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육이론

Search Result 3,491,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확률영역에 관한 문항반응 분석

  • Lee, Gang-Seop;Kim, Jong-Gy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2 s.19
    • /
    • pp.239-250
    • /
    • 2004
  • 수학적 힘의 함양과 문제해결력의 신장을 위한 수학교육에서 확률영역은 중요한 학습소재임에도 불구하고, 확률영역은 어려운 것으로 고착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확률영역의 어떤 부분을 어려워하고 이해하기 힘들어하는지를 구체적 문항분석을 통하여 알아봄으로서 교수-학습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한다. 이를 위하여, 지난 10년간 출제되었던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확률영역 16문항을 고등학교 학생 220명에게 실시하고, 고전검사이론과 문항반응이론울 적용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고전검사이론에서는 신뢰도와 변별도를 측정하였고, 문항반응이론에서는 Rasch 1-모수 문항반응모형에 근거한 BIGSTEP을 사용하여 내적타당도와 난이도를 측정하였다.

  • PDF

Study of the Assessment Criteria for Programming Education of KAIE curriculum based on Bloom's Theories (블룸 이론 기반 KAIE 교육과정의 프로그래밍영역 평가 기준 탐색)

  • Shin, Soo-Bum;Kim, Chul;Jeong, Young-Si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2 no.2
    • /
    • pp.195-203
    • /
    • 2018
  • This thesis is to presented a theoretical fundamental of an assessment criteria available to a conventional curriculum because informatics subject matter education became it. We analyzed Bloom's Knowledge Dimension, Taxonomy that have suggested most general theoretical base in the educational assessment area. Also a programming area which can improve computational thinking can be the most important chapter of the informatics subject matter. Thus this thesis applied Bloom's theory to KAIE's informatics subject matter curriculum made by 2017. And the result of the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the expert panel was 14 items, 87% of Conceptual, Procedural Knowledge and 12 items, 75% of Understand, Apply Taxonomy of Bloom's Theories in the 16 items of the curriculum outlines. Applying Bloom Criteria to like these can provide theoretical fundamental of assessment trend, development of assessment tool requested in the conventional education.

전문대학원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 Lee, Yeong-Seon
    • 대학교육
    • /
    • s.130
    • /
    • pp.24-28
    • /
    • 2004
  • 전문대학원은 전문직업분야의 인력양성을 목적으로 하므로 교육내용도 일반학술대학원이 학술이론과 연구방법론을 주로 포함하는 것과 달리 실천적 이론과 실무위주의 교육을 내용으로 삼아야 한다.

  • PDF

고체역학과 실험 교육

  • Jeon, Heung-Jae
    • Journal of the KSME
    • /
    • v.53 no.12
    • /
    • pp.41-44
    • /
    • 2013
  • 이 글에서는 실험 교육이 이론 교육과 잘 융합되어 이론적 지식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공학개념을 세우는데 어떻게 학생들에게 도움을 주며 교육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지 연세대학교 기계공학부에서 운영되고 있는 "고체역학 및 실험 (1)과 (2)"를 통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improvement of education effectiveness evaluation model for educational serious games (교육용게임의 확산을 촉진시키기 위한 교육효과성평가모형의 개선)

  • Leem, Eek-Su;Wohn, Kwang-Yu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1330-1336
    • /
    • 2009
  • 게임의 교육적 목적으로의 활용에 대해 관심이 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도 불구하고 교육 분야에서 교육용게임의 채택은 더딘 편이다. 교육용게임의 채택과 확산을 위해서는 교육용게임을 교육을 위해 선택할 수 있는 정보를 학습자와 학부모, 교사들에게 제공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교육용게임의 효과성평가는 게임의 교육적 효과 및 가능성을 알려줄 수 있기 때문에 교육용게임의 채택과 확산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효과성평가방법을 사용한 연구는 학부모와 같은 의사결정권자에게 신뢰받지 못하고 있어, 교육용게임의 확산에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모형을 사용한 효과성평가 결과는 개발자들에게 게임개선을 위한 자료로서 활용할 수 없게 되어 있어 개발을 위한 개선자료로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교육용게임을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기존의 효과성 연구방법개선 또는 수정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기존의 교육효과성모형을 교육용게임개발을 이루고 있는 두 이론적 배경인 게임설계이론과 학습이론에 근거하여 기존 효과성평가방법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두 이론에서 공통적인 요소를 도출하여 게임에서 학습결과와 과정을 모두 평가하는 개선된 평가모형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효과성평가가 단순히 학습량을 측정하여 단순하게 효과성의 유무만 보여주고 있다면, 개선된 모형은 효과성 유무와 함께 게임에서 학습의 과정을 보여줌으로서 게임의 관찰 가능한 효과성을 보여줌으로서 혁신의 확산을 촉진할 수 있는 지각된속성(Perceived Attributes)에 대한 정보를 효과성평가의 결과로서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모형을 학부모 교사와 같은 교육 분야의 사람과 게임기획자 와 같은 개발자가 모두 만족 할 수 있는 결과를 보여 주는 효과성평가 모형으로 개선하였다는데 의의를 둘 수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교육현장에서 교육용게임의 채택과 확산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ome remarks on J. Piaget's philosophy for the mathematics education (J.plaget의 수학교육관의 철학적 배경)

  • 우정호
    • Bulletin of the Korean Mathematical Society
    • /
    • v.20 no.2
    • /
    • pp.111-122
    • /
    • 1983
  • 지금까지 H. Aebli, A. Fricke, R.W. Copeland, G. Steiner, E. Wittmann, R.R.Skemp, Z.P. Dienes등에 의해 Piaget이론의 수학교육적 연구가 상당한 정도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Centre International D'epistemologie Genetique를 중심으로 한 집단사고와 방대한 연구결과를 집약한 소위 'Piaget이론'은 타에 그 종례를 찾아볼 수 없는 포괄적인 것인 바, 지금까지 이루어진 Piaget이론의 수학교육적 접근은 Piaget이론의 한정된 부분의 단편적인 응용에 불과하며, Piaget의 발생적 수학인식론 및 심리학의 중심원리와 연구결과를 반영한 보다 철저한 연구가 요망되고 있다. 본 고는 그 이론적 기초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1969년에 출판된 Psychologie et pedagogie에 실린 'La didactique des mathematiques'와 1972년 ICMI의 제2차 수학교육국제회의에 기고한 논문 'Comments on mathematical education'에 나타난 수학교육에 대한 Piaget자신의 견해를 그의 수학인식론의 분석적 고찰을 통해 양세화하고, 그 실제적 구현방안을 제시해 본 것이다.

  • PDF

구성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현장 학습 적용

  • Park, Seong-Taek;Park, Gyeong-Su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0
    • /
    • pp.31-42
    • /
    • 2000
  • 21세기를 살아가야 할 현재의 학생들에게 요구되는 것은 쏟아지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필요한 것만을 가려 자신의 지식으로 만들어 가는 능력이다. 이는 곧 창의력, 문제 해결력과도 관련된다. 이러한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관심 속에서 구성주의가 교육이론의 전면에 부상하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구성주의와 현장 학습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구성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현장 학습 적용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f the Pedagogical Foundations on the 'Library Tour' As a Library Use Education Method (도서관 교육방법으로서 도서관 견학의 교육학적 토대에 관한 연구)

  • Jung, Jong-Kee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3 no.3
    • /
    • pp.291-31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advanced researches of the library tour, to extract the educational properties of library tour, and to propose the pedagogical meanings of library tour by reinterpreting the library tour based on pedagogical theories and foundation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extracted educational properties of library tour are like these: experience, media, explanation, interpretation, interaction. The educational properties are extracted through the related theories and researches. The pedagogical foundations based on the educational properties of library tour are like these: 1) John Dewey's experience theory. 2) Dale & Dwyer's teaching & learning media theories. 3) Bruner's educational theory. It'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help the education librarians to plan, develop, and implement the face to face or virtual library tour program based on the pedagogical foundations for the effective library education.

충북지역 초등수학 영재교육의 분석과 전망

  • Kim, Su-Hwa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9
    • /
    • pp.227-239
    • /
    • 1999
  • 영재교육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한 연구물이 국내에는 그다지 많지 않다. 뿐만 아니라 지금 한국과학재단에서 지원하고 있는 전국의 9개 대학 과학영재교육센터 역시 실천적인 차원의 활동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외국의 대학부설 연구소들이 30년 이상 이와 같은 연구와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실천해오고 있는 사례들을 우리는 쉽게 찾을 수 있다는 점을 거울 삼아 모처럼 마련된 국가적 차원의 지원을 토대로 그 바람직한 실천과 연구를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해본다. 첫째, 질적 연구의 집적에 힘써야 한다. 영재교육이라는 특수한 상황을 전제로 할 때는 더구나 그렇듯이 일반화를 전제로 한 양적 연구보다는, 사례연구와 같은 질적 연구물들의 집적에 노력을 아끼지 말아야할 것이다. 둘째, 교수-학습 활동은 활동이론과 구성주의 이론의 적절한 조화가 요망된다. 구성주의 이론에 입각한 교수-학습 활동의 모습을 단적으로 말하자면, 학습자 자신이 주어진 문제 상황에서의 탐구를 통하여, ‘구체적인 것에서 추상적인 것으로’ 나아가 스스로 지식을 구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활동이론에 입각한 교수-학습 활동의 요지는 활동은 정말로 전형적인 활동에 국한하고 나머지는 교사의 설명에 의해 학습자들이 ‘추상적인 것에서 구체적인 것으로의 소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완전히 정반대의 주장을 하는 것 같으면서도 일면 그 타당성들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학제적 ${\cdot}$ 통합적 연구가 절실하다. 연구의 측면에서 수학반 아동과 과학반 아동들의 활동상의 차이점이나 유사점 등에 대한 질적 연구를 시도해보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이 될 것이다.

  • PDF

Photography's educational study : Against practical-based curriculum in photography education (사진의 교육적 연구 : 실기 중심 교육과정에 반하여)

  • Nam, Tack-Oo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2
    • /
    • pp.359-367
    • /
    • 2016
  • This paper aims to develop the photography education method based, not on the practical technique, the photo recording or the communication, but on the photo theory and the visual culture.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analyses the photo theory itself and photography education theory. It examines the studies of the important scholars of photography theory, namely Laszlo Moholy-Nagy, Walter Benjamin, Susan Sontag. It examines also the studies of the scholars who applied photography to education, that is, Victor Burgin, Simon Watney, David Bate. This paper examines how photography is related to education theory in general and where photo education can be situated in art education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