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수 실제

Search Result 907,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n Application and Analysis of the OR Tree-Type Teaching-Learning Model to Enhance the Thinking Ability of Information-Gifted (정보영재의 사고력 신장을 위한 OR 트리형 교수-학습 모형의 적용 방안 및 분석)

  • Jung, Deok-Gil;Kim, Byung-Joe;Lho, Young-Uh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496-499
    • /
    • 2008
  • 현재 정보영재 교육에서 중요성이 증대되는 사고력 신장 교육에 적합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정보영재의 교육과정에 실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한다. 정보영재 사고력 신장을 위한 영역별 교육 내용에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문제들을 분석하여 사고력 신장에 적합한 교육 프로그램 모형으로서 OR 트리에 기반을 둔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한다. 이 논문에서 제시된 OR 트리형 교수-학습 모형을 정보영재의 현장 지도에 도입하기 위하여 8-puzzle 문제를 예로 들어 적용 방안을 제시하며, 적용 결과를 분석하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OR 트리형 교수-학습 모형에서는 정보영재의 사고력 신장을 위한 교육 과정에서 주요 내용이 되는 backtracking과 heuristic 개념을 배우며 트리의 탐색 방법들을 익히게 된다.

  • PDF

An Application and Analysis of the AND Tree-Type Teaching-Learning Model to Enhance the Thinking Ability of Information-Gifted (정보영재의 사고력 신장을 위한 AND 트리형 교수-학습 모형의 적용 방안 및 분석)

  • Jung, Deok-Gil;Kim, Byung-Joe;Lho, Young-Uh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487-490
    • /
    • 2008
  • 우리나라의 영재교육에 관한 많은 관심과 중요성에 비추어 볼 때 정보영재 교육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정보영재 교육에서 중요성이 증대되는 사고력 신장 교육에 적합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사고력 신장에 적합한 교육 프로그램 모형으로서 AND 트리에 기반을 둔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한다. 이 논문에서 제시된 AND 트리형 교수-학습 모형을 정보영재의 현장 지도에 도입하기 위한 적용 방안을 제시하며, 그 적용 결과를 분석하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이 논문은 사고력 신장을 위한 정보영재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구체적인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하고 분석하는 방안을 제시하여 영재 교육의 현장에 사용할 수 있는 실제적이고 유효한 교수-학습 모형을 제공한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PDF

A Study and Development of instruction-Seaming planning document with ICT on Nation Language Art in University of Education (교육대학에서 국어과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 연구)

  • Im, Cheon-Taek;Joo, Kang-Sik;Lee, Jae-Mu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1a
    • /
    • pp.458-467
    • /
    • 2004
  • 본 연구 개발은 초등학교 예비 교사에게 국어과 ICT 교수 학습에 대한 이해와 과정안 개발 및 수업에서의 활용 능력을 길러주고, 아울러 향후 ICT를 활용한 국어과 교육을 교육과정에 반영할 경우 제기될 수 있는 문제점을 짚어보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 개발의 내용은 국어과 ICT 활용 교육 관련 문헌 및 자료 탐색, 자료 및 수업 운영 실태 분석, 국어과 국어과 6학년 1, 2학기 180차시에 대한 학습 내용 및 목표 분석과 국어과 6학년 1, 2학기 180차시에 대한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 ICT 교수 학습과정안 개발 결과물의 수정 검토 및 서버 탑재, ICT 교수 학습 과정 개발 과정의 교육과정 적용 방안 모색이다. 본 연구 개발을 위하여 2003년 2학기 강좌인 '국어과 교재 연구(2학점)'와 통합하여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을 추진하였다. 본 강좌에서는 과정안 개발에 필요한 모형 안내, 과정안 작성 방법 지도, ICT 활용 수업의 분석, 과정안 개발에 필요한 컴퓨터 소양 교육이 이루어졌으며 과정안의 개발은 학기 과제로 추진하였다. 본 연구 개발 과제의 수행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국어과 6학년 ICT 교수 학습 과정안 180차시와 연구 보고서 1종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 개발의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교사에게 국어과 ICT 교수 학습 모형 및 과정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교수 학습 과정안의 작성 능력을 길러주었다. 둘째, 연구 보고서에 제시된 국어과 ICT 자료 개발 및 활용 실태, 예비 교사의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을 위한 강의 계획과 개발을 위한 실제 지도 과정은 향후 관련 강의나 연구를 설계하고 교육과정을 마련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셋째, 예비 교사들이 개발한 자료는 현장 교사들이 국어과 수업을 운용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 개발 결과 드러난 문제점과 보다 나은 연구와 강의를 지향하기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교사의 특성과 개발 내용에 비추어 볼 때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 기간이 짧았다. 따라서 강의 시수를 늘리는 방안, 관련 강좌를 추가로 개설하는 방안, 기존 강좌를 통합하여 운영하는 방안을 고려해 보아야 한다. 둘째, 예비 교사의 수준을 고려할 때 여러 가지 '부가 자료'를 포함하는 ICT 교수 학습 과정안을 1인 1차시씩 개발하도록 하는 것은 학생들에게 상당한 부담을 안겨 주었다. 대안으로는 개발 관련 강자를 1년 단위로 계획하여 운용하는 방법, 학생 4-5명 당 1차시씩 개발하도록 하는 방법, ICT 교수 학습 과정안 자체만 개발하고 학습지, 교사연구자료, 자율학습 자료 등은 생략하는 방법 등이 있다. 셋째, 학생들의 컴퓨터 소양 기능이 부족한 상태에서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을 과제로 부과할 경우 좋은 결과물을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현재 교육대학의 교육 과정 편성 체제를 감안하면 컴퓨터 강좌와 교과 교육 강좌를 통합 강좌 형태로 운영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만하다. 넷째, 교수 학습 모형의 경직성과 실제 교수 학습 변인을 고려한 활용이나 변형에 대한 탐구가 여전히 부족했다는 점이다. 앞으로는 이를 몇 가지의 모형 틀 속으로 자꾸 끓어 내려고 하는 것보다는 기존의 모형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도록 그 틀을 열어줄 필요가 있다.

  • PDF

A Study on the Analysis System for Determination of Separation of Liberal Arts Evaluation between Majors and Nonmajors (전공자와 비전공자 간의 교양과목 평가 분리 여부 결정을 위한 분석 시스템에 관한 연구)

  • Oh, DaSom;Choi, BoAh;Kim, Joo-Eun;Lee, JongHyu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10a
    • /
    • pp.129-132
    • /
    • 2019
  • 대학기관연구는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의사결정을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활동이다. 본 대학에서는 최근에 전공자와 비전공자 간의 교양과목 평가 분리에 대한 제도를 마련하였으나 이 결정을 교수자의 재량에 맡겨 놓아 근거 데이터 없이 교수자가 평가 분리 여부를 실제로 결정하기에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이전 학기의 성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통계 분석한 결과와 이에 대한 시각화를 제공하여 교수자가 조금 더 쉽게 평가 분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분석 시스템을 제안하고 실제 교양과목에 대한 분석 결과를 예시를 통해 보여준다.

An Investigation of Beginning and Experienced Teachers' PCK and Teaching Practices - Middle School Functions - (초임교사와 경력교사의 교수학적 내용지식과 수업실제 분석 - 중학교 함수단원 -)

  • Choi, Yoon-Hwa;Choi, Sang-Ho;Kim, Dong-Joong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17 no.2
    • /
    • pp.251-27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PCK before class, investigate how these characteristics are enacted in classrooms when beginning and experienced teachers teach mathematical functions, and provide pedagogical implications. Two beginning teachers and two experienced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In order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PCK before class, interviews and survey research were conducted. An investigation of classroom discourse was used to examine how the PCK characteristics appear in classrooms. Results show that experiences teachers enacted their PCK about learner, curriculum, teaching methods, and teaching environment in classrooms, whereas beginning teachers could not show their PCK. These results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s of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nd teacher training program.

  • PDF

Study of Teaching Strategies and Methods of Programming Education based on the Learning Style (학습 양식 기반의 프로그래밍 교수 전략과 방법 연구)

  • Choe, Hyun-Jong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5 no.1
    • /
    • pp.13-21
    • /
    • 2012
  • In this paper I present the teaching strategies and methods of programming education based on the learning style which teachers can apply it to their class on condition that learning style can classify their students' preferences about learning strategies and methods. Recent related researches that prove the differences about student's specific abilities based on their learning styles could never help teachers design and do their teaching of programming in the class. Therefore this study about teaching strategies and methods of programming education will be necessarily. I propose the teaching strategies and methods of programming education based on the learning styles as a results of questionnaire to some professors of computer science education in university. Then, I design and do programming education in the experimental class in order to verify the availability of the proposed teaching strategies and methods. After teaching in class, I evaluate the statistical results of students' achievement test of programming. This study has some restrictions about small number of class and periods of teaching programming, but it will be a good case study about teaching strategies and methods of programming education based on the learning style.

  • PDF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Lectures on the Practices of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Courses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of Two University in United States and Korea - Focussed on two professors' cases - (미국과 한국의 초등 교원 양성 과정에서 수학교육의 실제에 대한 수업 비교 연구 - 두 교수의 사례를 중심으로 -)

  • Seo, Dong-Yeop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14 no.3
    • /
    • pp.547-565
    • /
    • 2010
  • The study aims to compare between two lectures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United States and Korea based on the Ball et al.'s classification of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The lecturers are a professor of University in United States and me. In both lectures, subjects and contents of lectures are much similar but there are many different things. And the differences are mainly due to the area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especially either knowledge of content and students or knowledge of content and teaching. Also the different courses of both universities are one of important causes of the differences. The study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our course,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 PDF

이달의 과학자 - KAIST 소음 및 진동제어연구센터 이정권 교수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4 no.1 s.380
    • /
    • pp.22-23
    • /
    • 2001
  • 대전 KAIST 소음 및 진동제어 연구센터의 이정권 교수는 제반 음향이론 및 실험기법과 이에 대한 실제적용을 연구하는 중견과학자이다. 이교수는 음향학 중에서도 덕트 내의 음향전파, 차량의 소음 및 진동제어, 구조음향 및 이에 수반된 음장소음 및 진동제어를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 PDF

Elementary Teacher's Beliefs and Attitudes on Mathematics and Their Teaching Practices (초등 교사의 수학에 대한 신념과 수학수업의 관계)

  • An Keum Jo;Lee Kyeong Hwa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5 no.1
    • /
    • pp.121-142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lementary teacher's beliefs and attitudes about mathematics and how those reflect their teaching practices. For this goal : (1) Designing questionnaire to measure elementary teachers' beliefs and attitudes about mathematics (2) Inquiring into character of elementary teacher's beliefs and attitudes about mathematics after analyzing questionnaire (3) Analyzing two teachers' mathematics teaching practices to understand how teacher's beliefs and attitudes affect mathematics teaching practic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