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수.학습모형

검색결과 827건 처리시간 0.023초

수학영재를 위한 STEAM교육 방안 마련을 위한 델파이 조사 (Delphi Study about Mathematics Gifted Education Based on STEAM Education)

  • 백희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4호
    • /
    • pp.867-888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교육, STEAM 교육, 영재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설문 조사를 통해 수학영재를 위한 STEAM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총 3차에 걸쳐 이루어진 조사 결과 수학영재들에게 필요한 STEAM교육은 융합적 사고와 창의적 사고를 가지고 새로운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데 있어 자기주도적인 탐구를 통하여 다양한 사람들과 의사소통할 수 있는 전인적인 역량을 함양하는 교육이라고 개념화 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수학영재를 위한 STEAM교육의 목표와 방법, 내용, 평가 등에 대한 전문가들의 합의를 도출하였으며, 이에 기초한 후속연구로 수학영재를 위한 STEAM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 PDF

조리 실기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의사 소통 모형 개발 - 구성주의 관점에서 - (The Development of a Communication Model for Teaching-Learning in Culinary Practical Education - A Constructivism Point of View -)

  • 김태형;나정기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4-26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mmunication model of teaching-learning at culinary practical learning class in school. Statistically,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culinary schools was influenced by the nature of hierarchical culture, task outcomes, and the conservative culture of organizations in companies. First, in basic skill clas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re based on a teacher who leads students according to his plans and decisions. Second, in a higher skill cours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re based on students who take an active part by injecting some fresh ideas into their class. Third, the model of three courses for culinary skill development has an effect on processing into a modeling-scaffolding-fading method by teaching and learning in school. It was ascertained that organizational culture directly or indirectly influence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organizational culture in culinary schools. Moreover, it was found that organizational culture was the biggest influencing concept for communication effectivenes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 PDF

중학교 수학 ① 스토리텔링 모델교과서 개발 및 적용 연구 (Developing and Applying a Model Textbook based on Storytelling for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Course ①)

  • 이재학;도종훈;박윤범;박혜숙;신준국;김정자;허선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7권3호
    • /
    • pp.301-31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수학 (1) 수업에 적용 가능한 스토리텔링 모델교과서의 예시 단원을 개발한다. 그리고 개발된 스토리텔링 모델교과서를 활용한 실험 수업을 실시하고, 수업 지도 교사와의 면담 및 학생들에 대한 설문 조사를 통해 스토리텔링 모델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에서 드러나는 어려움 및 장점 등을 분석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스토리텔링 적용 교수학습 모형이나 방안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현재 상황에서 향후 이와 관련된 보다 다양하고 심층적인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서 그 의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고등학교 정보보안단원의 체험형 스마트교육 콘텐츠 적용 수업이 정보통신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n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s of Experience Type Smart Learning Contents Application for High School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 서현정;김성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81-89
    • /
    • 2016
  • 사회적 기술적 환경이 급변함에 따라 수동적인 지식습득자였던 학습자는 주어진 정보를 단순히 기억하고 재생하는 차원을 넘어 실생활의 현상을 비판적으로 파악하고 창의적인 문제해결력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는 새로운 형태의 교육목표 및 내용, 교육방법과 평가방법과 더불어 교육환경도 함께 요구됨을 의미한다. 변화된 교육패러다임에 부합하는 스마트교육에 대해 분석하고, 스마트교육모형에 의거 고등학교 정보윤리부분 '정보보호와 보안' 단원에 해당하는 교수-체험형 교육콘텐츠를 개발하여 수업에 적용해 봄으로써 스마트교육이 정보통신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수학과 ICT 활용 교육에서 스프레드시트를 활용한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eaching and Learning using Spreadsheet in ICT-applied Elementary School Math. Education)

  • 김정환;구정모;한병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325-339
    • /
    • 2009
  • ICT는 교육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강력한 도구라는 이유로 교육에서의 활용이 중시되어 왔다. 그 중 Excel은 뛰어난 수식 계산과 논리 판단 기능을 갖추고 있고 다양한 종류의 계산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수학과에서 그 가능성이 제시되어 왔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는 대부분 중 고등학교 수학과 통계단원에 중점을 두어 이루어 졌다. 그러나 함수의 사용이나 영어로 된 명령어는 초등학교에서 활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 Excel을 활용하여 수학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단순 계산보다는 문제해결을 위한 사고에 중점을 둔 문제해결수업모형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결과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엑셀을 이용하였을 때가 필기보다 문제를 해결하는 성공률이 더 높고, 문제해결 시간이 더 단축된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마이크로티칭에서 수학 예비교사들의 반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reflection in Microteaching)

  • 심상길;윤혜순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89-105
    • /
    • 2012
  • 본 연구는 마이크로티칭에서 수학 예비교사들의 반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예비교사들이 작성한 수업 분석 보고서 및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예비교사들은 마이크로티칭에서 중요한 내용의 반복과 요점 정리는 잘 시도되고 있으나 학습자의 다양한 반응을 요구하는 질문에서는 미흡하다고 반성하고 있다. 따라서 예비교사를 지도하는 교수자들은 예비교사들에게 열린 반응을 유도하는 수업 방법과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수업 모형과 예시를 제시하고, 예비교사들이 마이크로티칭을 통해 이를 경험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마이크로티칭을 처음 경험하는 예비교사들도 마이크로티칭을 통해 생각보다 많은 반성적 요소와 미래의 수업 개선에 대한 의지를 찾아볼 수 있었다. 따라서 수업에 대한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예비교사들에게 마이크로티칭과 이에 대한 반성의 기회를 가능한 많이 제공해야 한다.

환경 교수-학습 절차 모형 개발을 위한 환경교육의 현장 적용 지도 사례 분석 (The Analysis of Case Studies for developing model of Instructional procedure in Environmental Education)

  • 김경옥;정완호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1권2호
    • /
    • pp.40-53
    • /
    • 1998
  • Since 1970',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displayed a heightened consciousness concerning the Earth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 Education has became to be as survival strategies for the environment and human life. For developing the model of instructional procedure for educating environmental behaviors in environmental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objectives, characteristics, contents, instructional methods and instructional procedures of case studies that were awarded the first prize of the Contest of the Case Study in Korea that were had charged by KFTA.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ore objective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were focused on “formulating values and attitudes for the environment”, some objectives for “skills” need to investigate or solve the environmental issues were found, and some objectives for “environmental behaviors”. (2) the more conten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were focused on “environmental pollutions” (3) the more instructional method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used for “investigating or experiment” to solve the environmental issues or problems, some methods for “taking actions for the environment”. (4) the most of case studies were used the model of environmental instruction that were developed by KEDI in 1988. Conclusionally, This study suggested that you have to emphasis on level of responsible citizen behaviors to resolve the environmental issues or problems in the environmental instructional procedures.

  • PDF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모형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the Key Competencies Education in the University)

  • 이은화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4권6호
    • /
    • pp.763-780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teaching & learning model to increase the key competencies in the university. For this, the researcher suggested the draft of teaching & learning model in the university based on literature analysis and survey for key competencies education to professors and students. After that, the draft of the model was revised through the formative test by experts. And then, the revised model was verified through delphi survey and a final model was fixed. As the result of this study, features of the final model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dentified that a core values of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the key competencies education in the university is reinforcement of learner's thinking skills and enhancement of field oriented on learning contents and reinforcement of professor's role as a mentor, a facilitator, a motivator, and an informant. Second, The core learning activity's proces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the key competencies education in the university consists of the following in order: team-building, exploring problem, gathering and analysing informations, arranging of leaning outcomes, comprehensive arrangement and self-examination.

창의.인성 중심의 과학영재교육 방안 마련을 위한 델파이 조사 (Delphi Study about Science Gifted Education based on Creativity and Character)

  • 최규리
    • 영재교육연구
    • /
    • 제22권2호
    • /
    • pp.387-410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교육, 창의 인성 교육, 영재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설문조사를 통해 창의 인성 중심의 과학영재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총 3차에 걸쳐 이루어진 조사 결과 과학영재들에게 필요한 창의 인성 교육은 창의성을 중심으로 인성이 융합된 형태로서 새로운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데 있어 다양한 사람들과 의사소통할 수 있는 조화로운 인성 함양의 교육이라 개념화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과학영재교육의 목표와 방법, 내용, 평가 등에 대한 전문가들의 합의를 도출하였으며, 이에 기초한 후속연구로 창의 인성 중심의 과학영재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네일미용 교육을 위한 플립러닝(flipped learning) 수업모형 개발 (Development of flipped learning class model for nail beauty education)

  • 설현진
    • 복식문화연구
    • /
    • 제30권3호
    • /
    • pp.444-454
    • /
    • 2022
  • Flipped learning research has been applied in various educational fields since 2015 and the educational effects have been discussed in previous literature. In the beauty field, flipped learning research is insufficient;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to find research on flipped learning specifically concerning nail beauty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odel for applying flipped learning to nail beauty education which should involve practical training based on theory. Such an approach is considered effectiv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cusing on previous studies with flipped learning applied as a research method. The subject of the research is "Nail Color Design 1", a common nail major elective subject at J college. The "Nail Color Design 1" course is a practice-oriented course in the form of theory and practical classes. Consequently, the flipped learning education model for nail beauty was designed by reflecting learners' needs through the ADDIE instructional design model. It was applied based on the education structure of the Pre-class, In-class, and Post-class of the PARTNER instructional learning model. This study deviates from the traditional practical education model, and has educational significance as a practical model in which flipped learning is applied to nail beauty subjects and self-reflection is derived through project prac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