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the Experience of Media Education and the Media Literacy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미디어 교육 경험과 미디어 리터러시가 비판적 사고 성향에 미치는 영향 : 중고등학생의 사례를 중심으로

  • 이원섭 (광운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Received : 2014.08.14
  • Accepted : 2014.09.29
  • Published : 2014.10.28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experience of media education and the media literacy,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use media rightly. In the research results in this study, the experience of media edu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Especially, the experience of media education in school influences all constituents of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ositively and the experience of media education in home also does the constituents except for only truth-seeking positively. The industrial motivation, one of factors of the media literacy, has influence on all constituents of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the technical use ability, one of them, does the constituents except for systematicity. And inquisitiveness, objectivity, systematicity, and self-confidence of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re affected by the self-expression of the media literacy. The media audience factor has open-mindness, systematicity, and self-confidence of the disposition, and the media language factor does truth-seeking, open-mindness, and objectivity.

이 연구는 청소년의 미디어 소비가 급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미디어 교육 경험과 미디어를 제대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인 미디어 리터러시가 비판적 사고 성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연구 결과, 미디어 교육 경험은 비판적 사고 성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교에서의 미디어 교육 경험은 비판적 사고 성향의 모든 하위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가정에서의 미디어 교육 경험도 진실 추구성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미디어 리터러시 구성 요소 중에서 산업적 동기는 비판적 사고 성향의 모든 하위 영역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적 활용 능력은 체계성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 표현은 탐구성, 객관성, 체계성, 자기 신뢰성에 영향을 주었다. 수용자는 개방성, 체계성, 자기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미디어 언어는 진실 추구성, 개방성, 객관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순, 박지선, "민주시민교육과 미디어 문화 리터러시", 한국민주시민교육학회보, 제11권, 제1호, pp.91-110, 2006.
  2. EAVI(European Association for Viewers Interests), Testing and Refining Criteria to Assess Media Literacy Levels in Europe, Final Report, 2011.
  3. 강승희, "한국 대학생을 위한 비판적 사고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인지적 모델과 학습자 주도의 루브릭 제작을 중심으로", 동북아문화 연구, 제34집, pp.169-190, 2013.
  4. 조아미, 김정희, 설현수, 정재천, 청소년 핵심역량 개발 및 추진방안 연구 II : 사고력 영역, 경제. 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명지대산학협력단, 2009.
  5. 배상률, 김형주, 성은모, 2013 청소년 매체 이용 실태조사, 여성가족부, 2013.
  6. P. Aufderheide, Aspen Media Literacy Conference Report - Part II: Procedings and Next Steps, 1992. http://www.medialit.org/reading-room/aspen-media-literacy-conference-report-part-ii
  7. http://www.medialit.org/about-cml
  8. http://namle.net/publications/media-literacydefinitions/
  9. H. Martens, "Evaluating media literacy education: Concepts, theories, and future directions," Journal of Media Literacy Education, Vol.2, No.1, pp.1-22, 2010.
  10. EAVI(European Association for Viewers Interests), Study on Assessment Criteria for Media Literacy Levels, Final Report, 2010.
  11. 안정임, 서윤경, 김성미, "청소년의 디지털 시민성에 관한 연구: 미디어 리터러시와 교육경험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제45권, 제2호, pp.161-191, 2013.
  12. 이미나, "미디어 리터러시로서의 미디어교육 수업사례 제안", 시민교육연구, 제41권, 제3호, pp.139-181, 2009.
  13. H. Postigo, "Questioning the web 2.0 discourse: Social roles, production, values, and the case of the human rights portal," The Information Society: An International Journal, Vol.27, No.3, pp.181-193, 2011. https://doi.org/10.1080/01972243.2011.566759
  14. N. Jenkins, Confronting the Challenges of Participatory Culture: Media Education for the 21st Century, The MacArthur Foundation, 2006.
  15. 박주연, "디지털 시대 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관한 탐색적 연구: Jenkins의 참여문화 향상을 위한 '리터러시 핵심능력' 분석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학연구, 제21권, 제1호, pp.69-87, 2013.
  16. 김아미, "디지털 환경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의 재개념화", 한국방송학회 세미나 및 보고서, 한국방송학회, pp.7-19, 2008.
  17. 김대희, "리터러시 개념의 확장에 관한 연구: 미디어리터러시를 중심으로", 어문연구, 제34권, 제1호, pp.477-500, 2006.
  18. 권성호, 김성미, "소셜미디어 시대의 디지털 리터러시 재개념화: Jenkins의 '컨버전스'와 '참여문화'를 중심으로", 미디어와 교육, 제1권, 제1호, pp.65-82, 2011.
  19. 안정임, "연령집단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수준 비교 연구", 학습과학연구, 제7권, 제1호, pp.1-21, 2013.
  20. 안정임, 서윤경, 김성미,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구성요인 검증: 세대 간의 미디어리터러시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6권, 제6호, pp.129-176, 2012.
  21. D. T. Chen, J. Wu, and Y. M. Wang, "Unpacking new media literacy," Journal on Systemics, Cybernetics and Informatics, Vol.9, No.2, pp.84-88, 2011.
  22. T. B. Lin, J. Y. Li, F. Deng, and L. Lee, "Understanding New Media Literacy: An Explorative Theoretical Framework,"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Vol.16, No.4, pp.160-170, 2013.
  23. 황용석, 박남수, 이현주, 이원태, "디지털 미디어 환경과 커뮤니케이션 능력 격차 연구: 세대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6권, 제2호, pp.198-225, 2012.
  24. 안정임,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관점에서 본 소셜 네트워크 미디어의 핵심이슈", 여성연구논총, 제25집, pp.1-22, 2010.
  25. P. Mihailidis and B. Thevenin, "Media Literacy as a Core Competency for Engaged Citizenship in Participatory Democracy,"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Vol.57, No.11, pp.1611-1622, 2013. https://doi.org/10.1177/0002764213489015
  26. 오의경, "소셜미디어 시대의 정보리터러시에 관한 소고: 재정의, 교육내용, 교육방법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7권, 제3호, pp.385-406, 2013.
  27. 조남억, "청소년의 소셜미디어 리터러시에 관한 탐색적 고찰", 청소년복지연구, 제14권, 제4호, pp.93-111, 2012.
  28. 김효숙, "페이스북을 활용한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발 가능성에 관한 연구", 학습과학연구, 제6권, 제2호, pp.20-38, 2012.
  29. P. A. Facione, Ctitical Thinking: A Statement of Expert Consensus for Purposes of Educational Assessment and Instruction, Executive Summary "The Delphi Report", The California Academic Press, 1999.
  30. 김명숙, 설현수, "Rasch 측정모형에 의한 K 비판적 사고 성향 검사의 양호도 검증", 교육평가연구, 제20권, 제2호, pp.101-124, 2007.
  31. 최훈, "비판적 사고의 성향: 그 의미와 수업방법", 철학탐구, 제24집,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pp.91-117, 2008.
  32. 허경철, 김흥원, 임선하, 김명숙, 양미경, 사고력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연구(V), 한국교육개발원, 1991.
  33. M. L. Coluccieollo,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dispositions of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a conceptual model for evaluation,"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Vol.13, No.4, pp.236-245, 1997. https://doi.org/10.1016/S8755-7223(97)80094-4
  34. N. C. Facione, P. A. Facione, and C. A. Sanchez, "Crititical thinking disposition as a measure of competent clinical judgement: The development of the californi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ventory,"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33, No.8, pp.345-350, 1994.
  35. J. Profetto-McGrath, "The relationship of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of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43, No.6, pp.569-577, 2003. https://doi.org/10.1046/j.1365-2648.2003.02755.x
  36. 김기헌, 장근영, 조광수, 박현준, 청소년 핵심역량 개발 및 추진방안 연구 III: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0.
  37. 강승희, 김대현, "예비교사의 비판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수산해양교육연구, 제18권, 제2호, pp.108-119, 2006.
  38. 신경림, 하주영, 김건희,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과 비판적 사고 기술에 관한 종적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35권, 제2호, pp.382-389, 2005.
  39. 김재형, "사회과에서의 비판적 사고력 교육", 사회과교육, 제29호, pp.39-63, 1996.
  40. 성기산, "비판적 사고를 위한 교육", 교육사상연구, 제24권, 제3호, pp.155-172, 2010.
  41. 김명숙, "비판적 사고성향 측정도구의 개발 및 양호도 검증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제9권, 제1호, pp.89-117, 2006.
  42. 이다정, 사회과 비판적 사고력 측정을 위한 평가 문항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43. R. Hobbs and R. Frost, "Measuring the acquisition of media-literacy skills," Reading Research Quarterly, Vol.38, No.3, pp.330-355, 2003. https://doi.org/10.1598/RRQ.38.3.2
  44. R. L. Duran, B. Yousman, K. M. Walsh, and M. A. Longshore, "Holistic Media Education : An Assessment of the Effectiveness of a College Course in Media Literacy," Communication Quaterly, Vol.56, No.1, pp.49-68, 2008.
  45. F. Linde, "The necessity of a media literacy module within journalism or media studies curricula," Global Media Journal African Edition, Vol.4, No.2, pp.1-15, 2010.
  46. 안정임, 김양은, 박상호, 임성원, 미디어교육 효과측정 모델: 미디어 리터러시 지수 개발, 2009 미디어교육 연구서, 한국언론재단, 2009.
  47. 이화행, 이정기, "청소년기 NIE(Newspaper in Education) 경험여부에 따른 대학생의 신문 이용 동기와 효과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11권, 제4호, pp.456-488, 2011.
  48. E. T. Arke, and B. A. Primack, "Quantifying media literacy: development,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new measure," Educational Media International, Vol.46, No.1, pp.53-56, 2009. https://doi.org/10.1080/09523980902780958
  49. 이진남, "국내 비판적 사고 연구 동향에 대한 검토 I", 인문과학연구논총, 제33호, pp.269-299, 2012.
  50. 안정임, 서윤경, 김성미, "미디어 리터러시 구성 요인과 부모의 중재 행위, 아동의 이용조절 인식간의 상관관계", 언론과학연구, 제13권, 제2호, pp.161-192, 2013.
  51. 이성균, 윤영두, "미디어 교육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모델 연구: 온라인 대학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호, pp.468-476,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1.468
  52. 박진우, 황치성, 김기태, 설규주, 이영주, 한국의 미디어 교육: 현황과 쟁점, 한국언론진흥재단,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