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사의 인식과 실제

검색결과 288건 처리시간 0.028초

교육용 웹사이트의 평가에 있어 교사와 학생의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Perception of Student versus Teacher in Evaluating of Educational Website)

  • 유종준;김영기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4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20-26
    • /
    • 2004
  •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인터넷에 대한 급증하면 학생들과 교사들의 교육용 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교육용 웹사이트를 평가함에 있어 학생과 교사간에 인지발달 수준이나 그 입장에 따라 여러 가지 차이가 있다고 본다. 교사나 전문가 입장에서 우수하다고 판단되는 교육용 웹사이트가 실제로 학생들에게도 우수하다고 인식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용 웹사이트를 평가함에 있어 교사와 학생의 인식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학생이 교육용 사이트를 평가하는 관점을 이해하고 교육용 웹사이트 설계 및 평가 시 보다 학생들의 관점을 고려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사서 교사의 역할 인식 분석 (An Analysis of Teacher Librarians' Role Recognition)

  • 송기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5-2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 교사의 역할 인식과 역할 수행을 저해하는 요인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19학년도 K 대학교 중등교원연수원 사서 교사 1급 자격연수에 참여한 4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다. 분석 결과 사서 교사의 기대 역할과 실행 역할 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서 교사는 교수자로서 정보활용교육을 지도하고, 교수 파트너로서 도서관 활용수업과 협동수업을 운영해야 한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가장 많이 수행하고 있는 역할은 독서교육과 도서관이용교육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서 교사는 그 원인을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부재와 학교도서관에 두는 전문 인력의 역할 모호성과 같은 제도적 한계로 인식하고 있다. 그리고 동료 교사의 사서 교사에 대한 인식과 파트너십 부족과 같은 현실적인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 사서 교사의 변인 중에서는 학력 수준이 높을수록 동료 교사가 본인을 교수 파트너로 여긴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사서 교사의 교수자, 교수 파트너의 역할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정보활용교육의 범교과 학습주제 포함, 직무 분석 실시, 장학 체계 확립, 동료장학 활성화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중국어 교사로서의 역량에 관한 중국어 교사의 인식 (A Study on Chinese Teacher's Perceptions of Professional Competence for Teaching Foreigners Chinese in China)

  • 이효휘;박창언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417-42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에게 중국어를 가르칠 수 있는 중국어 교사의 역량에 관한 현직 중국어 교사의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 산동성 Q시에 외국인에게 중국어를 가르치고 있는 중국어 교사들 5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중국어 교사로서의 역량에 대해 그 중요정도는 중국어 교사들이 비교적인 높은 평균값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실제 보유정도는 평균 점수가 비교적인 낮은 것으로 나타냈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외국인에게 중국어를 가르칠 수 있는 중국어 교사의 역량이 시식, 기술, 소양 3가지 요소로 여길 수 있다. 중국어 교사 역량을 높이기 위하여 중국 문화에 관한 지식, 교수-학습 방법과 기능, 다문화 적응, 교학 연구 등 측면에 편중하게 노력해야 할 필요가 있다. 앞으로 중국어 교사 양성 및 연수 프로그램에서 중국 문화에 대한 지식 학습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언어 교육의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학습을 중시해야 한다. 양호한 심리적 소양을 유지하면서 다문화 적응 능력도 향상시켜야 한다.

유아교사용 다문화 교육실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Development and Validity of Preschool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s Scale)

  • 유효순;이채호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81-96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 교육실제 척도를 타당화 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탐색적 요인분석을 위한 서울지역의 유아교육기관 20곳에서 표집된 교사 200명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위한 서울, 경기 지역의 유아교육기관 40곳에서 표집된 교사 310명이었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본 척도는 다양한 민족알기, 다문화 유아와 상호작용, 다양한 문화알기의 3개 하위요인으로 총 13문항으로 개발되었다.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교육 실제척도의 신뢰도(Cronbach's ${\alpha}$)는 .87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에 대한 신뢰도는'다양한 민족 알기' .82, '다문화 유아와의 상호작용' .82, '다양한 문화 알기' .74로 나타났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 인식척도 모델의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RMSEA=.08, SRMR=.06, NNFI=.90, CFI=.92으로 나타나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 교육실제 척도가 적합한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영어성경학습 교재 개발 및 적용: 예비 기독영어교사의 전공봉사학습 사례연구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nglish Bible Study Materials: A Case of Pre-Service Christian English Teachers' Service Learning)

  • 최윤희;이성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480-49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예비 기독영어교사들이 전공봉사학습의 일환으로 서울 소재 두 교회의 주일학교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발한 영어성경학습 교재를 실제 교육상황에 적용해 본 후, 예비 영어교사들의 교재개발 과정에 대한 인식과 주일학교 교사들의 교재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는 영어성경학습 교재 개발 과정이 단계별로 기술되어 있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위해 예비 영어교사들과 주일학교 교사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내용은 녹음하여 전사하였고 내용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 영어교사들의 영어성경학습 교재 개발 경험을 통한 전공봉사학습이 전공 전문성 향상은 물론 교회를 돕는 보람과 만족감을 갖게 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경학습 교재 내에서 성경교육과 영어교육 목표 사이의 균형을 이루는 것은 예비 영어교사들과 교재를 사용해 본 주일학교 교사들 모두에게 어려운 점으로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주일학교 교사들은 교재 내의 학습활동들의 연계가 자연스럽지 못한 점을 한계로 인식하였으나, 교재의 소재가 학생들의 실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점은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수학적 연결성 구현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과 실태 조사 (A Surve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mplementation of Mathematical Connections)

  • 김유경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601-620
    • /
    • 2013
  • 본 연구는 수학적 연결성 구현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과 실태를 살펴보고자 지역별 학교 수에 비례하여 층화 군집 표집을 실시하여 28개 학교, 567명의 교사들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업에서 구현할 수학적 연결성으로 사회적 연결성에 비해 지적 연결성에 대한 인식이 높았으며, 지적 연결성 하위 내용 중에는 실생활과의 연결에 대한 인식이 높았고 실제 수업에서도 가장 많이 구현한다고 응답하였다. 연결의 방법으로는 다양한 연결을 사용하였으나 추론, 학생들의 활동 결과 반영 등의 방법에 활용도가 낮았고 지원을 필요로 하는 자원으로는 실제 수업 사례에 대한 요구가 많았다. 이러한 교사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수업에서 수학적 연결성을 구현하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중등학교 과학 교사들의 탐구 과정의 활용 정도와 가설에 대한 인식 (The practical use of process skill and the perception about hypothesis by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 김지영;강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58-267
    • /
    • 2006
  • 중 고등학교 현장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7차 교육과정의 탐구 과정 요소의 활용 정도와 가설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사하였다. 조사 결과 교사들은 자료해석을 가장 많이 활용하였으며 다음으로 결론 도출을 많이 활용하였다. 가장 활용 빈도가 낮은 것은 가설 설정이었으며 다음으로는 자료 변환이었다. 이러한 결과와 더불어 교사들이 가장 활용하기 힘들다고 응답한 탐구 과정 요소는 가설 설정이었으며 자료 변환, 변인 통제가 그 뒤를 이었다. 가설 설정은 현장에서 활용 빈도가 가장 낮으며 교사들이 가장 활용하기 힘들어하는 탐구 과정 요소로 나타났다. 가설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결과 많은 교사들(63.1%)이 가설에 대해 바르게 진술하였으나, 구체적인 문제 상황에서 가설을 바르게 선택하는 교사의 비율(5.0%)은 매우 낮게 나타났다. 현장에서 가설 설정 수업의 가능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결과 90%이상의 교사들은 중학교 이상에서 가설 설정 수업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그러나 실제로 과학교사들은 가설 설정을 현장의 과학 수업에 활용하는 것을 어려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중등학교 현장에서 거의 활용되지 않고 있는 가설 설정 관련 수업이 가설에 대한 적절한 정의와 수업 전략이 주어진다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과학적 모델과 모델링에 대한 중등 과학 교사의 인식 탐색 (An Investigation into the Secondary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n Scientific Models and Modeling)

  • 조은진;김찬종;최승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859-877
    • /
    • 2017
  • 과학 교육의 궁극적 목표인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을 배양하는데 있어 이하 모델과 모델링이 차지하는 핵심적 역할을 고려할 때, 중등 과학 교사의 모델과 모델링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은 모델 기반 교수 학습을 실제 과학 수업에 적용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모델 기반 교수 학습이란 학생들이 자신의 모델을 생성(generating), 평가(evaluating), 수정(modifying)하는 모델링을 통해 과학적 내용 지식을 학습하고 나아가, 과학의 본성에 대한 바람직한 이해를 구축하도록 모델과 모델링 과정에 대하여 학습하는 것을 의미하며, 그러한 모델링 수업의 안내자로서 과학 교사는 모델과 모델링에 대하여 튼튼한 이해를 소유하여야 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현재 학교 현장에서 과학 교과를 가르치는 50명의 중등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10개의 개방형 문항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범주의 모델과 모델링에 대한 여러 측면의 인식, 첫째, 모델과 모델링에 대한 여러 측면의 이해, 즉 정의, 예시, 목적, 다양성, 변화성, 설계와 구성, 평가 기준, 둘째, 교수도구로서의 모델과 모델링 활용의 중요성과 교수 의사를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질적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대부분의 과학 교사들은 모델이 갖는 교수도구로서의 기능적 측면에 집중하여, '실제의 단순화된 표상'이라는 모델 개념을 소유하지만, 과학 내용 전달 측면의 효용에만 집중하기 때문에, 과학에 있어서 모델과 모델링의 역할을 파악하지 못 하고 있다. 둘째, 대부분의 과학 교사들은 하나의 자연 현상을 표상하기 위해 다양한 모델이 구성될 수 있다는 사실과, 그러한 모델의 변화 가능성에 대하여 비교적 잘 인식하고 있으나, 모델의 설계와 구성이나 평가 기준 측면의 이해는 수정을 필요로 하는 제한적 수준에 머물러 있다. 셋째, 많은 교사들이 모델과 모델링에 대하여 가르치는 것의 중요성을 인식하지만, 여러 교육 과정 상의 현실적 어려움과, 교사의 지식 부족을 토로하여 모델과 모델링의 실제 현장 적용에 대해 부정적 시각을 견지하는 교사들이 상당하였다. 넷째, 물리, 화학, 지구과학 전공 교사들에 비하여, 생물 전공 교사들은 전공 또는 과목 의존적 이해의 양상, 즉 생물교과에 자주 등장하는 기능적, 실물 모델에 국한된 모델 개념을 소유하였고, 그러한 관점은 교수도구로서 모델과 모델링을 활용하는 것에 대한 부정적 견해로 나타나, 모델에 대한 지식과 신념 사이의 상호관련성이 일견 탐지되었다. 본 연구에서 중등 과학 교사들이 모델과 모델링에 대하여 무엇을 알고, 어떻게 가르치는가에 대한 기존의 인식을 탐색하여 분석한 결과는 과학 교사의 모델과 모델링에 대한 이해의 제고를 위한 적극적인 개입에 대하여 큰 시사점을 갖는다.

중등 전자기 수업에서 사용하는 시각적 표상에 대한 교사 인식 및 활용 실태 (Secondary Science Teachers' Perception about and Actual Use of Visual Representations in the Teaching of Electromagnetism)

  • 윤혜경;조광희;조헌국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53-26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중등 전자기 수업에서 사용하는 시각적 표상의 역할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활용 실태를 조사하고 시각적 표상 활용과 관련해서 교사가 겪는 어려움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는 온라인 설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과학교사 121명이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교사들은 전자기 수업에서 시각적 표상 활용의 중요성에 대해 전반적으로 동의하였으나, 시각적 표상을 주로 과학 지식의 전달 도구로만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실제 수업에서 활용하는 방식은 주로 인터넷을 검색을 바탕으로 컴퓨터를 활용해 제시하는 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전자기 수업에서 널리 활용되는 세 가지 시각적 표상(검전기의 정전기 유도, 전류 주변의 자기장, 전동기의 구조와 원리)에 대해 활용 방식을 조사한 결과, 학생 중심 활용보다 교사 중심 활용이 두 배 가량 많았고, 시각적 표상의 '해석', '구성', '적용', '평가'와 관련해서는 '교사의 구성'이 가장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교사 중심의 시각적 표상 활용 실태는 시각적 표상의 역할에 대한 교사의 제한적 인식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주어진 세 가지 시각적 표상 활용과 관련된 교사의 어려움은 크게 '교사 자신', '학생', '표상 자체의 특성', '자료 부족이나 수업환경'에 기인한 것으로 범주화되었다. 시각적 표상의 연구와 개발에 있어서 이러한 요인들이 적극 고려되어야 하며 과학 수업에서 시각적 표상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시각적 표상의 역할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확장되도록 하고, 교사의 표상 활용 능력을 증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교사의 사전 주목하기와 수학수업에서 실제 주목하기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eacher's Pre-Noticing and Actual Noticing in Mathematics Classroom)

  • 이은정;이경화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8권4호
    • /
    • pp.773-791
    • /
    • 2016
  • 교사의 주목하기 능력은 교수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로 언급되어 오고 있다. 주목하기는 수업 중 이루어지는 교사의 순간적인 의사결정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으며, 다차원성과 동시성의 특징을 가진 수업 상황에서 교사는 능동적으로 환경을 만들고 상호작용하면서 주목하기를 실행한다. 수학 교사가 전문가로서 수업 상황에서 주목해야만 하는 중요한 측면 중의 하나는 학생의 수학 학습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학생들이 목표로 하는 수학적 지식을 학습하면서 보일 수 있는 전형적인 전략과 어려움 등을 예상하고 적절한 대응을 예측해보는 교사의 사전 주목하기 활동이 실제 수업에서 학생의 학습에 대한 교사의 주목하기에 어떻게 반영되어 드러나는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오개념이나 오류를 이해 형성의 기회로 활용하는 주목하기, 학생들의 사전지식에 기초하여 학습기회 창출을 시도하는 주목하기, 학생들의 불완전한 추론을 개선하기 위한 주목하기의 세 가지 형태로 교사의 주목하기가 실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전 주목하기 활동이 실제 수업에서 발생하는 교사 주목하기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과 학생들의 학습을 돕기 위해 교사들이 주목해야만 하는 측면들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강화시키기 위해 사전 주목하기 전략이 유용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