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n Research Trend in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생태유아교육 연구동향 분석 -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 손은경 (중부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6.05.04
  • Accepted : 2016.06.20
  • Published : 2016.07.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viewing trends in eco-childhood education. Analyte is analyzed, such as from 10 March 2008 and 2015 annual target of 97 pieces of thesis until March trends, research content, research methods. As a result, first, the ecological childhood education subjects infant destination, Teachers, took place in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s subject, parent targeted net was a study of the most frequent targets 5 years of single age, 4 years old, 3 years old, It was a three-order. Second, the research method consisted of the most experimental studies. Third, research topics include ecology toddler exploring related variables of education, ecological infant was the most common educational programs academic and theoretical basis for the direction sought, ecological Early Childhood Curriculum understanding and national levels of the education process, linking childcare courses, ecology teacher education the program was in order. Fourth, training in experiential learning is the most common forest garden gardening had appeared, walking activities, ecology, art, spirituality, work, raise animals and plants, environmental education in order.

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유아교육의 연구동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분석대상은 2008년 3월부터 2015년 10월까지의 학위논문 총 97편을 대상으로 연도별 동향, 연구내용, 연구방법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생태유아교육 연구대상은 유아대상, 교사대상, 실내외 환경 대상, 부모대상 순으로 이루어졌으며 단일연령 중 만 5세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만4세, 만3세, 만2세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방법으로는 실험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조사연구, 문헌연구, 문화 기술적 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내용으로는 생태유아교육의 관련변인 모색,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이 가장 많았으며 학문적, 이론적 기초방향모색, 생태유아교육과정의 이해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보육과정의 연계, 생태교사교육 프로그램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육내용으로는 숲 체험학습이 가장 많았으며 텃밭 가꾸기, 산책활동, 생태미술, 영성활동, 동 식물 기르기, 환경교육 순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13.
  2. 김영욱, 동아시아 한문교육 국제학술대회 - 한자 문화권과 한문교육, "중국에서의 한자교육 현황 - 교과서에 나타난 한자 교수, 학습 방법을 중심으로," 한문교육연구, 제21권, pp.77-103, 2003.
  3. 김주영, 초등학생 생태놀이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효과, 한국 교원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4. 김은주, 생태유아교육의 사상체계 및 실천원리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5. 김은주, 생태유아교육의 교육원리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제24권, 제5호, pp.167-186, 2004.
  6. 김성옥, 생태중심 유아교육에 대한 교수.원장 및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7. 김형미, 백효영, 나은숙, "생태유아교육 연구 동향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제9권, 제1호, pp.91-117, 2009.
  8. 남효창, "체험환경교육을 위한 방향 모색," 한국산림휴양학회지, 제8권, 제2호, pp.17-25, 2004.
  9. 민광순, 생태유아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원장.교사 및 학부모의 인식과 요구도에 관한 연구, 카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5.
  10. 민정아, 한국 생태유아교육의 연구 동향, 한국교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1. 문순홍, 생태교육철학, 서울: 아르케, 2006.
  12. 유혜령, 유아의 역할 놀이에 나타난 모방과 창조의 미학, 유아교육연구, 제 24권 3호, 2004.
  13. 윤진주, "그림책 관련 논문의 경향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2호, pp.47-66, 2007.
  14. 이미영, 성소영, "생태유아교육에 관한 실태 및 교사의인식," 유아교육연구, 제20권, 제2호, pp.147-170, 2011.
  15. 이일주, 장인영, "유아교육연구에서 생태교육 관련 용어 통일을 위한 기초 연구: 연구 동향 분석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7권, 제6호, pp.301-321, 2012.
  16. 이항명, "프뢰벨의 자연교육에 대한 기독교 생태 교육적 고찰," 한국 기독교신학논총, 제30집, pp.449-471, 2003.
  17. 임재택, "아이들의 삶과 생태유아교육,"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02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5-32. 12월 7일, 부산; 부산대학교 본관 대회의실, 2002.
  18. 양서원, 생태유아교육개론 [제3판], 서울, 2011.
  19. 임재택, 김은주, "생태유아교육의 형성배경 및 개념 적 특성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제8권, 제3호, pp.137-158, 2003.
  20. 임재택, 김은주, "생태유아교육의 과제와 전망에 관한 탐색 연구," 유아교육연구, 제27권, 제1호, pp.381-404, 2007.
  21. 임재택, 김은주, 하정연, 권미량, 조채영,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 운영, 서울: 공동체, 2006.
  22. 장미연, 임재택, "생태유아교육 내용에 대한 뇌과학적 고찰," 생태유아교육연구, 제9권, 제3호, pp.81-108, 2010.
  23. 장희익, "자연.인간.교육" 어린이와 자연," 어린이육영회 창립 20주년 기념 유아교육학술대회 자료집, pp.1-12, 2001.
  24. 조용개, 생태학적위기극복을위한환경교육체계화 방안 연구, 환경윤리교육의 모형정립을 중심으로,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1.
  25. 지옥정, 프로젝트 접근법을 활용한 유아기 자연친화교육, 서울: 창지사, 2007.
  26. 최미연, 생태학적 유아교육의 기본프레임 워크 탐색,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27. 최양미, "생태유아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의 접근 방안 모색,"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권, 제1호, pp.103-118, 2002.
  28. 하정연,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문화 기술적 연구 : 부산대학교 부설 어린이집을 사례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4.
  29. 하정연, 이연주, 월별로 살펴보는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 서울: 공동체, 2009.
  30.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학의 이해, 서울: 양서원, 2005.
  31. 현온강, 유아환경교육 : 활동프로그램, 동문사, 2002.
  32. 홍은주, 자연환경 구성활동의 교육적 의미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33. 황지애, 생태유아교육 연구동향 분석,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34. 강선우, 생태주의적 환경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5. 황해익, 아동연구방법 (제2판), 경기: 정민사, 2011.
  36. L. Bower, Why teach enviroment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very Child, 4, pp.16-17, 1998.
  37. K. M. kemple and C. A. Johnson, "From the insidew out; Nurturing aesthetic response to nature in the primary grades," Childhood Education, Vol.78, No.4, 210-218, 2002. https://doi.org/10.1080/00094056.2002.10522183
  38. koysasu Michico, 슈타이너 학교의 참교육이야기(임영희, 이연현 역), 서울 ; 밝은누리, 1996.
  39. D. Tilbury, The critical learning years for enviromental education. In R. A. Wilson (Ed.), Enviromental education at the early childhood level(pp.11-13), Washington, DC; North American Associaition for Enviromental education,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