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사의 역할

검색결과 957건 처리시간 0.025초

예비보육교사의 실습 경험에 관한 과정 분석 (A Process Analysis on the Experiences of Preliminary Child Care Teachers in Child Care Practice)

  • 유병예;양성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95-119
    • /
    • 2013
  •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습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를 위해 질적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실습 전 예비보육교사는 자신이 이중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인식하였다. 실습지도교사와 불평등한 수직적 관계를 이루고, 아동에게는 교사와 친구의 중간자이며, 시설장은 중재자, 실습 동료는 동반자로 인식하였다. 둘째, 실습 중 예비보육교사는 삼중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실습지도교사는 보육인 양성가로서의 역할수행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보육교사는 실습지도교사와 상부상조적인 상호작용, 아동에게는 교사와 친구의 중간자, 시설장은 중요한 지지자, 실습동료와 불편한 경쟁자로서의 관계를 이루고 있다. 셋째, 실습 후 예비보육교사는 만족감과 아쉬움을 가지고 있었으며, 교육과정에서 이론과 실습의 균형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보육실습에 실습의 주체가 되는 예비보육교사 보육실습 요구를 파악함으로써 보육실습의 질 향상을 위한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사서교사가 인식하는 직무 역할과 역량 수준 분석 (An Analysis of Job Roles and Competency Levels Recognized by Teacher Librarians)

  • 박주현;강봉숙;임정훈;한상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193-221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교사의 직무별 중요도와 타 교원과 학생의 기대 직무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며 사서교사가 인식하는 직무 수행 역량의 정도를 파악하여 사서교사의 직무 인식에 대한 기초정보를 얻고 중점적으로 개선해야 할 사서교사의 직무를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임정훈 외(2021)가 선정한 25개의 직무를 수정한 뒤 사서교사 210명을 대상으로 사서교사 자신의 직무별 중요도, 타 교원과 학생의 기대 직무별 중요도 그리고 사서교사 자신의 수행 역량 인식 수준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사서교사는 '독서교육과 리터러시 교육'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으나 타 교원과 학생의 기대 직무로 '도서관 행사'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으며 '도서관 이용지도' 수행 역량이 가장 뛰어나다고 인식하였다. 그리고 중점적으로 사서교사의 역량 향상이 필요한 직무로는 '콘텐츠 큐레이션', '다른 교사의 도서관활용수업 지원', '디지털 기능과 기술 활용', '교수학습매체 제작', '정보의 접근과 공정이용', '교수설계 및 구현', '정보윤리와 저작권 교육', '미디어 정보 리터러시 교육', '협력수업'을 포함한 9개의 직무로 나타났다.

수학교육에서 인공지능(AI) 활용에 관한 예비수학교사의 인식 분석 (An Analysis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 on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AI) in Mathematics Education)

  • 신동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4권3호
    • /
    • pp.215-234
    • /
    • 2020
  • AI 시대의 함께 교육에서도 AI 활용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수학교사가 인식하는 미래 수학교육에서 AI의 필요성과 AI 활용에서 교사의 역할을 조명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교수 측면에서 예비교사들은 학교 수학에 AI 활용이 시대적 요구이며, 다양한 유형의 수업 구현과 정확한 지식 및 정보를 전달할 수 있지만, 인지적·감정적 상호작용에 한계가 있다고 하였다. 학습 측면에서 AI는 개별화 학습을 제공하고, 학교 수업 외 보충학습에 활용할 수 있고, 학습 흥미를 자극할 수 있지만, 학생들의 주체적 사고 능력을 저해할 수 있다고 하였다. 평가의 측면에서 AI는 객관적이고 공정하며 교사의 업무를 감소할 수 있지만 서·논술형 문항과 과정 중심 평가에서 한계가 있다고 하였다. AI 활용에서 예비교사들이 생각하는 교사의 역할은 수업, 감정적 상호작용, 비정형화된 평가, 상담이었고, AI의 역할은 개별화 학습, 기계적 학습, 정형화된 평가와 행정 업무로 나타났다.

학생중심성에 초점을 맞춘 교사 연수프로그램을 통한 과학교사들의 과학수업과 학습에 대한 신념 변화 연구 (Changes in Teachers' Beliefs of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Inservice Program Experiences Focusing on Student-Centeredness)

  • 신명경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53-62
    • /
    • 2004
  • 교사들이 과학 교수학습에 대한 새로운 신념을 형성하려면, 학생들에게 제공할 것과 유사한 교수학습 방법을 직접 경험할 필요가 있다. 지구과학 교사 20명을 포함한71명의 한국 중등 과학교사들이 미국 중부 아이오와 대학교에서 실시된4주간의 여름 연수 프로그램에 참가하였고, 학생중심 수업에 대한 여러 가지 수업 및 활동을 경험하였다. 아울러 교사들은 각자 학생 역할과 교사 역할을 맡아서 모의 수업을 진행함으로써 학생중심 수업을 실제로 체험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교사들에게 제공된 이러한 교사 재교육프로그램에서의 경험이 교사들의 과학 교수 학습에 대한 신념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이 된 신념은 구체적으로 과학학습의 목적, 교사와 학생의 역할 그리고 수업에 대한 것으로 총 7문항으로 제시되었다. 즉 교사들의 교사중심적인 교수, 학습에 대한 신념의 양상이 학생중심으로 옮겨갔다는 점이다. 물론 그 변화가 교사중심에서 완벽하게 학생중심으로 옮겨간 것을 의미하는 것이 라기보다 교사중심에서 탈피하거나 이에 반하는 쪽으로 변화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한편, 연수에서 경험한 협동학습이 참여 교사들의 긍정적인 방향으로의 신념변화를 초래한 주요 요인들 중의 하나였음을 보고한다.

교수-학습 지원을 위한 웹 에이전트(web agent)의 개발 (Developing the Web Agent for Supporting and Facilitating Teaching and Learning on the Web)

  • 강신천;한승록;박정환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87-94
    • /
    • 2003
  • 최근 에이전트를 교육에 활용하려는 연구와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에이전트는 컴퓨터가 사용자를 대신하여 주어진 일을 수행하는 대행자(proxy)나 중개자(middle ware) 역할을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칭하는 개념이다. 근래에 다양한 장르에서 에이전트가 활용되고 있으며 교수 학습 분야 역시 그러한 것 중에 하나에 해당된다. 웹 상에서 교사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엔진의 개념이 교수 학습을 지원하는 웹 에이전트이다. 웹 상에서 에이전트는 교사의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학습자를 도와 주는 도우미 역할을 수행한다. 웹 에이전트가 적용된 웹 기반 교수 학습 환경은 학습자나 교사에게 적응적이고 개별화된 환경을 제공한다.

  • PDF

1인 사서교사의 인적 네트워크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 Solo Teacher Librarian's Personal Networks)

  • 강재연;박지홍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15-239
    • /
    • 2022
  • 인적 네트워크는 지식공유의 중요한 창구로서 암묵적 지식을 비롯한 다양한 정보문제에 주요한 해결 수단이 될 수 있다. 특히 조직에서 1인으로 구성된 학교도서관의 사서교사(또는 사서)의 경우, 업무를 위한 인적 네트워크는 조직 내부 구성원보다는 동일 직무를 담당하는 조직 외부인과의 관계가 효과적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1인 사서교사의 업무 관련 인적 네트워크 특성을 탐색하고 이러한 네트워크 특성과 직무 만족 및 역할 모호성 해소와의 관계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울시 지역 내 사서교사 네트워크 협의회 1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설문데이터는 소셜네트워크분석(SNA: social network analysis)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서교사의 인적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협의회 내 대표 교 이력의 사서교사를 중심으로 업무 도움 관계가 활발하였으며, 저 경력의 초임 교사에게는 업무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대상이 적은 특징이 확인되었다. 또한 개인의 인적 네트워크 특성은 직무 만족과 역할 모호성 해소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1인 사서교사의 업무 관련 정보문제 해결을 위한 사서교사 간 협력 및 네트워크의 활성화 방안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초등 예비교사들의 수학교과에서의 평가에 대한 인식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on Assessment in Mathematics)

  • 고은성;박민선;이은정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8권1호
    • /
    • pp.61-83
    • /
    • 2016
  • 교육의 패러다임이 전환되면서 평가관행에서의 변화 또한 꾸준히 요구되어 오고 있다. 평가에 대한 교사의 올바른 인식은 평가의 질에 영향을 미치며 결과적으로 평가관행에서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의 수학교과에서의 평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평가의 목적과 역할, 평가 자료와 평가의 신뢰도 그리고 평가 방법과 전략에 대한 문항들을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95명의 초등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초등 예비교사들이 평가의 역할, 평가 자료, 평가 전략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잘 인식하고 있었으나, 평가의 목적과 평가의 신뢰도, 평가 방법에 대해서는 다소 제한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예비교사들의 평가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측면들에 대한 가능한 해석과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아동학대예방을 위한 보육교사의 역할 (Roles of Childcare Teachers toward Child Abuse Prevention)

  • 이은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8호
    • /
    • pp.81-91
    • /
    • 2016
  • 본 연구는 아동학대와 신고의무제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경험을 파악하기 위해,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 신고의무제도에 대한 법과 절차, 아동학대 발견과 신고에 대한 경험 등에 관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아동학대와 신고의무제도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은 매우 높게 나타났다. 특히 개정된 아동복지법과 아동 학대 특례법에 대한 이해수준도 높게 나타났다. 아동학대 발견시 신고해야 하는 규정과 절차 등 이론적 이해수준은 매우 높게 나타났는데, 아동학대와 관련된 지식은 대중매체와 아동학대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서 얻은 것으로 밝혀졌다. 아동학대와 관련된 인식은 보육교사의 연령, 어린이집 유형, 교사기간, 교육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 아동학대를 발견했을 때 신고한 경험은 매우 낮게 나타났다. 보육교사는 아동학대에 대한 높은 인식에 비해 낮은 신고인식을 가지고 있어서 실제 아동학대 예방에 기여하지 못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보육교사의 신고비율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사서교사의 직무소진 경험에 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Job Burnout of Teacher Librarian)

  • 노동조;김수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27-249
    • /
    • 2018
  • 본 연구는 사서교사에게 직무소진이 발생하는 요인 및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 도서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15명의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사서교사의 직무환경, 사서교사의 역할 및 정체성의 문제, 학교공동체 구성원들의 학교도서관 및 사서교사에 대한 인식 등이 직무소진의 영향 요인으로 밝혀졌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사서교사들에 대한 적절한 보상 체계의 마련, 사서와 사서교사간의 명확한 직무 구분, 학교공동체 구성원들의 사서교사에 대한 인식 전환을 위한 계기 및 제도적 장치의 마련, 사서교사의 자기계발 및 재충전의 기회 제공 등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