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재연구

검색결과 730건 처리시간 0.023초

부산지역 아동센터 복지교사의 직업인식 (Vocation Recognition of the Welfare Teachers Dispatched to the Region Children Centers in Busan)

  • 허재영;양해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211-226
    • /
    • 2008
  • 본 논문은 지역아동센터 파견 아동복지교사의 직무 만족도 및 적성/직업 인식도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보다 나은 아동복지정책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먼저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파견 아동복지교사 직무만족도의 인식차이는 성별에 따라서는 상사와의 관계(p<.01), 파견 아동복지교사직에 대한 만족(p<.01), 제공지식정보에 대한 만족(p<.05) 및 전체적인 파견 아동복지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대해서 유의한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적성 및 직업인식도에 대한 인식조사결과, 보다 나은 직장을 얻기 위하여 현재 노력하는지 여부는 학력에 따라서 다소 유의한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파견 아동복지교사에 대한 긍지는 현재의 직업에 뚜렷한 사명감과 목표 의식을 가지고 있다는 의견은 27.5%로 나타나 파견 아동복지교사에 대해서는 학생교육을 통한 즐거움과 보람을 통하여 긍지를 느끼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지역아동센터 아동지도프로그램 운영상 어려움은 교육교재부족과 설비부족, 부모님의 참여와 이해부족을 가장 문제점으로 인식하였다.

고등학교 가정과 교육에서 보조학습 교재.교구의 활용실태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Supplementary Teaching Materials and Implements in the High School Home Economics Education)

  • 조은경;김용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17
    • /
    • 199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basic materials to improve the teaching method of Home Economics by theoretically looking into the supplementary teaching materials or implements usable in teaching Costume History area. And based on these data, the types and the applications of the supplementary teaching materials or implements highschool owned were examin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1 Home Economics and Housework curriculum highschool teachers who give a lecture in the country by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SAS program was used to calculate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chi$(sup)2-test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Most of the highschool teachers used the school expenses for experiments in preparing the supplementary teaching materials or implements. 2. Of the supplementary teaching materials and implements concerning Costume History, visual implements such as slides and pictures were the mostly owned. CD and audio implements as cassette-tapes were not used. 3. Most of the teac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audio-visual teaching materials and implements concerning Costume History. 4. Among the audio-visual materials and implements concerning Costume History by which can be made by school teachers of Home Economics and Housework curriculum, the mostly used one was ‘cutting pictorials from magazines and newspapers’, and the next were ‘orbital materials’, and ‘copy the pictorials’, and the least was ‘recording from the radio’. 5. Most of the annual expenses assigned to the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was used in cooking practice, and the least of the expenses was assigned in buying audio-visual teaching materials and implements. 6. Time assigned to the area of Home Economics was for the most part one or two hours per week, and among this, time assigned to the history of western costume and the history ok korean costume was for the most part five to eight hours. 7. The areas that the highschool teachers felt difficulties mostly during clothing and textiles curriculum were ‘textiles’and the next were ‘knitting’, ‘western costume history’, and ‘korean clothing construction’. 8. The difficulties the highschool teachers faced while teaching Costume History were mostly that ‘the pictorials in the text is not fully explainable’, the next were ‘most of the supplementary teaching materials or implements are not owned’, ‘have to explain very much in a short time’, and ‘the lectural explanation is insufficient’. 9. The solution for the difficulties that the highschool teachers faced while teaching Costume History was mostly ‘the information, on which audio-visual materials and implements are distributed in the market, should be easy to obtain’, the next opinions were ‘the school should provide enough experiment and practice expenses to buy audio-visual materials and implements’, and ‘education facilities of the Home Economics Department should be the main aspects in improving the teaching methods and should give special lectures about it’.

  • PDF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통합과학'과 사범대학 예비 과학 교사 교육 내용의 분석을 통한 예비 과학 교사 교육에 대한 시사점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Pre-Service Science Teacher Training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Integrated Science' based o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Educational Contents presented in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extbooks of the College of Education)

  • 김남희;심규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1039-1048
    • /
    • 2015
  • 본 연구는 2015 개정 '통합과학' 교육과정에서 추출한 학습 내용에 대해 과학 분야 통합성 분석과 예비 과학 교사 교육 내용과의 연관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예비 과학 교사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통합과학' 교육과정과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분야에서 사용하는 11종 사범대학 예비 과학 교사 교재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 결과, 2015 개정 '통합과학' 교육과정의 학습 내용들은 비교적 과학 분야 통합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5 개정 '통합과학' 교육과정에 제시된 학습 내용들은 모두 예비 과학 교사 교육 내용에 포함되었으며, 화학 분야의 교육 내용이 가장 높은 비율로 소개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예비 과학 교사들을 위한 교육 내용에는 '통합과학'의 '환경과 에너지' 영역 교육 내용들을 가장 많이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내용을 종합했을 때, 새로운 교육과정이 제대로 실행되기 위해서는 본 교과를 가르칠 교사들을 위해 통합과학 관련 소재들과 다양한 연수과정이 개발되어 현장에 보급될 필요가 있다. 또한, 예비 과학 교사들을 위해 사범대학 교육과정 개편, 임용 체제와의 연계 방안 마련 등이 요구된다.

Sage와 GeoGebra를 이용한 선형대수학 개념의 Visual-Dynamic 자료 개발과 활용 (Visualization of Linear Algebra concepts with Sage and GeoGebra)

  • 이상구;장지은;김경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7권1호
    • /
    • pp.1-17
    • /
    • 2013
  • 수학적 개념의 시각화는 단순히 학생들의 개념에 대한 이해를 돕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학생으로 하여금 시각화 과정을 통하여 스스로 발견하며 깨우치는 교육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추구한다. 따라서 시각화 자료는 세심한 교육적 고려를 바탕으로 준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동적 시각화 및 대수 계산에 적합한 Sage와 GeoGebra를 선택적으로 활용하여, 선형대수학을 수강하는 학생들의 수학적 개념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교재의 순서를 따라가면서, 이론에 추가되는 양방향의 시각적 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 과정에서 개발된 선형대수학 수업에 필요한 시각적 이해를 돕는 다양한 도구들을 소개한다. Sage와 GeoGebra를 이용한 선형대수학 개념의 시각화에서 얻어진 경험은 다른 대학 수학 강좌뿐만 아니라 중 고등 수학에도 적용될 수 있다.

농업계고등학교 교과서의 어메니티 교육내용 개발 (Development of Rural Amenity Contents for the Textbooks of Agricultural High School)

  • 김은자;류청산;강방훈;윤순덕;김상범;황정임;이상영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4-94
    • /
    • 2009
  • 농업계고등학교 교과서는 농촌어메니티를 학습할 수 있는 최적의 교재로서 농촌어메니티 교육내용을 개발함으로써 청소년의 올바른 농업 농촌 가치관 형성 및 국민적 공감대 확산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대상 교과서는 농업계고등학교 교과서 39종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방법으로는 우선적으로 1~5단계의 내용분석 척도를 설정하여(1단계는 어메니티 개념에 따라 반드시 수정이 필요한 내용, 2단계는 어메니티 개념에 따라 수정이 필요한 내용, 3단계는 어메내티 개념이 포함되었는지 판단할 때 크게 문제가 없는 내용, 4단계는 어메니티 개념이 포함되어 있는 좋은 내용, 5단계는 어메니티 개념이 포함되어 있는 교과서의 모델이 될 수 있는 내용) 판정하였다. 그 결과 1단계 어메니티 개념에 따라 반드시 수정이 필요한 내용을 선정하여 교과내용을 개발하였으며, 이는 어메니티 관점에 맞추어 실시하였다. 또한 내용분석을 통한 교과서 구분을 하여 A, B, C 유형으로 나타내었다. A유형은 내용분석의 결과 판정 1 또는 2의 분석 내용이 20개 이상 나온 교과서, B유형은 내용분석의 결과 판정 1 또는 2의 분석 내용이 10~19개 나온 교과서, C유형은 내용분석의 결과 평정 1또는 2의 분석 내용이 10개 미만으로 나온 교과서를 의미한다. 교과내용 개발 결과 총 262건의 교과내용 개발이 이루어졌으며, 문장 132개로 50.38%, 사진 105개 40.47%, 삽화 22개 8.35, 그래프 0.76%, 표 0.38%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총 262개 개발내용중에서 '사회자원의 시설'부분에 대한 관점 77개로, '사회자원의 경제활동'에 대한 관점 64개, '문화자원의 경관'에 대한 관점 50개 순으로 집계되었다. 그 다음은 '자연자원의 자연'에 대한 관점이 47개, 문화자원의 역사'에 대한 관점이 9개, '사회자원의 공동체 활동'에 대한 관점이 14개 순으로 나타났다. 자연적 자원 18.31%, 문화적 자원 22,52%, 사회적 자원 관점이 59.16%로 '사회적 자원 관점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농업계고등학교 교과서에서는 농촌어메니티의 사회적 자원이 강조되어야 하며, 문화적 자원, 자연적 자원의 순서로 강조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뜻한다. 즉 농촌어메니티개념의 확립을 이하여 현재 농업계 고등학교 교과서에서는 시설, 경제활동, 공동체활동 같은 '사회적 자원'을 보강하여 강조할 필요가 있음을 나타낸다.

  • PDF

한국문헌정보학의 학부제 도입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chool program in the Case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 구본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50
    • /
    • 1996
  • 현재 한국의 대학사회는 안팎으로 거센 도전을 받으면서 변화와 개혁위 소리가 높다. 한국 대학 개혁의 방안으로 학부제(School Program)의 추진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과연 문헌정보학과의 진로는 어떻게 설정해야 바람직한 방향으로 갈 것인가를 검토하였다. 다가오는 정보화사회에 대처해 나갈 문헌정보 전문직의 특성과 역할 그리고 교육의 변화를 살펴보고, 학부제에 대한 교수들의 찬성과 반대 의견을 수렴한 후 현재 학부제를 실시하고 있는 3개 대학교의 교육과정을 조사하였다. 한국 문헌정보학 교수 139명에게 설문지를 보낸 결과 92명$(66\%)$이 응답했고 그중 학부제 찬성이 42명, 그리고 학부제 반대 45명으로 나타났다. 학부제 찬성 모형안은 $\ulcorner$학과중심형 학부제$\lrcorner$$44\%$로 가장 많다. 이 안은 현재와 같은 학과중심으로 운영하되는 커리큘럼 기자제 등의 영역만 공동활용하거나 협약교수제를 운영하면서 공동교재활용과 제한된 복수전공제도를 도입하는 형태이다. 학부제 도입을 반대하는 이유는 $\ulcorner$문헌정보학과는 학문의 성격상 다른 학과와는 통합되기 어렵다.$\lrcorner$는 이유를 가장 많이 지적하고 있다.

  • PDF

초등학교 자연과 포트폴리오 평가(Portfolio Assessment)의 구성 요소 (The Components of Portfolio Assessment for Korean Elementary Science Classroom)

  • 김찬종;김혜정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33-243
    • /
    • 1998
  • 과학교육자들은 지필 중심 평가에 대해서 많은 우려를 하여 왔다. 수행평가는 전통적인 평가의 훌륭한 대안으로 여겨지고 있다. 수행평가의 하나인 포트폴리오 평가는 학생들의 창의성 신장과 자기 학습에 대한 책임감을 높이는 바람직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연구나 실제 적용 사례는 매우 드물다. 포트폴리오 평가의 특성과 구조를 문헌 조사를 통하여 탐색하였다. 적절한 포트폴리오 평가의 형태와 구성 요소를 설계하였다. 우리 나라 초등 과학 수업에는 포트폴리오 평가를 위한 학습 목표는 일반 목표와 구체 목표를 내용의 특성에 따라 사용할 필요가 있다. 포트폴리오 평가를 위한 학생들의 증거는 교실에 교재의 부족과 재생 시설의 미비 때문에 제한적인 형태률 가진다. 학생들의 증거는 상당 부분이 교실에서 수업 중에 작성하는 것이 학습 부담을 줄일 수 있어서 좋다. 평가 준거는 학급당 학생수가 많기 때문에 분석적인 것보다는 전체적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트폴리오 평가는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 많은 변화를 일으킬 것이다. 학생들은 과학 학습에 보다 주도적인 자세를 갖게 되고 교사들은 주요 교수 목표에 집중하고, 학생들의 바람직한 학습에 더 많은 관심을 둘 것이다. 포트폴리오 평가가 학생과 교사에게 더 많은 업무 부담을 요구하지만, 학교 과학 시간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PDF

여성 리더의 성 역할과 신뢰가 조직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교육교재 유통기업을 대상으로 (Women Leaders: Gender Roles, Trust, and Effect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Educational Material Distribution Enterprises)

  • 이남겸;황일영
    • 유통과학연구
    • /
    • 제13권3호
    • /
    • pp.93-100
    • /
    • 2015
  • Purpose - Since the early 1990s, it has been observed that the number and substance of studies on female leadership have been increasing. One of the reasons for this development may be concerned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female labor market participants as well as the greater opportunities for them to take higher positions in various organizations. In addition to this, the transition from mechanistic organizational structures that emphasize authority, control, and efficiency toward organic ones that focus on environmental adaptability, equality, and trust has also encouraged research on female leadership. The research tendency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male and female leaders tend to exhibit different leadership styles according to their gender differences. Recent research has cast doubt on this assumption, by showing that the sociological gender roles of men and women are independent such that some female leaders show authoritative and control-oriented leadership, which were once considered to be male leadership styl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research attempts to carry out an empirical study on the gender-related leadership styles of female leaders and to examine their effect on group performance in the K business organization. This study also focuses on leader attributes such as trust, and it aims to discover whether these attributes should be regarded as independent or as moderating variables between leadership styles and performance.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generated four hypotheses based 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it tested them using a survey. Female workers in the sales departments of the K Company, all of whom are women, were asked to provide answers to the presented questionnaires.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the type of gender roles played by women leaders will affect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the members of the sales group, and that the level of trust that is garnered by women leaders will also affect the types of gender roles that they play as well as employe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both androgynous and masculine leadership styles are superior to the feminine leadership style in terms of employe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owever, contrary to our expectations, this study fails to show the superiority of the androgynous leadership style over the masculine leadership style. Moreover,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leadership styles with regard to group performance. Conclusions - This study shows that it is important that different attributes of leaders, such as how trusted they are, be treated as moderating variables between leadership and performance rather than as independent variables. Finally, as this is the first attempt to view the role of the gender in a new perspective, the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leadership research, as well as its limitations, are presented. Suggestions for future related research are also proposed.

타이트스커트 봉제방법에 관한 비교 연구 -의복구성 교재와 국내 브랜드 제품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Tight Skirt Sewing Methods -Focusing on the Sewing Methods Shown in Reference Text Books on Clothing Configuration and used in Domestic Consumer Products-)

  • 김선영;최영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11호
    • /
    • pp.1510-1519
    • /
    • 2007
  • This comparative study analyzes and compares tight skirt sewing methods which are found in the clothing configuration reference text books available in contemporary universities and which are used in commercially-available domestic consumer products. The study samples included 15 text books and 12 tight skirt consumer products of different brands on sale at three department stores in Seoul each of which had a belt, a back-centered zipper, and back double slit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ext books mainly show very basic sewing methods of using zippers on both sides of the straight-lined waist belt. This indicates that it is necessary for such methods to be complemented so that they cover a recent variety of designs, materials, and sewing machines. For consumer products, the main sewing method is to use a curved waist belt and a console zipper in silhouette running across half the hipbone. Second, consumer products employ three different types of cutting and sewing methods for putting an inseam on the center of the back slit part: to leave the whole inseam hemmed in the back center, to cut the left side of the inseam to the upper part of the back slit, and to cut the inseam to both the upper parts of the back slit. However, a method shown in most of the sampled text books is to cut the inseam of the back center to both the upper parts of the back slit. Third, the way of finishing a bottom edge hem in the text books is to do slip-stitch, herringbone stitch, and slinting hemming, in order after doing over-lock stitch, or to cut the hem on the bias and then slip-stitch, while for the consumer products the most frequently used sewing method is to finish the bottom edge hem by doing secoui-stitch. Finally, while in the text books the method of stitching darts and tucks is used for lining, the main lining method used in consumer products is to make tucks only. Also in the way of stitching the side seams of lining or the seams of the back cent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sample groups of text books and the consumer products: while the former suggests using both open seams and over-lock stitch, the latter is found to finish the seams using an over-lock stitch only.

침구학 교재에서 활용된 경혈의 분석 연구 (Study on the Acupoints Use in Acupuncture & Moxibustion Textbook)

  • 이병렬;양기영;황보민;윤영진;황상문;이병욱;채한;임윤경;김재규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7권5호
    • /
    • pp.125-134
    • /
    • 2010
  • Objectives : There has been a need for developing and establishing operational curriculum for the education of acupuncture, but defining the level and step of the acupuncture education in clinical perspectives was not thoroughly recognized so far. Methods : We analysed the usage of acupuncture points in the official textbook to recognize the most frequently used acupoints in clinical medicine. It was found that $ST_{36}$ $LI_4$ $SP_6$ $HT_7$ $LR_3$ $CV_{12}$ $BL_{23}$ $CV_6$ $BL_{20}$ $CV_4$ $LI_{11}$ $PC_6$ $KI_3$ $GB_{20}$ $GV_{20}$ $GB_{34}$ $BL_{18}$ $GV_{14}$ $BL_{17}$ $BL_{40}$ are the most frequently used 20 acupuncture points and GB(足少陽擔經), CV(任脈), ST(足陽明胃經) are the most frequently used meridians. Results : The $ST_{36}$, $GB_{34}$, $LI_{11}$ and GB(足太陽膀胱經) meridian are most frequently used for muskuloskeletal disease, $ST_{36}$, $LI_4$, $LI_{11}$ and GB(足太陽膀胱經) meridian are most frequently used for neuromuskular disease, and $ST_{36}$, $CV_{12}$, $BL_{20}$ and CV(任脈) meridian are most frequently used for the digestive system disorders. Conclusions : This study was the first systematic approach to get essential acupuncture points for the education of clinical perspectives of TKM especially for the acupuncture and moxibustion. We found that the $ST_{36}$, $GB_{34}$, $LI_{11}$ and GB(足太陽膀胱經) are the most frequently used acupuncture point and meridian. This study will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TKM clinical curricul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