 및 개발 발전은 치아교정의 목적과 더불어 다른 분야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치과 교정용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스틸 와이어의 기계적 강도 및 세포독성 평가 (Evaluation of the Cytotoxicity and Mechanical Strength of Dental Duplex Stainless Steel Orthodontic Wire)

  • 이명곤;김치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309-317
    • /
    • 2010
  • 치과 교정치료를 위하여 스테인리스 선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강 선재가 복합적인 구강환경에서 부식되어 구강조직에 과민반응 또는 이상반응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초내식성의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선재를 교정용 선재로 제시하고 자 한다. DSS선재의 교정용 선재로 제시하기 위하여 기계적 강도와 생물학적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기계적 강도는 상용 교정용 SS선재와 6종의 열처리(실온($28^{\circ}C$), $500^{\circ}C$, $600^{\circ}C$, $700^{\circ}C$, $800^{\circ}C$, $900^{\circ}C$)를 실시한 DSS선재를 이용하여 인장강도시험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최적의 강도를 가지는 열처리 조건에서 제작된 DSS선재를 이용하여 굽힘 모멘트 시험을 실시하여 최대 응력과 탄성계수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생물학적 안정성 평가를 위하여 세포성장률 시험을 실시하였다. 선재를 이용하여 금속용출배지를 만들어 세포를 배양 후 세포성장률을 관찰하였다. 기계적 강도 평가 결과 SS선재($8.17\times10^4\;N/mm^2$)와 DSS500($8.05\times10^4\;N/mm^2$)선재가 유사한 기계적 강도를 가졌다(p=0.05). 생물학적 안전성 평가 결과 세포 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따라서 본 연구에 제시한 초내식성의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선재가 교정용 선재로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교정용 브라켓과 호선 간의 마찰 저항력의 비교 (Comparison of frictional forces between orthodontic brackets and archwires)

  • 서충환;정혜승;조진형;강경화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16-126
    • /
    • 2005
  • 본 연구는 고정성 장치를 이용한 교정 치료에서 브라켓과 교정용 호선 사이의 활주 이동 동안 발생하는 마찰력에 디자인과 재질이 다른 각각의 브라켓과 여러 종류의 호선 다양한 브라켓-호선 각도 등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4종의 브라켓 (stainless steel twin 브라켓인 Gemini, 좁은 근원심 폭경과 single bracket의 디자인이 포함된 Mini Uni-Twin. metal-reinforced 세라믹 브라켓인 Clarity. 세라믹 브라켓인 Transcend)을 사용하고, 3종의 교정용 호선(0.015"$0.010\times0.022"$ stainless steel 호선, 0.010" Nitinol)을 이용하여 브라켓-호선 각도를 각각 $0^{\circ},\; 3^{\circ}8^{\circ},\; 9^{\circ}$로 조절하면서 실험한 결과, Gemini는 유의하게 가장 낮은 정지, 운동 마찰력을 보였으며 (P<0.001). Clarity는 $0^{\circ}$의 브라켓-호선 각도에서 Transcend는 $5^{\circ}와\;9^{\circ}$의 각도에서 유의하게 가장 높은 정지, 운동 마찰력을 보였고 (P<0.001) $0.016{\times}0.022"$ stainless steel 각형 호선은 유의하게 가장 높은 정지, 운동 마찰력을 보였으며 (P<0.01). 0.016" stainless steel 원형 호선은 $0^{\circ}와\;3^{\circ}$의 브라켓-호선 각도에서 (P<0.01), 0.016" Nitinol은 $8^{\circ}와\;9^{\circ}$의 각도에서 (P<0.001) 유의하게 가장 낮은 정지. 운동 마찰력을 보였고 브라켓-호선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정지, 운동 마찰력도 증가하였다 (P<0.001)

즉시 부하 교정용 미니임플랜트의 안정성 평가를 위한 Periotest$^{(R)}$의 유효성 (The validation of Periotest values for the evaluation of orthodontic mini-implants' stability)

  • 차정열;유형석;황충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67-175
    • /
    • 2010
  • Periotest$^{(R)}$는 보철용 임플랜트 식립 3 - 4개월 후 골유착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요도 측정 기기로 교정용 미니임플랜트 안정성 평가에 적용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는 교정용 미니임플랜트의 안정성 평가를 위해 Periotest$^{(R)}$의 유효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성견 다섯 마리의 상악, 하악 협측골에 교정용 미니임플랜트를 식립하고, 식립 시 식립토오크와 동요도를 측정하고 12주 동안 교정력을 부여한 후, 제거 시 제거 토오크와 동요도를 측정하였다. 동요도 (Periotest$^{(R)}$ value, PTV) 측정은 재현성을 위해 동일 부위에 2회 측정하였다. PTV와 다른 변수와의 상관성 분석을 위해 모든 실험견은 CT 촬영 후 식립 부위의 골밀도와 피질골 두께를 계측하였다. 동요도 측정에 대한 재현성은 0.96의 상관계수를 나타내 매우 높았으며 (p < 0.001) 골밀도와 피질골 두께에 있어 하악골 협측치조골이 상악골에 비해 유의하게 컸다 (p < 0.05). 12주 동안 PTV 값은 -3.2에서 4.8의 범위를 나타내며 모든 임플랜트는 임상적으로 안정적이었다. 식립 시 PTV 값은 하악에서 식립 토오크(-0.51), 골밀도(-0.48), 피질골 두께(-0.42)와 상관성이 있었으나 (p < 0.05), 상악에서는 상관성이 없었다. 제거 시 PTV 값은 하악에서 제거 토오크(-0.66)와 상관성이 있었으며(p < 0.05), 상악에서는 상관성이 없었다. 이상의 결과는 Periotest$^{(R)}$를 이용하여 교정용 미니임플랜트의 안정성을 간접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나 골밀도가 높고 피질골이 두꺼운 부위에서 제한적으로 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교정용 와이어 및 브라켓에 이산화티탄 광촉매 코팅 시 코팅방법에 따른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physical properties of $TiO_2$ thin films according to a coating method on orthodontic wires and brackets)

  • 고은희;조진형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451-464
    • /
    • 2006
  • 본 연구는 항 교정장치의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이산화티탄 광촉매의 코팅 시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을 찾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시판되고 있는 교정용 와이어와 브라켓에 sol-gel법, CVD (Chemical Vapor Deposition)법 및 PE-CVD (Plasma Enhanced-CVD)법으로 이산화티탄을 각각 코팅한 다음 각 방법으로 코팅된 이산화티탄 박막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각 시편의 코팅박막 표면의 거칠기를 관찰하였고 adhesive tape pull test를 이용하여 코팅박막의 접착강도를 측정하였다. 메틸렌블루용액에 각 시편을 침지시킨 후 시간경과에 따른 메틸렌블루용액의 농도변화 측정을 통해 코팅박막의 분해능을 평가하였으며 불화나트륨 용액에 각 시편을 침지시킨 후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표면부식 정도를 관찰함으로써 불소화합물에 대한 내부식성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코팅박막의 표면은 CVD법 및 PE-CVD법이 sol-gel법이나 코팅되지 않은 시편에 비해 더 매끄러웠다. 코팅박막의 접착강도는 PE-CVD법이 가장 높았고, CVD법, sol-gel법의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코팅박막의 메틸렌블루 분해능은 PE-CVD법이 가장 높았고, CVD법, sol-gel법의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코팅박막의 불소화합물에 대한 내부식성은 CVD법 및 PE-CVD법이 sol-gel법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교정용 와이어 및 브라켓의 이산화티탄 광촉매 코팅 시 CVD법 및 PE-CVD법이 sol-gel법보다 적절한 방법임을 시사하였다.

접착용 시멘트의 균일한 도포를 위한 교정용 밴드 장착방법의 모색 (SEARCHING FOR THE PROPER SEATING METHOD OF SEAMLESS BANDS WITH UNIFORMLY COATED CEMENT)

  • 김형준;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491-497
    • /
    • 2006
  • 소아치과 임상에 있어서 교정용 밴드는 매우 다양한 용도로 일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교정용 밴드와 치아 사이에 시멘트가 불균일하게 분포되어 치아 법랑질 탈회나 치은염이 유발됨을 간혹 보게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근원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균일한 시멘트 층을 유지 한 밴드 장착방법을 모색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발치된 상하 제 1 대구치를 복제한 치아모형에 이에 적합한 교정용 밴드를 선택하여 접착용 시멘트로 세 가지 방법으로 접착시켰다. 방법 1에서는 접착용 시멘트를 밴드 내면에만 도포하였고, 방법 2에서는 접착용 시멘트를 밴드 내면과 치아의 축면에 도포, 방법 3에서는 접착용 테이프를 밴드의 상연에 부착한 상태에서 밴드 내면에 접착용 시멘트를 도포하였다. 접착용 시멘트가 경화된 후 밴드를 치아에서 벗겨내고 내면의 시멘트 분포상태를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밴드 내면에만 시멘트를 도포한 방법 1의 경우보다는 방법 2와 3의 경우에 시멘트가 더 균일하게 도포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정용 밴드를 장착하는 과정에서는 접착용 시멘트를 밴드 내면에만 도포하는 방법보다는, 치면에도 시멘트를 가하거나 잉여 시멘트의 교합면측 탈출구를 봉쇄하는 등의 방법이 균일하게 도포된 시멘트 접착을 달성하는 좋은 대안이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표면처리가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의 식립수직력과 토크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urface treatment on the insertion pattern of self-drilling orthodontic mini-implants)

  • 김상철;김호영;이상재;김철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68-279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지력을 높이기 위하여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에 표면처리를 시행하되 식립 과정의 용이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표면처리 방법을 찾기 위함이다.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를 etching, resorbable blasting media (RBM), 상부 나사산 부위만 RBM 처리를 한 hybrid 등의 3가지 방법으로 표면처리한 후 machined (표면 미처리)군과 비교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과 표면 거칠기 측정기로 표면 거칠기를 비교하였으며, driving torque tester를 이용해 실험용 인공골에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를 식립하여, 식립 토크(rotational torque)와 수직력(vertical loading)의 식립 패턴을 비교하였다. Machined surface군과 비교하여 acid etching군에서는 표면 거칠기(Ra 값)가 크지 않았으나 ($p$ > 0.05), RBM군이나 hybrid군에서 표면 거칠기(Ra 값)가 유의하게 컸다 ($p$ < 0.05). 최종 식립 토크는 모든 표면처리군에서 machined군보다 컸다 ($p$ < 0.05). 최대 식립수직력은 hybrid군이 machined군이나 etched군보다 유의하게 작았으며 ($p$ < 0.05), RBM군이 가장 컸다 ($p$ < 0.05).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의 유지력을 높이기 위하여 보철용 임플랜트와 같은 방법으로 전면 표면처리를 하면 self drilling type 고유의 골 삭제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cutting edge 일정 부위를 제외하며 적절하게 조절된 표면처리를 하면 골 삭제 능력의 큰 저하 없이 용이한 식립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머리진동측정용 ICP형 바이트-바(Bite-bar)의 교정방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alibration of a ICP Type Bite-bar designed to measure head vibration)

  • 최병재;정완섭;홍동표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760-763
    • /
    • 2002
  • 본 논문은 인체의 머리진동 측정용 Bite-bar에 관한 연구이며, 머리진동의 관심주파수 영역인 0.5∼30Hz 범위의 주파수 범위에서 ICP형 가속도계를 이용한 바이트-바(Bite-bar)의 공진특성에 관한 실험결과와 공진특성의 보상 방법에 관해 기술하고 있다. 또한 바이트-바(Bite-bar)의 회전비교교정에 관한 방법과 절차 그리고 실험결과를 제시하고 바이트-바(Bite-bar) 교정의 중요성과 오차(error)와 설계 제작에 있어서의 주의사항에 관해 간략히 소개한다.

  • PDF

교정용 레진장치의 레진주입방법에 따른 기계적 특성 (Mechanical properties by resin injection method of orthdontic acrylic resin)

  • 조정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341-346
    • /
    • 2020
  • 가철성 교정장치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자가중합 레진인 Polymethyl methacrylate (PMMA)는 현대 치의학 분야에서 주로 쓰이고 있는 아크릴릭 레진이다. 장점으로 색과 체적의 조직 친화성, 안정성 등 있어 치과에선 교정장치 재료로 오랫동안 사용해 왔다. PMMA의 제작은 활성화 방법에 따라 자가중합방식과 열중합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자가중합 레진은 치과 교정장치로 오래동안 사용되고 있다. 레진의 주입방법은 크게 적층법(sprinkle-on method)와 혼합법(mixing method)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정장치의 레진 주입방법에 따른 기계적 특성인 강도, 탄성계수 경도, 표면조도를 실험 해보고자 한다. Orthodontic PMMA 의 직사각형 시편 (1.4×3.0×19.0 mm)에 3점 굽힘강도 실험한 결과 강도에선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경도 역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표면조도도 큰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Orthodontic PMMA는 교정용 장치의 레진주입 방식에 따른 기계적 특성의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교정용 Resin bracket의 마찰 저항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rictioal Resistance Force of Orthodontic Resin Bracket)

  • 이원유;임경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07-112
    • /
    • 1999
  • 성인 교정 환자가 증가됨에 따라 교정장치의 심미성이 요구되고 있다. 교정 장치의 심미적 증진을 위해 개발된 브라켓들로는 세라믹, 콤포지트 레진 브라켓, 타이타늄 브라켓등이 소개되고 있다. 콤포지트 레진 브라켓은 우수한 색상 및 투과성이 장점이나 높은 마찰력과 낮은 취성의 단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최근 개발된 세라믹 또는 레진 브라켓(metal reinforced bracket)은 마찰력을 감소시키고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브라켓의 슬롯에 메탈을 삽입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러한 metal reinforced resin bracket(이후 MRRB)의 물성에 관한 연구가 미진하였다. 특히 이러한 브라켓과 교정용 철선의 마찰력에 관한 연구가 미흡하기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4종의 교정용 철사(.016 S-S, .0l6X.022 S-S, .016 $TMA^{\circledR}$, .0l7X.025 $TMA^{\circledR}$)와 5종의 브라켓을 사용하였다. 사용된 브라켓들로는 메탈 1종(Ormco.Co., U.S.A)자 세라믹 1종($Crystalline^{\circledR}$), 콤포지트 레진 1종(Clear Medium $Siamase^{\circledR}$), 메탈 슬롯이 삽입된 콤포지트 레진2종($Plastic^{\circledR},\;Spirit^{\circledR}$)의 마찰력을 서로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ceramic bracket과 resin bracket은 metal reinforced resin bracket과 metal bracket보다 마찰력이 유의성 있게 크게 나타났다. 2. metal reinforced resin bracket의 slot내 metal의 삽입형태에 따른 마찰력의 크기는 유의차가 없었다. 3. metal reinforced resin bracket과 metal bracket사이의 마찰력의 크기는 유의차가 없었다. 4.. 교정용 철선과 각 브라켓 비교에서 TMA, Stainless steel 순으로 마찰력이 적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