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사 교육과정

검색결과 2,925건 처리시간 0.029초

특수교육대상학생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 및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 (A Study on the Operation of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erception of Special Class Teachers and Integrated Class Teachers)

  • 전혜인;정효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268-275
    • /
    • 2021
  • 특수교육 현장에서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은 특수교사 및 통합학급 교사들에게 주어지는 역할인데, 많은 교사들이 교육과정 운영에 어려움을 경험한다는 선행연구들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들의 교육과정 운영 경험 및 교육과정 운영의 어려움과 제안사항 등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통해 특수교육대상학생 교육과정 운영의 방향을 모색하고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적합한 지원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경력 15년 이상의 특수교사 및 통합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모든 면담은 일대일 심층면담으로 실시하였다. 모든 면담을 전사본으로 작성 후, 지속적 비교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 대주제 6가지와 하위주제 12가지가 도출되었으며 도출된 대주제와 하위 주제는 다음과 같다; 교사마다 다른 교육과정 운영, 교육과정 적용의 어려움, 부족한 지원체계, 전문적 자질 문제, 통합학급에서 더 어려운 특수교육 교육과정, 통학학급 교사의 매일의 고민. 논의에서는 특수교육대상학생 교육과정 운영의 방향과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적합한 지원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며 제언하였다.

초등예비교사의 교육과정에 관한 노티싱: 비율 수업을 중심으로 (Preservice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Curricular Noticing: Focusing on the Lesson Planning for Rate)

  • 조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4권2호
    • /
    • pp.83-102
    • /
    • 2021
  • 교육과정에 관한 노티싱은 교사가 교육과정 자료에 내재된 내용과 교수학적 기회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는지에 관한 것이다. 교육과정에 관한 노티싱에서 교육과정 자료의 어떤 측면에 관심을 기울이고 그것에 관해 어떻게 해석하는지에 따라 교육과정의 실행 모습이 달라지기 때문에, 예비교사교육에서는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해 교육과정에 관한 노티싱의 과정 중 관심을 기울이고 해석하는 과정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예비교사가 비율 수업을 설계하기 위하여 교육과정 자료를 활용할 때 관심을 기울이는 대상을 찾고, 그것에 관해 어떻게 해석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따른 논의를 통해 초등예비교사의 수업 설계 역량 신장을 위해 예비교사교육에서 교육과정에 관한 노티싱을 활용하는 방안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교사양성대학에서의 이산수학 교육과정

  • 이재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5권
    • /
    • pp.43-52
    • /
    • 2003
  • 교육과정은 그 시대에 적합한 요구들을 반영하여야 한다.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이산수학의 도입이 바로 정보화 시대의 반영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이산수학의 도입은 수학의 변화가 수학교육의 변화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새로운 내용의 교육과정 도입은 충분한 검증 절차의 부재로 인하여 부정적인 측면도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사양성 대학에서 이미 오래 전부터 개설되어진 해석학이나 대수학 같은 강좌와는 달리 이산수학의 강좌는 비교적 최근에 개설되어 졌으므로 대부분의 현장교사들은 이산수학 내용에 대한 지식이 거의 없다는데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바탕으로 우선, 교사양성 대학교육과정에서의 이산수학에 대한 충분한 연구와 우리 현실에 맞는 교재의 재구성이 요구되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7차교육과정을 고려하여, 교사양성 대학에 적합한 이산수학 강좌에 대한 구체적인 예들을 제시하여 사범대학 학생들로 하여금 이산수학을 제대로 이해하고, 아울러 이러한 연구가 현직 교사연수에도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

  • PDF

교사의 수업 계획 및 실제 수업에서의 수학 교과서와 교사용지도서 활용 연구 (How Teachers Use Mathematics Curriculum Materials in Planning and Implementing Mathematics Lessons)

  • 김구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3권3호
    • /
    • pp.485-500
    • /
    • 2011
  • 수학 교사가 수업을 계획하고 계획한 수업을 실행할 때 교육과정 도서(교과서, 교사용지도서 등)를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대하여 시행된 연구가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 논문은 미국의 초등 교사들이 초등 수학 교육과정의 프로그램 중의 하나인 Everyday Mathematics의 교육과정 도서를 어떻게 활용하는지, 또한 Everyday Mathematics가 가지는 교육과정 도서로써의 특징 요소들이 무엇인지 분석한다. 나아가 Stein & Kim(2009)의 연구에서 제안한 교육과정 도서를 규명하는 특징 요소들과 교사들의 교육과정 도서의 활용 간의 연관성을 추정한다. 수집된 자료는 미국 초등 교사의 수학수업 관찰노트와 관찰 전후에 실시한 인터뷰, 수업 시간에 사용한 모든 문서와 자료, 그리고 Everyday Mathematics의 교사용 지도서 등이다. 분석 결과, Everyday Mathematics는 높은 수준의 인지적 노력(cognitive demand)을 필요로 하는 수학과제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80 퍼센트), 교육과정 개발자들의 의도와 이유가 분명하게 드러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교사들은 교사용 지도서를 참조하여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하는데 있어서 지도서에서 제시한 문제나 활동을 변형하거나 부분적으로 선택하여 가르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Everyday Mathematics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인지적 노력 수준이 높은 수학 과제들의 27퍼센트만이 같은 수준에서 실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서에서 실행 단계로 이동할 때 수학과제의 인지적 노력 수준이 감소하는 것은 교사용 지도서가 높은 인지적 노력수준의 수학 과제를 교사가 같은 수준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제대로 지원해 주지못하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PDF

수학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의 이상과 현실

  • 김영국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4권
    • /
    • pp.453-468
    • /
    • 2001
  • 수학교육의 발전을 위해서 우수한 교사를 양성하고 재교육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 과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수학교육과의 수학교사 양성 교육의 현황을 점검하고 문제점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 사항을 논하였다. 1. 수학교육과의 교육과정을 토대로 해서 이상적인 수학교사를 정의하기 위한 준거를 찾아보았으며 이로부터 이상적인 수학교사의 조건을 논의하였다. 2. 수학교육과 교육과정의 운용 현황과 수학교사 양성 제도로부터 이상적인 수학교사의 양성을 저해하는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3. 이들 문제점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 수학교사 양성 교육에 대하여 몇 가지 사항을 제안하였다.

  • PDF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교사의 역할과 발현적 교육과정으로의 가능성 탐구 (The Role of Teachers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exploring the Possibilities as an Emergent Curriculum)

  • 김대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343-351
    • /
    • 2021
  •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의 교사의 역할을 탐색하고, 적합한 유아교사의 역할을 제시하고, 발현적 교육과정으로써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구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비해 2019 개정 누리과정의 교사의 역할은 지원자임을 명확히 하고 있었다.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의 교사의 역할 탐구를 통한 발현적 교육과정 가능성을 살펴보았을 때 교사가 유아의 근접발달지대를 적극 활용하여 구성주의적 실천을 할 필요성이 나타났다. 발현적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실천할 수 있는 교사의 역할은 비계설정을 활용하는 연구자 교사, 교육과정 운영에서 융통성 있는 교사, 자율성을 갖고 유아에 대한 믿음을 가진 교사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결론으로 첫째, 교사는 개별 유아, 다수의 유아에게 최적의 놀이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전문가가 되어야 한다. 둘째, 교사는 적합한 비계설정을 할 수 있도록 관찰과 기록을 성실히 수행하여야 한다. 셋째, 교사는 유아의 흥미를 지속시킬 수 있도록 끊임없이 발달에 적합한 발문을 수행하여야 한다. 넷째, 교사는 발현적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운영하여야 한다.

한국의 중등 정보·컴퓨터 교사양성 교육과정과 J07-CS 교육과정의 비교 (Comparison of Korean Informatics & Computer Teacher Training Curriculum and J07-CS Curriculum)

  • 안영희;김자미;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37-46
    • /
    • 2017
  • 2018년부터 중학교에서 필수로 실시되는 정보교육의 수준은 정보 컴퓨터 교사의 교과전문성에 의존한다. 본 연구는 중등 교사양성기관이 정보 컴퓨터 교사의 교과전문성을 담보하는 교육과정을 제공하고 있는지 분석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목적 달성을 위해 첫째, 한국 중등 교사양성기관의 정보 컴퓨터 교사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과목을 일본 정보학 분야 고등정보교육과정인 J07-CS의 내용체계를 기반으로 구성된 과목과 비교하였다. 둘째, 교육부에서 제시하는 기본이수과목과 비교하고 셋째, 각 대학의 기본이 수과목 개설 현황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중등 교사양성기관에서 개설되는 정보관련 과목 수는 J07-CS의 과목 수와 비교하여 부족하였다. 비교기준을 기본이수과목으로 한정해도 내용요소가 부족하였고, 교사양성기관별 기본이수과목의 개설 비율도 낮았다. 2018년부터 실시되는 정보교육의 목표를 원활이 달성하기 위해서는 중등 교사양성기관의 교육과정에 대한 개선이 시급하다.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적용에 대한 초·중학교 교사의 인식과 요구 (A Study o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Perception and Need for the Application of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 김현경;나지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03-11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적용에 대한 초 중학교 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는 데에 있다. 이에 초등학교 교사 468명과 중학교 교사 4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다수의 초 중학교 교사들은 학교 과학교육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들이 적용 가능하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것 같은 어려움으로 교사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응답은 각각 교수 학습 자료의 부족, 실험 준비 시간의 부족, 과학 교과 역량 함양 방법이나 내용 체계 활용 방법에 대한 이해 부족이었다.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을 적용할 때에 교수 학습 자료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 연수의 내용, 교사의 역할, 교사 공동체 형성에 대해 제안하였다.

새로운 교육과정 시행에 대한 중학교 과학 교사들의 인식 및 제안 (The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Understanding and Suggestion on Implementation of the New Science Curriculum)

  • 임재항;강순민;공영태;남정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11-321
    • /
    • 2004
  • 이 연구에서는 1차 설문을 통하여 새로운 교육과정 시행에 대한 중학교 과학 교사의 인식 및 준비도, 새로운 교육과정의 내용 구성(화학 영역을 중심으로)에 대한 인식 그리고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인식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그 결과 새로운 교육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 및 준비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많은 비율의 교사들이 새로운 교육과정 시행 자체에 대해 부정적이거나 부담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과정 개정 시의 교사 참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교사의 역할 또한 불분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1차 설문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한 2차 설문 및 인터뷰에서는 개정된 교육과정이 학교 현장에 전달되는 효율적인 방법, 교육과정 개정 참여시 교사의 역할 및 참여 방안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유아 컴퓨터 교사를 위한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The Design of the Educational Computing Course for Early Childhood Teacher)

  • 김영희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19-28
    • /
    • 2005
  • 본 연구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컴퓨터 활동을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하여 유아의 발달적 적합성과 유아교육과정 상에 컴퓨터 활동의 통합을 고려한 교사교육과정을 개발하고자 한다. 유아 컴퓨터 교육을 위한 교사교육과정의 개발 절차는 선행 연구들을 고찰하여 유아 컴퓨터 교육의 실태와 요구도를 파악하고, 유아 컴퓨터 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에 대한 연구 내용들을 토대로 일차적인 교육과정 시안을 구상하였다. 다음으로 대전지역 병설유치원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15명에게 내용타당도 검사를 거친 후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그리하여 유아컴퓨터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의 최상위 목표아래 4개의 하위목표를 설정하고 각 목표를 충족시키는 4개의 영역과 관련 교육내용을 최종적으로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직전교사교육과 현직교육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 교사들이 수업에 컴퓨터를 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향상시키는 데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