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육 환경

Search Result 9,171,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A Research on the Education of Morality and Environment in Middle School (중학교 도덕 교육과 환경 교육)

  • Hong, Jung-geun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 /
    • no.28
    • /
    • pp.117-153
    • /
    • 2010
  • It seems that the education of environment in a discipline of morality has not been systematically given in the middle school. In the Seventh Course of education, the aim of moral education for the middle school has no content concerning environment. And there is no chapter of environment in all the textbooks for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ade in the middle school. The content of environment is largely introduced in order to explain a series of key content in the chapters of discussing 'personality', 'courtesy of neighborhood', 'conflict of value', 'civil morality' and so on. Even we can say that its descriptions are aimless, instrumental and secondary for education. Recently,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education of environment is not effectively carried out in a discipline of morality of the middle school. In the 2007 revised course of education, there are some content of environment in the aim of morality and its education, and a chapter of "environment and Morality" is newly established. From now on, a new textbook of morality is being made according to the currently revised course of education. It will be gradually useful for the first grade in 2010, for the second grade in 2011, and for the third grade in 2012. It is possible to say that it will add momentum to effectively carrying out the education of environment as part of a discipline of morality in the middle school. Taking it into a detailed consideration, however, the education of environment in this revised course of education cannot help including a serious problem, either. This is because, a chapter of environment is included only in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and, according to a prescription of writing criterion establish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re can be no overlapping content for each grade. It will more likely that the education of environment will be given only in the first grade, not in the second and third grade at all. Therefore, it seems to me that, firstly, such a prescription establish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will get free, and then the education of environment will be systematically given to the levels of the second and third grade.

Development of the Teaching & Learning Model for Computer Education in U-learning Environment (U-러닝 환경에서 컴퓨터 교육을 위한 교과 교수·학습 모형 개발)

  • Jung, Min-Six;Kim, Hye-Min;Lee, Yun-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1002-1005
    • /
    • 2009
  •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은 전산화, 정보화, 지식 정보화 과정을 거쳐 현재 차세대 패더다임인 유비쿼터스화 단계에 이르렀다.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창의적이고 효율적인 학습자 중심의 교육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u-러닝 기술은 7차 교육과정 수행과 함께 필수적인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최근 교육과정이 u-러닝 환경으로의 변화에 따라 교수 학습 체계 역시 변화가 예상된다. 그리고 ICT를 활용한 교수 학습 모형과 교과별 콘텐츠에 대한 개발이 활발한 이유도 현재 u-러닝이 적극 추진되면서 교육환경에 대한 새로운 요구와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육환경인 u-러닝 시대에 맞추어 교과목에 대한 교수-학습 모형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된 학습모형을 비교, 분석하여 유비쿼터스와 u-러닝에 대한 특성과 기능,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에 대해 고찰한다. 그리고 기존 컴퓨터 교과 분석을 통하여 컴퓨터교과의 중요성과 교육방법 영역, 컴퓨터교과 교수-학습 모형에 대한 연구를 통해 u-러닝 환경에서의 컴퓨터 교육을 위한 프로젝트 기반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목포시 중학교 환경교육 현황 및 학생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조사

  • Park, Hyeon-Ju;Jeong, Jin-Hwa;Na, Chun-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483-487
    • /
    • 2006
  • 설문조사를 통하여 목포지역의 환경교육 현황과 중학생들의 환경오염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목포시에 소재한 14개 중학교중 2개교가 선택과목 중 환경교과를 선택하고 있었으며 대부분 학생들은 환경을 환경교과에서 보다는 과학, 사회, 기술 가정에서 배우고 있었다. 환경교육을 접하는 시간은 환경교과수업(17.5%)이나 관련교과목(28.1%) 보다는 특활 봉사활동시간(41.9%)이 높게 나타나 교과과정보다는 비교과과정에서 환경을 많이 배우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학생들이 느끼고 있는 환경오염의 정도는 '심각하다' 수준이 83%로 대부분의 학생이 심각하게 느끼고 있었으며 환경에 대한 개인적인 실천 행동은 쓰레기 분리수거(72%)와 환경보호활동(63.9%)에서 높게 나타났다. 3) 직 간접적인 환경교육을 받은 후 환경에 대한 관심도에 대한 질문에서 학생들의 57.7%가 환경교육을 통해 환경에 관한 생각과 태도가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현재 교육과정에서 환경문제를 배워야할 교과목으로 학생들의 54.8%가 환경교과과목이라고 응답하였다. 또한 환경교과의 필요성에 대한 질문에 대해 학생의 68.4%가 필요하다고 응답해 환경교과 필요성을 크게 느끼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