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육 요구 평가

Search Result 1,15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Needs Assessment for Developing the Gifted Curriculum in Music (음악영재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

  • Lee, Kyungjin;Choi, Jinyoung;Choi, Na-Young;Kim, Jihye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5 no.6
    • /
    • pp.771-797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musically gifted students'needs in order to develop the gifted curriculum in music. The survey was carried out with 103 musically gifted students who are being educated in institutes for the gifted. The survey asked the needs about components of the gifted curriculum in music: the educational objectives, contents, teaching strategies, evaluation as well as educational environment influencing on the curriculum. As for the objectives, the result showed the highest needs was the ability to communicate with audience by expressing one's feeling.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a large number item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necessary level and the current level. As for the contents, the highest needs were the class piano, second instrument, and the experience of the musical field. High school students needed the second instrument more than middle school students did. As for the teaching strategies, the highest needs were the autonomous choice by learners, the instruction pursuing learners' interests, and the field work. As for the evaluation, the highest needs were the peer evaluation and the evaluation on the collaborative performance or team work. As for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e gifted in music strongly needed spaces to practice instruments. Additionally, high school students needed a space to perform like a concert hall. Thus the gifted curriculum in music must be thoroughly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 above.

학교 현장에서의 수학과 수행평가에 관한 고찰

  • Go, Sang-Suk;Jeon, Yeong-J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5
    • /
    • pp.129-134
    • /
    • 2003
  • 수학과의 평가는 수학의 학습 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성취도를 다양한 유형의 평가기법을 이용하여 파악하고, 이를 통해 수학교육의 질을 관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대부분의 평가는 수학교육의 본질이라 할 수 있는 학습자의 수학적 사고력을 제대로 측정하지 못하고 단편적인 수학적 지식을 결과 위주로 평가하는 데 만족해 왔다. 한편으로는 지극히 교과서적이고 인위적인, 단지 문제를 위한 수학 문제는 수학 무용론을 부추기기도 하였다(박경미, 1998). 이와 같은 수학과의 위기를 탈출하기 위해서는 결과만을 고려하는 선다형의 문제가 아닌 과정을 중시하는 서술형 주관식 문제, 기능 위주의 고립된 수학적 지식을 측정한 학업성취 결과보다는 수학 학습에 대한 태도나 노력, 관심, 탐구적 활동 그리고 성향 등 정의적 영역의 평가가 절실히 요구된다. 따라서 기존의 지필 검사를 뛰어넘는 다양한 평가의 틀이 요구된다 하겠다. 이런 점에서 1999학년도부터 시행되고 있는 고등학교에서의 수행평가는 변화하는 교육기조의 교수 ${\cdot}$ 학습에 대한 적절한 평가의 한 방법이라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평가의 틀 가운데 수학과 수행평가에 관한 고찰을 통해서 현장에서의 수행평가활용 방법을 찾는데 있다.

  • PDF

Analysis of Secondary Science Teachers' Needs for Education (중등 과학 교사의 교육 요구 분석)

  • Cha, Jeong-Ho;Kim, Kyoung-Eun;Kang, Suk-Jin;Noh, Tae-H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2 no.3
    • /
    • pp.517-524
    • /
    • 2002
  • The secondary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 needs and their preference for training method between off-line and on-line education were investigated. A nation-wide survey was administered to 145 science teachers from 106 secondary schools. The respondents showed high demands on all items. The prominent need was to motivate students learning science. To the contrary. their need for learning more about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was the lowest. Veteran teachers and high school teachers had higher demands on designing evaluation items, but nonveteran teachers on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ir instruction and updating their scientific knowledge. Teachers preferred the online education as a training method for most items except laboratory activities.

Requirements and Self-evaluation of Competencies Necessary to be Effective Nutrition Teachers Perceived by School Food Service Dieticians (학교급식 영양사가 인식하는 효과적인 영양교사의 역량 요구도와 자기 평가)

  • Lee, Kyung-E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8 no.5
    • /
    • pp.626-635
    • /
    • 2009
  •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identify a comprehensive competency list related to the jobs of nutrition teachers and to compare the competency needs for nutrition teachers and dieticians' competency levels. Job functional areas and a competency list for nutrition teachers were developed based on a review of literature and revised through expert panel reviews. A total of 53 competency statements associated with 11 job functional areas were specifi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457 dieticians engaged in school food service and 148 responses were returned (response rate: 32.4%). Excluding incomplete responses, 14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pproximately half of the respondents were enrolled in an 1-year nutrition teacher certificate program, 25% in a graduate school of nutrition education, and 19% had completed an 1-year nutrition teacher certificate program. The dieticians highly rated requirements of the competencies related to sanitation and employee safety, nutrition counseling, nutrition education, and teaching practices; in contrary, their competency levels for nutrition education, nutrition counseling, and teaching practices were low. Respondents' competency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required competency levels of effective nutrition teachers in all functional areas. A quadratic analysis based on the requirement and self-evaluation of the competencies revealed that priorities of education programs targeting school nutrition teachers or students preparing to be nutrition teachers should be placed on improving competencies related to nutrition education, nutrition counseling, teaching practices, sanitation and employee safety, menu management,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develop curriculum materials for basic and continuing professional education for nutrition teachers. It is necessary to review and update competencies regularly to reflect environmental changes in school food service programs.

대학교육에서의 질 평가에 대한 새로운 관심

  • Gang, Gyeong-Seok
    • 대학교육
    • /
    • s.87
    • /
    • pp.52-65
    • /
    • 1997
  • 대학교육의 질 향상과 책무성 제고의 목적을 지닌 외부평가(EQA)를 운영하는 것은 두 극단을 항해하는 것과 같다. 평가가 발전만을 목적으로 하면 외부로부터의 책무성 요구라는 암벽에 부딪쳐 침몰하게 되고, 책무성이 지나치게 강조되면 발전이 방해받아 소용돌이 속으로 사라지게 될 것이다.

  • PDF

교수업적 평가와 대학의 이념

  • Yu, Han-Gu
    • 대학교육
    • /
    • s.86
    • /
    • pp.65-73
    • /
    • 1997
  • 교육, 연구, 봉사를 '더하기' 식으로 규정하는 것은 교육, 연구, 봉사를 서로 다른 시.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별개의 활동으로 규정함으로써 교수들로 하여금 대학 바깥의 직접적인 요구에 부응하도록 종용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이것은 바로 오늘날 시행되고 있는 교수업적평가가 안고 있는 치명적인 문제점이다. 반면에 교육, 연구, 봉사를 '곱하기' 식으로 규정하는 것은 교육, 연구, 봉사를 유구한 대학의 전통 속에서 교수가 마땅히 해왔고 또 해야만 하는 한 가지 동일한 활동의 서로 다른 세 가지 측면으로 파악하는 것이며, 이것은 교수들로 하여금 대학 안의 요구에 충실히 전념하는 데에 격려와 지원이 되는 정신적 지주를 제공해 준다.

  • PDF

중학교 함수영역에서 수학적 모델링을 활용한 수행과제와 구체적 평가기준안 개발

  • Jo, Won-Ju;Gwon, O-Nam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4
    • /
    • pp.349-370
    • /
    • 2001
  • 21C 사회는 실생활의 많은 현상들과 문제들을 수학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능력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21C가 요구하는 수학교육의 역할도 실생활에서 접하는 현상 또는 문제들의 수학적 모델을 구성하여 해를 구하고, 그 결과를 실생활에 비추어 해석하는 경험을 제공하고 그 능력을 발전시키는 것을 포함한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학적 모델링이 수학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적인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수학적 모델링 활동을 중학교 수학 교육의 중심 제재인 함수의 지도에 활용하기 위한 구체적 실천방안을 논의한다. 이를 위해 연구문제를 '1. 일선 수학 교사들은 수학적 모델링의 개념을 어느 정도 파악하고 있으며 그 활용가치와 활용 가능성에 대해 어떻게 판단하고 있는가?', '2. 중학교 함수 영역의 수학적 모델링 수행 과제와 그에 따른 구체적 평가 기준안을 개발한다.’로 설정하고, 연구문제 1을 해결하기 위해 임의로 선택된 서울과 경기도의 현직 수학교사 4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문제 2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설문결과에서 얻은 현장의 요구를 바탕으로 중학교 함수 영역의 수학적 모델링 수행과제와 구체적인 평가 기준안을 개발한 후, 개발된 과제와 평가 기준안은 현직교사 3인의 자문을 얻어 내용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 PDF

Requirement Analysis and Design of an Engineering Certification Program, CEA System (공학교육인증프로그램 운영 효과 증진을 위한 CEA시스템의 요구분석 및 설계)

  • Jeon, Ju-Hyun
    • Proceedings of The KACE
    • /
    • 2017.08a
    • /
    • pp.225-226
    • /
    • 2017
  • 이공계 위기론을 해결하기 위해 ABET주도로 시작된 공학교육인증은 우리나라에도 도입되었으며 성과중심교육을 기본철학으로 하는 공학교육인증에서 프로그램 학습성과의 평가는 매우 중요하다. ABEEK에서 강조하고 있는 교과기반평가(Course Embedded Assessment, 이하 CEA)는 그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학습성과 연계와 코스 연계 등이 전산시스템으로 지원되지 않아 교육현장에서 잘 반영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인증을 위한 자체평가보고서 작성시 PD교수들의 어려움이 있다. 이에 운영자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CEA평가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사용자 권한 중심의 요구분석과 시스템 설계를 진행 하였다.

  • PDF

Evaluation of Airline Service Education Using the CIPP Model -focus on factors which influenced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of the training program- (CIPP모형을 활용한 항공서비스교육 평가 -만족도 및 재추천에 미치는 요인을 중심으로-)

  • Park, Hye-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2 no.10
    • /
    • pp.510-523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n airline service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CIPP model. Evaluation areas were divided into context, input, process, and product. We analyzed the factors which influenced program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of the training program. Two hundred and one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an airline service training program were selected for a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actors which positively influenced training satisfaction were educational goals in context evaluation,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instructors, managing programs in process evaluation, and training performance in product evaluation. The factor which negatively influenced training satisfaction was human resources in input evaluation. On the other hand, the factors which positively influenced training recommendation were educational goal, assessing needs in context evaluation,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instructors, supporting programs in process evaluation, and training performance in product evaluation. The factor which negatively influenced training recommendation was assessing needs in context eval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make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service training programs in airlines.

A Design for analysis model of effective e-learning system (효율적인 e-learning 시스템 분석 모형 설계)

  • 문남미;이동주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775-780
    • /
    • 2001
  • 정보통신 기술 발전과 함께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에 대한 요구는 e-learning 이라는 학습 시스템을 출현케 하였다. 이는 사용자의 요구 및 학습 내용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로 설계가능하나 사용자 사용성 평가를 늪이기 위해서는 웹기반 시스템 사용성 평가와 교육시스템 평가 항목을 조정하여 새로운 평가분석 항목의 도출이 요구되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웹 기반 e-learning 시스템분석 모형을 위해 기존의 교육 시스템 분석 항목들을 조정하여 학습자 분석, 기술분석, 학습 수행 분석, 응용 분석 학습자로 분석 등을 요소로 하는 새로운 분석 모형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적응하여 사용자 사용성 평가를 할 수 있는 관계를 설정하여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은 효율적인 e-learning 시스템 분석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설정되어지는 관계는 절대적 포함관계 상대적 포함 관계, 단일주제를 가진 상대적 포함관계 등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