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육미디어 활용

Search Result 87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Study on Curriculum Model for Media Education Expert -Basis on Online University- (미디어 교육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모델 연구 -온라인 대학을 중심으로-)

  • Lee, Sung-Kyun;Yoon, Young-D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1
    • /
    • pp.468-476
    • /
    • 2010
  • Since the Media law recently passed, the media's influence has further enhanced than before. However, in reality, systematic media education can't catch up a trend of the fast growing media culture development. The new paradigm is much needed in getting rid of utilizing previous ICT training tool but rather using a creative and critical new role model. This study, media education in schools outside the school, as well as to the proper education of the active and systematic media education system as a way to create a top integrated media that is responsible for training new teachers to offer courses to train professionals. To change fragmentary and unsystematic media education system having been implemented to more professional, systematic and concrete, it is proposed that 3 systematic courses media literacy course, media story telling course and media production course should be implemented.

The Effects of the Experience of Media Education and the Media Literacy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미디어 교육 경험과 미디어 리터러시가 비판적 사고 성향에 미치는 영향 : 중고등학생의 사례를 중심으로)

  • Lee, Wonsup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10
    • /
    • pp.795-809
    • /
    • 2014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experience of media education and the media literacy,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use media rightly. In the research results in this study, the experience of media edu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Especially, the experience of media education in school influences all constituents of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ositively and the experience of media education in home also does the constituents except for only truth-seeking positively. The industrial motivation, one of factors of the media literacy, has influence on all constituents of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the technical use ability, one of them, does the constituents except for systematicity. And inquisitiveness, objectivity, systematicity, and self-confidence of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re affected by the self-expression of the media literacy. The media audience factor has open-mindness, systematicity, and self-confidence of the disposition, and the media language factor does truth-seeking, open-mindness, and objectivity.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XML Document Management System for ICT Applied Education (ICT 활용교육을 위한 XML 문서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한순희;이종구;정덕길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05b
    • /
    • pp.737-741
    • /
    • 2003
  • 21세기 사회는 국가의 경쟁력이 사회 전반의 정보화 수준에 따라 결정되는 지식 정보화 사회이다. 따라서 교육의 실천 방안도 교수-학습 교육정보화 종합 계획을 통하여 기존의 교육방식과는 차별화본 연계·통합교육으로 발전되고 있다. 교육정보화 종합 계획의 실천을 통하여 기존의 개별 교과로만 다루어지던 기술 교과교육을 ICT 활용교육과 연계하여 기술교과 교수-학습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웹 환경에서 교육자료를 학습자에게 교수함에 있어 웹 문서 표준인 XML을 활용하여 교육자료의 효율적인 관리와 저장 기능을 높이고, 동일 업무에 대한 교육자료의 재편집 과정을 감소시킴으로써 교육 자료의 가치를 높이는 XML 문서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시스템의 설계 겐 구현의 한 방안을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the Convergence Classes Utilizing Virtual Studio and Drone (가상스튜디오 및 드론을 활용한 융합수업 사례 연구)

  • Park, Sungkyu;Lee, Sang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07a
    • /
    • pp.601-604
    • /
    • 2020
  • 방송예술 및 콘텐츠 제작 역량을 교육시키는 방송예술특성화 대학으로서 C3(Creativity, Convergence, Contents) 방송예술 창의융합교육 모델인 융합수업을 개설하고 전체 학과에서 신청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하였다. 융합수업은 전공이 다른 학생들이 희망하는 콘텐츠 제작과정을 수강하고, 방송사와 산업체에서 실무경험이 풍부한 교수와 전문가들이 직접 콘텐츠 제작을 지도함으로써 고품질의 수준 높은 콘텐츠 제작 교육을 경험할 수 있는 수업이다. 즉, 재학 중 학교수업을 통해 미리 현장 경험을 쌓음으로써 취업 즉시 콘텐츠 제작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자신감 함양과 제작현장에 기여할 수 있는 융합형 인재양성 교육프로그램인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이 보유하고 있는 방송용 버츄얼 스튜디오를 활용한 가상 세트 영상 제작 교육 『영화담』을 제작하는 융합수업과 드론 항공촬영을 활용한 제작교육 『드론 탐사대』 융합수업을 실시하여 첨단 기술을 활용한 콘텐츠 협업 제작의 효과와 학생들의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n Interactive Multimedia Class (멀티미디어 배움터의 개발)

  • Woo, Sang-Ock;Bong, Si-Jong;Kwon, Tae-Wook;Koh, Kyun;Choy, Yoon-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309-314
    • /
    • 1998
  • 가상교육(cyber education)은 원격교육에서 시작되어 웹 기반 교육(Web-based Instruction)에 이르기까지 많은 발전을 거듭하여, 최근 국내외에 많은 웹 기반 코스웨어와 가상 클래스 관리 소프트웨어가 개발되고 있다. 가상교육을 위한 코스웨어는 지금까지 텍스트와 이미지 위주의 정적인 구조로 구성되었으나, 최근 웹과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전에 힘이어 이제는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컨텐츠(contents) 개발에 활용하고 동적인 구조와 상호 작용성을 지원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기술발전에 근거하여 웹 기반 코스웨어를 개발하기 위한 컨텐츠 개발모델을 제시하고, 이 개발모델에 기반한 멀티미디어 배움터 개발사례를 설명한다. 멀티미디어 배움터는 10개의 Contents Chapter와 8개의 Lab.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재 연세대학교 학부 과목인 멀티미디어 강의에서 활용되고 있다.

  • PDF

Analyses of the Patterns of the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Social Media Usage in College e-Learning Settings (대학 이러닝 환경에서 실시간과 비실시간 소셜미디어 활용유형 차이분석)

  • Eom, Sang-Hyeon;Lim, Keol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4
    • /
    • pp.27-34
    • /
    • 2017
  • As information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in a rapid way, a lot of users get to be familiar with social media. Accordingly, the possibility of social media for educational use has increased. From the view point of learning, social media help learners make communities of practice that can lead to collective intelligence. In this study, two different types of social media,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were compared in terms of usage patterns in the e-learning settings of college level. Content analysis has figured out four factors: learning content, tasks and assignments, emotional communications, and chatting. There found to be a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postings in all of the factors except tasks and assignments. In the qualitative interviews, the participants told various usage patterns of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social media. In sum, the learners generally preferred synchronous social media. Rather, asynchronous social media were mainly used for deep thinking and summarizing. Last, suggestions were made to improve educational environments for the learners in the digital and social media age.

Instructional Materials Development and Its Application for Web-Based Teaching and Learning System (웹기반 원격강의학습시스템의 교재개발과 활용)

  • 이성순;박만곤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1.06a
    • /
    • pp.395-398
    • /
    • 2001
  • 웹을 기반으로 하는 개방적이고 유연한(Open and Flexible) 많은 교수 및 학습 시스템(Teaching and Learning Systems)이 개발되어 사용되어지면서 교육현장에서 교육의 패러다임이 급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Anyone, Anytime and Anywhere) 교수 및 학습이 가능한 웹기반 원격장의 시스템에서 원적교육의 방식과 특성을 모색해보고 쌍방향 멀티미디어 원격교육을 가능하게 하는 GVA를 이용하여 코스웨어를 구현함으로써 원격교육시스템의 실질적인 대안을 제시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a Distance-Education Environment with SMIL Extending and Multimedia Scheduling (SMIL 확장과 멀티미디어 스케줄링을 이용한 원격교육환경 구축)

  • 하영미;한현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568-570
    • /
    • 2003
  • 현대에는 학습자에 대한 교육 방법으로 여러 전달 매체를 통한 원격교육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으며, 그중 컴퓨터를 이용한 원격교육이 많이 도입되고 있다. 여기에 고성능 컴퓨터의 보급과 초고속통신망의 구축으로 하드웨어적 환경이 뒷받침되면서 전통적인 교육방식인 면대면 수업과 같은 효율적이고 생동감 있는 학습의 전달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웹 기반 원격교육은 일반적으로 상업성에 기초를 두고 있으므로 학습자의 요구와 특성에 따라 교과 내용이 결정되어 학습자가 원하지 않는, 듣기 싫은 과목 등에 대해서는 최소한의 학습을 보장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대부분의 원격교육에서는 교과목마다의 특성을 무시하고 일률적인 화면구성을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멀티미디어 객체들 간의 시간적 연관성을 무시하고 각 멀티미디어 객체들을 독립적으로 표현하여 멀티미디어 교육의 장점을 잘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스케줄러를 설계, 구현하여 학습자는 최소한의 학습진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고, 교수자는 담당 교과목이 재생될 때 학습자의 질의에 대해 즉각적으로 응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SMIL을 이용해서 다중사용자 환경을 표현하고 이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객체들의 시간적 동시성과 연관성을 제시하여 학습자의 학습 능력과 집중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The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Foreign Culture by Digital Multimedia Contents (외국문화 교육을 위한 디지털 멀티미디어콘텐츠 활용과 개발)

  • Nam, Suk-He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1
    • /
    • pp.59-66
    • /
    • 2012
  • The Multimedia Contents, such like movies, internet and so on, are the most effective teaching means for generation c[content] learners who are accustomed to the multimedia environment. First, the multimedia contents become appropriate materials in that they help the learners understand the culture and lifestyle of its country through practical and vivid information. Second, they are useful leaning tools for the students who prefer visual media to improve interest and understanding. Third, as students have the time for developing their own contents based on given information, they understand the contents better and also have a indirect learning experience of culture. This means that the learning using multimedia contents has an influence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s a result, it is desirable for the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multimedia contents to be suggested a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foreign culture.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Strategy of Education based on Smart Media in the Environment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Convergence (방통융합 환경에서의 스마트미디어 기반 교육 현황 및 전략 연구)

  • Lee, Sang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07a
    • /
    • pp.513-516
    • /
    • 2020
  • 방통융합기술이 급격히 발전하고 이에 따른 서비스가 진화함에 따라 기존 미디어 환경은 실감화, 지능화, 연결화, 융합화 되는 스마트미디어 시대로 진입하면서 인간 생활에 혁신을 가져오고 있다. 기존 교육 환경이 학교의 틀에서 일방향의 형태로 지식을 전달하는 체제이지만, 4차 산업혁명시대에 진입하면서 사회는 굳은 조직과 질서의 틀을 벗어나 빠르게 다변화 하고 복잡해지는 사회 구조가 되어 가고 있어 지식을 쌓는 전통적인 교육보다는 당면한 문제를 주도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창의적 역량을 키워주어야 사회에서 적응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스마트미디어를 교육 시스템에 활용하면 4차 산업혁명시대에 적합한 창의적 역량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며 학습의 성취도, 만족도, 몰입도 등에서 상당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현재와 미래의 융합미디어 환경에서 바람직한 교육정책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