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육 환경

검색결과 9,126건 처리시간 0.032초

학교 환경교육 강화를 통한 가정의 에너지 절감 효과 (The Effect of Environmental Education on Household Energy-Saving Behaviour)

  • 이진권
    • 환경정책연구
    • /
    • 제13권1호
    • /
    • pp.95-118
    • /
    • 2014
  • 환경교육은 기후변화에 대처하는 가장 근본적이고 중요한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환경부가 지정하고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환경교육시범학교 제도의 운영은 환경교육 강화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자연실험(natural experiment) 환경을 제공한다. 2011년 14차 환경교육시범학교로 지정된 학교 학생들의 가구와 인근 지역의 비시범 학교 학생들의 가구에 대한 수도요금, 전기요금, 가스요금의 제 요금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환경교육시범학교 지정을 통한 학교 환경 교육의 강화가 학생들 가정에서의 에너지 절감에 단기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difference-in-difference 추정을 통해 분석한다. 환경교육시범학교 지정을 통한 환경교육의 강화는 대상 가구의 전기요금과 가스요금을 비시범학교 대상 가구에 비해 유의한 수준으로 절감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학교 환경교육의 강화가 대상 가구에 파급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단기적으로도 에너지 절감 행위를 강화시켜 줄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계층화 의사결정방법을 통한 교육환경 분석 - 고교학점제 고등학교 공간 재구조화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educational environment by Analytic Hierarchy Process - Focused on High school credit system space restructuring -)

  • 오정란;이용환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9권4호
    • /
    • pp.70-77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고교학점제를 포함하여 학교 공간에 관한 많은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고교학점제 교육환경 구성 시 가장 적합한 요소를 도출한 후 중요도 분석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분석요인으로 도출된 중요도 분석을 통하여 각 단위학교의 고교학점제 교육환경 조성에 기초적인 자료로 제공하고 고교학점제에 따른 교육환경의 공간적 중요도를 통한 교육정책적 방향 선정시 신축학교와 기존 학교의 차별화된 접근 방향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서 관련 전문가를 통한 계층화 의사결정방법을 통하여 교육환경의 중요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교육환경 구축을 위해 전략적 중요도를 중심으로 선택적이고 집중적으로 교육환경의 기능을 수행하고 그 활성화를 극대화하는 교육과정과 교육환경의 상호관계 등에 대한 분석적 고찰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환경을 매체로 한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ining Programs of Space&Environment as Media for School Education)

  • 이영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938-5945
    • /
    • 2011
  • 공간환경을 매체로 한 교육은 학교 교사와 학생들이 생활환경에 담긴 의미와 가치를 이해하고 보다 창의적이고 책임감 있는 사회적 의식을 배양하는 데 기여한다. 공간환경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국내 초등학교의 공간환경에 대한 교육은 단순한 공간환경의 이해에만 그치고 있고, 공간환경에 대한 폭넓은 이해나 공간환경을 미디어로 한 교과목간의 협력형 수업이나 다양한 사회적 이슈와 결합된 입체적 교육은 아직 시도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또한 학교 밖 교육은 미술관이나 박물관 등의 체험활동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나 지역사회와 연계되거나 교육결과가 사회와 공유되는 교육의 소통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핀란드와 영국에서 학교와 학교 밖 기관이 연계하여 진행하는 공간환경 매체형 교육의 사례를 분석하여 공간환경을 통한 교육이 주는 의미와 가치를 파악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국내외의 공간환경 관련 교육프로그램이 시사하는 바를 정리하여 현재 진행되는 국내의 학교교육 중심의 공간환경 교육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활성화할 수 있도록 공간환경을 매체로 한 교육프로그램의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학교환경교육의 현황과 발전 과제 (Current Situation and Task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Primary & Secondary Schools)

  • 남상준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7
    • /
    • 1994
  • I. 우리나라 학교 환경교육의 발전과정 : 우리나라에서 환경교육이 언급되기 시작한 것은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진행과정에서 호나경을 고려하지 않은 개발을 계속함으로써 곳곳에서 환경파괴와 오염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한 1970년대 초부터이지만 그때까지는 국가정책이 경제발전에 중점을 두고 있었으므로, 환경교육은 자연보호운동과 구별되지 않은 채 국민을 대상으로 한 홍보의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였다. (생략)

  • PDF

우리나라 농과계 대학의 친환경농업 교육과정 실태 (Background, Current Status and Forecast of Structure and Curriculum for Environmental Education at Agricultural Universities in Korea)

  • Kim Jong-Sook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3-37
    • /
    • 2001
  • WTO체제에서 국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전략의 하나로 친환경농업을 추진해온 우리나라 농업은 환경오염의 경감과 농업의 다원적 가치의 실현을 위한 친환경농업 전문가 양성이 시급하며 이를 대학 교육에서 담당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 4개 사례 대학의 교과과정 분석 결과 한국의 농학계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환경 교육은 대부분의 대학이 대학의 명칭이나 학과의 명칭을 변경하는 과정에서 생명, 자원, 환경을 포함시키고 교육 목표에서도 환경과 관련된 내용이 제시되고 있으며, 교육과정에 환경오염방지 및 개선에 관계된 과목을 설강하여 학생들에게 수강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농업의 위치와 사회적 역할로서 농업의 다원적 기능과 농업과 환경에 대한 강의가 일부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비농업 전공자들에게도 호응을 얻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환경교육은 별도의 농업환경 교육과정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설강된 과목들도 연계성이 부족하고, 전공과목 우선으로 수강하게 되므로 그 비중이 매우 적은 실정이다. 따라서 농업환경 교과과정을 별도로 개발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체계적인 교육을 받도록 할 필요가 있다. 앞으로 환경분야에 대한 사회적 직업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농학의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이며 환경평가나 환경계획 관련 분야 및 영농현장이나 관련 기관에 종사할 인력들에게 있어서도 대학에서의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 PDF

유아를 위한 환경교육 웹기반 3D애니메이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3D Animation for Young children Environment Education based Web)

  • 이근왕;조경모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1부
    • /
    • pp.194-19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우리의 환경문화를 중심으로 구체적이며 적절한 환경보전 교육활동 자료를 개발하고, 유아들이 환경보호를 위한 지식을 습득하여 환경보호 행동을 실천할 수 있도록 구현 하고 환경교육 실천 방향을 제시하고 유아들의 흥미를 유발하여 환경교육의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는 환경교육용 웹기반 3D애니메이션 구현하는 것 을 목표로 한다.

  • PDF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환경교육 관련 내용 요소 비교 (A Comparative Analysis of Content Elements Related to Environment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 박재근;이극희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5권2호
    • /
    • pp.250-261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환경교육의 내용 요소들이 관련 교과 간에 어떻게 제시되어 있는지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초등학교 환경교육의 방향을 모색해 보는데 있다. 초등학교에서 환경교육의 내용 요소를 다루고 있는 중심 교과는 과학, 체육, 사회, 도덕, 실과이다. 이 중 과학은 생태학적 관점, 사회는 합리적인 의사결정과 실천적 행동의 관점, 그리고 도덕은 올바른 환경윤리와 가치관 형성의 관점을 지향하고 있다. 환경교육의 영역별 구성 비율에서는 자연환경, 환경윤리, 환경오염, 환경보전과 대책 영역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학년별로 환경교육 내용 요소의 구성을 살펴보면, 저학년에서 고학년으로 갈수록 환경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요소에 대한 학습,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 환경문제 극복을 위한 대책과 노력 등의 순으로 연결되는 연계성을 비교적 잘 확보하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미래의 초등학교환경 교육과정에 대해 제언하면 첫째, 과학 교과를 중심으로 한 생태학적 관점의 반영 비율을 확대하고, 내용을 제시하는 시기를 조정할 필요성이 있으며, 둘째 사회 교과에서 환경교육의 전 세계적인 이슈가 되고 있는 녹색성장과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내용 보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다학문적, 간학문적 성격의 환경 교육과정을 마련하기 위한 범교과적, 교과통합적인 논의가 선행되어야 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초등학교 환경교육의 목표 설정과 내용 요소의 선정이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