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육대상

Search Result 16,145,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Analysis and Recommendation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System for Citizens (시민 대상 재난안전교육 체계 분석 및 제언)

  • Kwon, You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213-214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한국사회 내 2014년 이후 2022년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생애주기별 재난안전교육 체계를 분석하여 재난 발생 시 자신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재난안전교육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제언을 통해 시민 대상별 최적화된 재난안전교육 체계화를 모색하고자한다. 2014년 4월16일에 발생한 세월호 침몰 사고는 2015년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시행규칙의 일부 개정 및 이에 근거한 '국민안전의 날'이 국민안전의 중요성을 되새기자는 의미로 제정된 계기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재난안전교육에 관한 전반적인 변화의 필요성을 깨닫게 해준 가슴 아픈 사건이었다. 이에 서울시 소방재난본부 현장대응단에서 2014년 말부터 시민대상 초기대응을 위한 재난안전 교육체계를 기획하고 10만의 안전리더 양성을 추진했다. 동시에 다양한 형태의 시민대상의 재난안전교육이 시, 도별로 진행되었다. 특히 서울 시민의 1%인 10만 시민안전파수꾼 양성을 위해 진행되었던 시민안전파수꾼 정책 사업을 위한 재난안전 교육체계는 시민을 대상으로 황금시간 목표달성을 통한 초기대응으로 재난규모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안전에 관한 소양교육의 기본을 구성해 교육했고, 이는 시민 대상 재난안전교육의 방향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크다. 정책사업 초기 대학생 이상의 성인을 교육 대상으로 선정하여 교육이 진행되었고, 그 후 2018년 이후 고등학교 이상으로 교육의 대상범위를 확대하여 진행했지만 안전리더로서 역할은 한국사회 전체 구성원들의 인식이 필요한 부분으로 어린 시절부터의 반복 교육을 통한 안전문화가 시스템으로 구축되어 자연스럽게 습득되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었다. 이에 다양한 생애주기별 재난안전교육 체계를 분석하여 국민스스로 재난 발생 시 자신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재난안전교육 인프라 구축을 위해 시민대상 재난 안전교육을 '황금시간 목표달성'을 준거틀로 기존의 중앙, 서울시, 부산시, 경기도 및 산하 교육청에서 실시해온 재난안전교육 체계 관련 문헌의 비교분석을 통해 시민 대상별 생애주기별 최적화된 초기대응을 위한 재난안전교육 체계를 모색하여 재난안전교육의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PDF

고등학생 대상의 정보과학 영재교육을 위한 차별화된 원격교육시스템

  • Kim, Ji-Seon;Park, Hyo-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
    • 2005.05a
    • /
    • pp.151-163
    • /
    • 2005
  • 정보화 기술의 눈부신 발전에 따라 정보과학 영재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정보과학 영재 판별 및 프로그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그 대상이 대체로 초${\cdot$중등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정보과학에 잠재성이 있고 전공 선택에 목전을 두고 있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정보과학 영재교육은 부재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고등학생 대상의 정보과학 영재교육의 필요성과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교육 방법의 한 형태인 원격 교육, 특별히 웹을 통한 정보과학 영재교육 프로그램과 원격 정보과학 영재교육에 필요한 교육 체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Elementary School Teachers' Needs Assessments and Perceptions on School Education Program to Prevent Sexual Abuse to Children (아동 대상 성폭력 예방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요구 및 인식)

  • Yoon, Ji-Hyun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0 no.3
    • /
    • pp.231-258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needs and recognitions of education to prevent children sexual abuse and to suggest the basic data for school prevent education program. For this purpose 1210 primary school teachers were suggested in Korea and finally 973 questionnaires were analy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ur the needs of education contents for children,'the reaction skills to crisis situation of sexual abuse' was most needed, and 'the types and cases of sexual abuse' and 'the legal regulations' were lowest. Second, for the recognitions of education forms for children, teachers thought the proper form that professional instructors outside school related sexual abuse in special education type, $1\sim2$ times per semester, to all years of children and parents. Third, the education contents and forms to prevent sexual abuse to childre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age, gender, carrier years, area for work, related training experience. Fourth, the retraining program chances for teachers and prevent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using the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needs to be broad.

  • PDF

Characteristics of Media Education in Korea (한국 미디어 교육의 성격 분석 및 논의)

  • Kim, Ki-Tai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37
    • /
    • pp.139-167
    • /
    • 2007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media education in Korea by analyzing the media education cases which are being implemented in education field. Analyses were conducted on educational media, education contents, education methods, education fields, education levels, age of educated people, education cycle, school curriculum patterns and education-performing organizations. The educational media were in the rank order of vision media, new media such as internet, newspaper and movies. The education contents were mainly composed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about media followed by media production and media literacy. The media education was conducted in the cooperative relationships among school, society and family. For the education methods, message analysis, media monitor education, media production and media in education were dominantly us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found to be the main target of media education, while there was no media education for pre-school children. Current media educations in school were being performed using club activity, creative activity, talent-raising education after school and regular class.

  • PDF

동적 집단 면접을 통한 프랜차이즈 교육과정 개발

  • Lee, Dong-Il;Lee, Hye-Jun;Lee, Ju-Hyeo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0a
    • /
    • pp.293-308
    • /
    • 2009
  • 본 연구는 프랜차이즈 가맹본부 실무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 과정 개발의 방향을 의미 네트워크분석을 통해 밝히기 위해 프랜차이즈 CEO 그룹, 실무자 그룹을 대상으로 동적집단 면접(DGI)을 실시하였다. 실무자 대상 교육에 있어서 의사결정자인 CEO 그룹과 교육 당사자인 실무자의 교육에 대한 의견을 종합하여 교육의 개발 방향을 종합하였다. 연구결과 프랜차이즈 교육의 개선 방향으로 1) 교육의 전문화와 세분화, 2) 프랜차이즈 내부 노하우의 공유 및 이전, 3) 교육 운영 과정의 현장 지향성의 세 가지가 도출되었다.

  • PDF

해양안전리더 교육 프로그램 만족도 분석에 관한 연구

  • Jeong, Chang-Hyeon;Kim, Hwa-Yeong;Kim, Deuk-B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6.05a
    • /
    • pp.59-61
    • /
    • 2016
  • 안전한 선박운항과 해양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선박소유자를 비롯한 해운회사 경영진의 안전의식 내재화와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인식의 변화가 요구된다. 그러나 해양사고 예방을 위한 교육은 주로 선박운항 종사자를 대상으로 시행되고 있고 안전의 최고 의사결정자인 선사의 경영진을 대상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은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해양수산부에서는 2015년부터 선사 CEO 해양안전리더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이 교육의 대상은 해운선사의 경영진이며 안전에 대한 이론, 실무, 타 회사의 안전경영 사례 등을 공유하여 교육수료자가 해양안전 리더로서 선도적으로 안전경영을 해나가도록 유도하고 안전문화를 정착시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사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과 교육대상자의 교육만족도는 향후 교육 프로그램의 개선, 발전을 위해 중요한 사항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안전리더 교육 프로그램의 만족도를 조사하여 분석함으로써 교육과정 개선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relation between student factors and achievements in computing education for computer science non-majors (컴퓨터 비전공자 컴퓨팅 교육에서 학습자 특성과 학업성취 관련 연구)

  • Kim, Minja;Kim, Hyeoncheol
    • Proceedings of The KACE
    • /
    • 2017.08a
    • /
    • pp.235-239
    • /
    • 2017
  • 학습자는 교육의 3요소인 교육자, 학습자, 교육내용의 하나로 학습자 특성과 이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컴퓨터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하는 컴퓨팅 교육이 점점 활발해지고 있다. 비전공자 컴퓨팅 교육이라는 맥락에서 학습자 특성과 학업성취의 관계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비전공자 컴퓨팅 교육에서 학습자 특성과 학업성취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실행되었다. 학습자 특성을 이전경험/사전지식, 인지적 요인, 심리적 요인의 3가지로 분류하였고, 연구대상을 3그룹으로 설정, 다양한 하위 요소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대상 1의 경우 학습스타일(순차적: 부적상관, 통합적: 정적상관), 대상 2는 자기 효능감(사후), 대상 3은 수학 사전지식, 컴퓨팅과 전공의 연계성 인식, 정보적 사고에 대한 인식이 학업성취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하지만 상관성이 모두 0.5이하로 크지 않고, 자기 효능감과 전공 연계성 인식의 경우 대상에 따라 결과가 상이하였다. 향후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변수에 대한 연구와 상관관계가 밝혀진 변수만을 대상으로 인과성을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현상학적 관점으로 학습자 특성을 고찰할 필요가 있다.

  • PDF

An Analysis on Research Trend in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생태유아교육 연구동향 분석 -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 Son, Eun-K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7
    • /
    • pp.566-57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viewing trends in eco-childhood education. Analyte is analyzed, such as from 10 March 2008 and 2015 annual target of 97 pieces of thesis until March trends, research content, research methods. As a result, first, the ecological childhood education subjects infant destination, Teachers, took place in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s subject, parent targeted net was a study of the most frequent targets 5 years of single age, 4 years old, 3 years old, It was a three-order. Second, the research method consisted of the most experimental studies. Third, research topics include ecology toddler exploring related variables of education, ecological infant was the most common educational programs academic and theoretical basis for the direction sought, ecological Early Childhood Curriculum understanding and national levels of the education process, linking childcare courses, ecology teacher education the program was in order. Fourth, training in experiential learning is the most common forest garden gardening had appeared, walking activities, ecology, art, spirituality, work, raise animals and plants, environmental education in order.

Curriculum Article's Analysis and Prospection: Focus on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커리큘럼 논문 분석 및 전망 : 기독교교육논총을 중심으로)

  • Lee, Wonil
    •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 /
    • v.66
    • /
    • pp.49-74
    • /
    • 2021
  • This article is to an curriculum area's academic retrospection and hoping future of KSCRE through analyzing of the article in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The methodology for analyzing the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s the historical perspectives which are divided into the period of beginning(1996-2010), the period of growth(2011-2015), the period of maturity(2016-2020). Three periods are categorized into curriculum theory, educational learner, educational context. The number of articles in three periods are eight article(25.8%), thirteen article(41.93%), ten article(32.26%). And seven article in curriculum theory, five article in educational learner, nineteen article in education context. Articles of curriculum theory have a tendency into the reconceptualization as the five articles of seven articles. This tendency will maintains in the future of the Christian curriculum by the nature of Christian education as interdisciplinary including theology. Educational learners in the study of Christian curriculum are female, laity, infant, parent which have not any tendency but variety of educational learners. Educational contexts have one article to the home, four articles to the church, fourteen article to the schools including theological schools. For the development of christian curriculum the christian curriculum is studied in balance of educational contexts.

Difference between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Demand of Information Security Employees and Curriculum of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Center (교육기관 정보보호 담당자의 정보보호 교육수요와 정보보호 교육센터의 교육과정과의 차이)

  • Kang, Mi-Hwa;Jun, Hyo-Jung;Kim, Tae-Sung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16 no.3
    • /
    • pp.179-190
    • /
    • 2014
  • Because personal information files held by educational institutions include sensitive information such as personal school affairs information or health information, damages resulted from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expected to be serious. In order to respond to this problem,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expanded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targeting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officers in educational institutions. However, a number of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cases of public institutions occurred at educational institutions. Thus, this study, targeting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centers, through an empirical research, tries to confirm whether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supply is being properly provided for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officers in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suggest the appropriate balance between education supply and education demand as the implication for the educational direction of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cen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