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9초

교사의 테크놀로지 교수 내용 지식 향상을 위한 TPACK-P 교육 프로그램 적용 (Application of TPACK-P Educational Program for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In-service Teachers')

  • 김성원;이영준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대회
    • /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7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17-220
    • /
    • 2017
  • 테크놀로지의 발전에 따라 교육에서도 테크놀로지를 도입하기 위한 움직임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교육에서는 테크놀로지를 학생들이 학습 과정에서 겪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하였다. 하지만, 교사들의 테크놀로지에 대한 전문성 부족으로 인하여, 교사들은 수업에 테크놀로지를 도입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테크놀로지를 기반으로 한 교사의 수업 전문성 발달을 위하여 테크놀로지 교수 내용 지식(TPACK)이 도입되었고, 교사의 TPACK 향상을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 최근에는 테크놀로지가 가진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새로운 테크놀로지 도구로써 프로그래밍이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선행 연구에서는 프로그래밍을 기반으로 TPACK 교육 프로그램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김성원과 이영준(2017)에서 개발한 TPACK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색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교사에게 적합한 40차시의 TPACK-P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연구를 위하여 모집한 17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또한, 교사의 TPACK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박기철과 강성주(2014)의 연구에서 개발한 검사 도구를 교육 프로그램 투입 전, 후에 실시하였다. 적용 결과, TPACK-P 교육프로그램을 통하여 교사의 TPACK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세부 영역에서는 Pedagogical Knowledge(PK), Technological Knowledge(TK), Technological Content Knowledge(TCK), Technological Pedagogical Knowledge(TPK),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TPACK)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하지만, Content Knowledge(CK)와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TPACK-P 교육 프로그램이 모든 영역은 아니지만, 테크놀로지와 관련된 지식과 교사의 TPACK 발달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TPACK-P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교사의 TPACK 변화를 검사 도구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TPACK-P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의 수업 전문성의 변화와 학교 현장에서 수업의 변화, 이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측정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 PDF

수학교사의 테크놀로지 교수 내용 지식(TPACK) 관점에서 본 수업 실제 분석 (Analysis of Teaching Practices of Mathematics Teachers from the Perspective of TPACK)

  • 이다희;황우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343-37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실제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을 실천하는 수학교사를 대상으로 TPACK 관점에서 인식의 특징을 비교 분석한 후, 그 인식이 실제 수업에 발현되는 부분 또는 인식 차이가 드러난 항목에 대해 근거를 밝힐 수 있는 부분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을 실천하고자 하는 교사들에게 그 방향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의도적 표본추출(purposeful sampling)을 사용하여 현직 수학교사 2명을 선정하였고, 교사의 일반적 배경, TPACK 인식에 대한 특징을 분석하고자 조사 연구와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TPACK 관점에서 수업 실제를 살펴보기 위해서 동영상과 수업 자료, 인터뷰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을 실천하는 두 교사는 TPACK 중에서 자신이 많이 보유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하위 지식을 중심으로 실제 수업 상황과 연결짓고 있었다. 또한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은 테크놀로지의 기능적인 역량만이 효율적인 수업을 이끄는 충분조건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은 수학 내용, 테크놀로지, 교수법을 단순하게 아는 것에서 더 나아가 경험에 기반을 둔 현장실천력이 중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을 실천하고자 하는 교사들에게 방법적 지침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 TPACK에 관한 연구나 교사연수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성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프로그래밍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램의 개선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the TPACK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Programming)

  • 김성원;이영준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대회
    • /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8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21-23
    • /
    • 2018
  • 테크놀로지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영역에 테크놀로지가 활용되고 있다. 교육에서도 효과적인 학습을 촉진하기 위하여 테크놀로지를 도입하고 있다. 하지만 테크놀로지에 대한 교사의 지식 부족으로 인하여 맹목적인 테크놀로지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TPACK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김성원과 이영준(2017)은 프로그래밍을 도입한 TPACK-P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TPACK-P 교육 프로그램은 예비 교사의 Technological Pedagogical Knowledge (TPK),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ACK) 발달에는 효과적이었지만, Technological Content Knowledge (TCK)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프로그래밍 기반 수업 사례 탐색 및 분석을 보완한 TPACK-P 교육 프로그램을 개선하였다. 개선한 TPACK-P 교육 프로그램이 예비 교사의 TPACK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K 대학에 다니고 있는 예비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개선한 TPACK-P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예비 교사의 TPACK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박기철과 강성주(2014)의 TPACK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실험을 통하여 TPACK-P 교육 프로그램은 예비 교사의 TPACK 향상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TPACK의 모든 세부 영역의 발달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단일 집단을 대상으로 개선한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조군을 설정하고, TPACK-P 교육 프로그램이 예비교사의 TPACK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여야 한다.

  • PDF

예비교사 테크놀로지 활용 역량의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Competencies related to the Use of Technology)

  • 조미헌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597-606
    • /
    • 2016
  • 본 연구는 TPCK 모델을 활용하여 초등 예비교사들의 테크놀로지 활용과 관련한 역량 실태를 분석하고, 중요도-실행도 분석을 통하여 테크놀로지 활용 교육에서 개선해야 할 사항들을 우선순위를 분류하여 제안하였다. C대학교 4학년에 재학중인 예비교사 1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도구를 사용하여 테크놀로지 지식(TK), 테크놀로지 교수지식(TPK), 테크놀로지 내용지식(TCK), 테크놀로지 교수 내용지식(TPCK)과 관련한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하여 예비교사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를 분석하고자 t검정을 실시한 결과, TK, TPK, TCK와 TPCK 각 역량 뿐 아니라 모든 17개의 세부 역량들에 대해 중요도와 실행도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중요도-실행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우선적으로 집중하여 개선해야 할 세부 역량 5가지, 좋은 성과를 보이기에 유지해야 할 세부 역량 4가지, 저순위를 두어야 할 세부 역량 5가지 그리고 과잉 노력을 지양해야 할 세부 역량 3가지를 제안하였다.

테크놀로지 통합을 위한 예비 중등수학교사교육: 현황과 과제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Technology Integrated Curriculum: The Present and Tasks)

  • 장경윤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7권1호
    • /
    • pp.137-156
    • /
    • 2017
  • 본 연구는 테크놀로지 활용 지원체계의 확대, 교사의 지식과 신념,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분석 틀의 문헌연구를 기초로 국내 수학교육과의 관련 교육의 현황과 현안, 발전 방향을 탐색하였다. 강좌개설 및 운영 자료는 설문조사와 강의계획서로 수집한 결과 강의는 수업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며 전체 학과의 1/3에 수학교육관련 ICT 강의가 개설되지 않았다. 테크놀로지 통합 예비 중등수학교사교육을 위하여 국가적으로 교육과정의 방향과 세부내용의 부조화, 소프트웨어와 교과서 등 지원 부족 문제 해결을 통한 교육현장 개선과 교사교육의 포괄적, 세부적 방향설정이 중요하며 무엇보다도 테크놀로지 활용 관련 비전의 공유가 필요하다.

예비 수학교사의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PACK) 신장을 위한 팀 프로젝트 효과 연구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eam Project to Improve TPACK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 임해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9권4호
    • /
    • pp.545-564
    • /
    • 2009
  •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PACK)은 1986년 Shulman이 제시한 내용교수지식(PCK)에 테크놀로지 지식이 통합된 새로운 지식 즉, 교사의 내용지식(CK), 교수학적 지식(PK), 테크놀로지 지식(TK)의 교집합에 해당하는 지식을 뜻한다. 본 연구에서는 2009년 1학기 서울시 소재 사범대학에서 팀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하는 테크놀로지 강의를 개설하고 설계, 분석하여 예비 수학교사의 TPACK 신장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강의 초 예비 수학교사들은 테크놀로지에 대해 낮은 자신감을 나타냈지만, 강의가 끝날 무렵의 테크놀로지 관련 수학교수효능감은 3.88부터 4.50사이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예비 수학교사들은 팀 프로젝트가 TPACK에 긍정적 또는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응답했는데, 이는 팀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하는 테크놀로지 강의가 예비 수학교사가 앞으로 교사가 되어 테크놀로지를 활용하는 수업을 설계할 때 필요한 지식과 자신감을 갖도록 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교사의 TPACK이 정보화 시대의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교육목표 달성을 위해 필수적인 지식이라 볼 때, 앞으로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테크놀로지 강의가 테크놀로지의 사용 방법과 단편적인 적용 사례를 전달하는 방식보다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을 계획하고 설계하는 방식으로 변화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 PDF

농촌 초등학교에서 디지털격차 해소를 위한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Equitable Access to Quality Technology Uses in a Low-Resourced Rural Elementary School)

  • 한승연;한인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224-23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 지역의 자원과 테크놀로지가 부족한 초등학교 1인 학급 환경에서 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이 학습의 향상에 어떤 도움을 주는지에 관한 질적 연구를 통해 수업 설계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 1인과 교사 1인이었으며 교사 및 학생 인터뷰와 교실 수업 관찰, 학생 일지 등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자원과 테크놀로지가 부족할 뿐 아니라 1인 학급 상황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기존 도구의 창의적 활용과 다양한 온라인 테크놀로지를 활용함으로써, 개별 학습자의 요구와 수준에 맞는 적응적 학습의 제공, 다른 지역 학생과의 협력학습, 교육과정의 재설계 등 학습향상을 위한 다양한 교수전략을 통해 디지털격차를 극복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원과 예산 부족, 학생 수 경감에 따른 농촌 지역 학교의 위기에서 새로운 대안과 효과적 학습경험 제공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예비유아교사들의 테크놀로지 활용의도 관련변인 간의 관계 규명 (An Investigation of the Predictability of Variables Related to Kindergarten Preservice Teachers' Technology Intention to Use)

  • 정애경;홍유나;강정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217-223
    • /
    • 2016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테크놀로지 활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테크놀로지에 대한 지각된 사용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테크노스트레스 변인들 간의 예측력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 교육을 받고 있는 64명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각된 사용 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테크노스트레스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유용성은 테크놀로지 활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테크노스트레스는 테크놀로지 활용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예비유아교사들이 테크놀로지를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고 테크노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도록 테크놀로지 사용에 관한 다양한 교육의 기회가 주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테크놀로지가 유아교육환경에서 유용한 교수학습매체로서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전략들이 개발되어져야 할 것이다.

ASSURE 모형에 기반한 수업설계 경험이 수학교사의 TPACK과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effect of designing instruction according to the ASSURE model to mathematics teacher's TPACK and teaching efficacy)

  • 임해미;최인선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2권2호
    • /
    • pp.179-202
    • /
    • 2012
  •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수업을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테크놀로지의 기능에 대한 지식과 더불어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을 어떻게 설계하고 실행하는지에 대한 지식과 긍정적인 교수효능감이 필요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사에게 테크놀로지 수업의 설계에 적합한 ASSURE 모형에 따라 수업을 설계해보도록 하고, 이러한 경험이 교사의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PACK)과 테크놀로지 수학교수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주는 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우선, 본 연구의 취지에 적합한 강의를 개설하여 교사들에게 두 차시분의 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해보도록 하였다. 1차시 수업은 테크놀로지에 대한 기능만 익힌 상태에서, 2차시 수업은 ASSURE 모형의 단계에 따라 설계하고 실행해보도록 하였다. ASSURE 모형의 단계에 따른 수업설계가 교사에 미치는 효과를 심도 있게 분석하기 위하여, 이 강의를 수강한 교사 중 한 명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ASSURE 모형에 기반한 수업설계 경험이 교사의 TPACK과 테크놀로지 수학교수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테크놀로지 강의 및 연수 프로그램이 테크놀로지 기능에 대한 지식 전달 중심에서 실제 수업을 설계해보는 방향을 변화될 때, 실제 학교 수업에 테크놀로지를 적용하는 사례도 많아지고 내용적인 면에서도 충실한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스마트 테크놀로지 활용 과학 수업 계획 시 발생하는 초등 예비교사의 질문과 수업과정안 분석 (Analysi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Questions and Lesson Plans in Planning Science Class Utilizing Smart Technology)

  • 나지연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0권2호
    • /
    • pp.162-174
    • /
    • 2021
  •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이 스마트 테크놀로지 활용 과학 수업을 계획할 때 발생하는 질문의 유형과 작성한 수업과정안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96명의 예비교사들이 작성한 수업과정안과 질문을 수집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들은 시뮬레이션 앱, 정보제공 앱, clicker 평가 앱, 천문관측 앱을 활용하였으며, 수업의 도입 단계에서는 시뮬레이션 앱과 clicker 평가 앱을, 전개 단계에서는 시뮬레이션 앱을, 정리 단계에서는 clicker 평가 앱을 가장 많이 활용하였다. 둘째, 스마트 테크놀로지를 사용하는 주체는 학생인 경우가 교사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수업의 전개 단계에서 그 특징이 더 두드러졌다. 셋째, 수업과정안에서 활용한 스마트 테크놀로지의 콘텐츠 유형은 체험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도구형, 자원형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상호작용지원형이나 학습기회확장형은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넷째, 예비 교사들이 작성한 과정안에는 학생들이 직접 실험이나 체험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대신 체험형 스마트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가상 체험으로 대체하는 경우가 다수 나타났다. 다섯째, 예비 초등 교사들은 스마트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과학 수업을 계획하면서 다양한 질문을 제기하였으며, 총 7개 범주 25개의 질문 유형이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