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육참여동기

검색결과 492건 처리시간 0.029초

초등학생의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LMS 활용방안 (Using Learning Management Systems for Self-directed Learn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이주성;전석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159-167
    • /
    • 2019
  • 최근에는 ICT기술을 학습에 도입한 학습관리시스템이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학습관리시스템을 활용한 자기주도 학습은 학습자원의 효율적인 활용과 의사소통 확산의 장점을 중심으로 학습자의 학습참여를 촉진시키고 흥미를 유발시켜준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관리시스템을 활용한 자기주도 학습이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학습자들은 제안한 학습관리시스템의 알고리즘을 통해 자신의 수준에 맞는 문제를 학습하므로 효과적인 학업 성취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S초등학교 21명에 대한 제안한 학습관리시스템을 활용한 수업을 8주 동안 매주 2차시씩 총 16차 시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로 실험에 참여한 학습자의 학습지향성과 흥미 영역에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도덕성의 4구성요소를 활용한 초등학교 청렴교육 콘텐츠 (Contents for Integrity Education at the Elementary School in South Korea using 4 Components Theory of Morality made by J. Rest)

  • 박균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653-663
    • /
    • 2019
  • 이 연구는 도덕성의 4구성요소를 활용하여 초등학교 수업에서 청렴교육을 구현하는 것에 주안을 둔다. 이 연구를 위한 수업은 도덕적 감수성, 도덕적 판단력, 도덕적 동기화, 도덕적 실천력의 다양한 도덕성의 개념들을 모두 동원했다. 이 연구를 위한 수업은 서울 소재 한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교사경력 30년 이상의 수석교사에 의해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교사와 학생들은 대체로 새롭게 도입되어 진행되는 수업방식에 대해 흥미롭다는 관심을 표명했고,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향후 이 수업방식은 보다 다양한 양적, 질적인 연구에 의해 더 검증되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가족산림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자녀의 가족건강성, 의사소통능력과 부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Family Forest Education Program on Family Strengths, Communication, and Parenting Efficacy)

  • 최선혜;하시연;이윤주;이연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3호
    • /
    • pp.333-340
    • /
    • 2020
  • 본 연구는 가족산림교육 프로그램이 가족의 건강성과 의사소통 능력, 부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산림교육의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립횡성숲체원에서 1박 2일로 진행된 가족산림교육 프로그램 참여자 총 175명(부모 103명, 자녀 6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과 후로 나누어 참여자들의 일반적인 사항, 참여 동기 및 만족도, 가족건강성, 의사소통, 부모효능감을 설문조사하였다. 조사 및 분석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부모-자녀의 가족건강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건강성과 관련이 높은 요인인 부모-자녀의 의사소통 능력과 부모의 효능감이 향상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족산림교육 프로그램이 프로그램 진행 목적에 맞게 가족의 건강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가족산림교육 프로그램이 가족의 건강성에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통해 추후 가족산림교육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기초적인 근거로 활용하고, 산림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고하여 산림교육의 혜택을 널리 알리고자 한다.

요인 분석을 통한 개방적 탐구의 스캐폴딩 요소 및 기능 탐색 (Exploring the Components and Functions of Scaffolding in Open Inquiry through Factor Analysis)

  • 박재용;이기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1204-1221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개방적 탐구에서 요구되는 스캐폴딩 요소를 추출하고, 효과적인 개방적 탐구를 위한 교사의 스캐폴딩 기능을 현장 교사들의 경험적 시각을 통해 탐색해 보는 것이다. 개방적 탐구에서 요구되는 스캐폴딩 요소를 탐색하기 위하여 두 중학교에서 개방적 탐구를 수행했던 11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방적 탐구에 대한 반응을 묻는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응답 결과에 대해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설문 조사에 응했던 학생들 중 일부를 대상으로 학생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추출된 스캐폴딩 요소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수준을 조사하였으며, 개방적 탐구를 지도한 경험이 있는 교사 4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여 개방적 탐구에서 교사의 스캐폴딩 기능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경험적 시각을 살펴보았다.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개의 스캐폴딩 요소(탐구 동기, 탐구 계획, 탐구 전략, 탐구 환경, 탐구 참여)를 추출할 수 있었다. 또한 학생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 학생들은 개방적 탐구의 스캐폴딩 요소 중 탐구 동기를 제외한 탐구 계획, 탐구 전략, 탐구 환경, 탐구 참여에서 어려운 점을 제시하였고, 특히 자기 역할 인식, 과제 수행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와 모둠원들과의 협력으로 대표되는 참여적 요소를 강화하기 위한 도움 방안을 요구하였다. 한편, 개방적 탐구에서 스캐폴딩의 기능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경험적 시각을 심층 면접을 통해 탐색한 결과, 교사들이 생각하는 스캐폴딩의 기능들을 인지적(개념적, 메타 인지적), 정서적(동기적, 중재적), 전략적 기능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고, 교사들은 스캐폴딩의 전략적 기능과 인지적 기능을 정서적 기능보다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개방적 탐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학습 동기 유형에 따른 과학 배움 과정 탐색 (An Exploration on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ience-Learning Processes according to Their Motivation Types)

  • 김동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0권2호
    • /
    • pp.127-144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과학학습 동기 유형과 그 유형별 과학 배움 과정을 근거이론에 따라 탐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 예비교사 132명을 대상으로 과학학습 동기 유형분석하고 그중 12명을 대상으로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한 과학 배움 과정을 살펴보았다.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학습 동기 유형을 분석한 결과, 철두철미형이 가장 많았으며 그다음으로는 지도자형, 탐구자형, 조정자형 순으로 나타났다. 과학 배움 과정에서 나타난 여러 가지 현상들을 코딩한 결과, 근거이론 패러다임 모형 요소에 따라 30개의 범주를 추출할 수 있었다. 추출한 범주를 토대로 근거이론 패러다임 모형에 따라 각 과학학습 동기 유형별 과학 배움의 과정 흐름을 분석할 수 있었다. 대표적으로 철두철미형은 가르치는 방법과 과학 지식을 습득하기 위하여 과학 강의를 듣거나 과학 도서를 읽고 있으며, 이는 초등교사로서의 의무감으로서 당연히 해야 할 것으로 생각하였다. 임용 시험이나 교육 과정적 환경 요인들에 의해 순수한 의미에서 과학을 배우는 과정을 경험하고 있지는 않으나 개인적 노력과 참여로 과학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가지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 성공 대학 졸업생의 교육 참여 경험 탐색 (Analysis on educational experience of graduates' career success)

  • 홍성연;김인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527-533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진로 성공 대학 졸업생의 교육 참여 경험을 탐색하는 것이다. 교육 참여 경험은 투입과, 환경, 그리고 산출의 세 가지 관점에서 탐색되었다. 학생의 투입 요인으로 입학 전형, 지원 동기, 등록금 충당 방법을 탐색하였다. 환경 요인으로는 교내외 활동, 수업 중 활동, 대학 구성원과의 상호관계를 탐색하였다. 마지막으로 산출요인으로 대학 교육의 성과와 사회 진출에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스스로 의도한 바대로 사회 진출에 성공한 21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인터뷰와 설문이 진행되었고, 이들의 진로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세 가지 상위 범주와 각각의 하위 범주로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써 향후 대학생의 진로 지도를 위한 대학 교육의 방향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게임을 활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습 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cience Class with Game o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tudents)

  • 유은주;소금현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0권2호
    • /
    • pp.103-11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게임을 활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습 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3학년 2개 반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여 연구집단에서는 게임을 활용한 수업으로 과학수업을 처치하였고, 비교집단에서는 교사용 지도서에 따르는 일반적인 수업을 진행하였다. 실험 처치 기간은 8주로 11차시에 걸쳐 게임을 활용한 과학수업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게임을 활용한 과학수업은 과학 학습 동기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게임을 활용한 초등과학수업은 과학 학업성취도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또한 인터뷰를 통해 수업에서 소외되던 학생들이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고 학습동기를 가지게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상공동체 관점을 통한 한국어 학습자 동기 이해 (Understanding the Language Learner from the Imagined Communities Perspective: The Case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n the U.S.)

  • 이시원;조혜원
    • 한국어교육
    • /
    • 제28권4호
    • /
    • pp.367-402
    • /
    • 2017
  • 본 연구는 언어 학습이 실행공동체 (Communities of practice) 참여를 통한 사회적 학습과정이라는 전제 하에, Norton (2001)의 상상 공동체 (Imagined communities) 개념을 바탕으로 언어학습자들의 다면적 동기를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특별히 기존 제2언어습득 문헌에서 상대적으로 연구되지 않은 미국 내 소수민족언어 (less commonly taught languages) 중 하나인 한국어 학습자의 다면적 동기를 조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 동부 소재 대학에서 한국어 강의를 수강하는 11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적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결과 학습자 그룹 내에 관찰되는 상상공동체의 유형으로 K-pop 문화공동체, 직업 공동체, 한국 친인척 공동체, 민족 정체성 공동체의 네가지 유형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학습자 개개인의 상상 공동체는 언어 배경, 학습 기간, 매체 사용 등의 다양한 경험을 통해 다양하게 발전,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계승어 학습자와 비계승어 학습자 간에 지향하는 상상 공동체의 유형을 비교해 보았을 때 명확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기존 문헌에서 계승어 관련 동기 (heritage motivation or motivation related to heritage)라 명명되는 개념 내에도 학습자의 경험에 따라 실제로는 상이한 공동체 유형이 존재함이 발견되었다.

IT교육 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도, 현업적용의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학습자 직위 및 참여동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IT Education Service Quality on Educational Satisfaction, Work Application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Learner Position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 강려은;양성병
    • 지능정보연구
    • /
    • 제23권4호
    • /
    • pp.169-196
    • /
    • 2017
  • 제4차 산업혁명의 도래로 IT(information technology)를 활용한 다양한 융합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고품질의 IT관련 교육서비스 제공의 필요성 및 중요성 또한 점차 증대되고 있다. 한편, 일반적인 교육서비스 품질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는 그 동안 다양한 맥락에서 활발히 진행된 바 있으나, IT교육 참가자를 대상으로 한 IT교육 서비스품질의 역할을 살펴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ERVPERF 모형 및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IT교육 맥락에서 IT교육 서비스품질의 다섯 가지 차원(유형성, 신뢰성, 반응성, 확신성 및 공감성)을 도출하고, 이러한 세부 IT교육 서비스품질 요인이 학습자의 교육만족도, 나아가 현업적용의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또한, 이러한 영향이 학습자 직위(실무자 집단/관리자 집단) 및 참여동기(자발적 참여집단/비자발적 참여집단)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한 추가분석도 실시하였다. 서울 소재 'M'교육기관 203명의 IT교육 참가자 대상 설문을 활용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결과, IT교육 서비스품질의 다섯 가지 차원 가운데 유형성, 신뢰성 및 확신성이 교육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교육만족도는 현업적용의도와 추천의도에도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IT교육 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학습자 직위 및 참여동기가 유의한 조절효과를 가진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SERVPERF 모형을 활용하여 IT교육 맥락에서 IT교육 서비스품질의 영향력을 실증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가 IT교육 서비스 제공기관의 교육만족도 제고 및 효율적인 서비스 운영을 위한 실질적인 지침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공학중심 Reading & Maker교육 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Reading and Maker Educational Program Centered on Engineering)

  • 박정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149-157
    • /
    • 2019
  • 제4차 산업혁명시대는 테크놀로지에 대한 기초소양을 바탕으로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역량은 SW교육 STEM융합교육과 연계된 메이커교육을 통해 신장시킬 수 있다. 한편 메이커교육에 앞서 선결되어져야 할 과제로는 테크놀로지 중심 접근보다는 교육방법적 접근이 필요하고 참여자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할 수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취지에서 본 연구는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단순히 메이커 활동을 안내하기보다 흥미와 공감을 갖고 스스로 능동적인 메이커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공학중심 Reading & Maker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프로그램 적용 후 메이커 인식조사 결과는 사전검사보다 통계상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p<.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