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사의 사회적지지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16초

보육교사의 우울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Depression on Burn-out: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 이한아;유영미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3
    • /
    • 2019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우울 및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보육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우울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지역의 보육교사 343명이었다. 자료분석을 위해 기술통계,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고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우울수준이 높을수록 소진을 더 경험하였으며, 직장 내 사회적 지지와 직장 외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소진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보육교사의 우울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직장 내와 직장 외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직장 외 사회적 지지에서만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보육교사의 소진에 대한 우울의 영향은 직장 외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은 교사에서는 상대적으로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나, 교사의 직장 외 사회적 지지가 우울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완충하는 역할을 함을 보여주었다.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수업몰입과 교사의 사회적지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of Teachers and Academic Engagement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 정주헌;송교원;이창훈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92-110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교사의 사회적지지를 통해 학생들의 수업몰입도를 높이며, 담임교사의 생활지도 및 전략적 학급경영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학생의 수업몰입 측정도구(21문항)와 교사의 사회적지지 측정도구(25문항)로 구성된 설문지를 통해 전국 5개 권역 11개교의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 99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수업몰입 수준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동몰입, 인지몰입에 비해 감정몰입 수준이 낮게 나타난 결과는 질적인 측면의 개선이 요구된다. 성별에 따른 수업몰입 수준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학년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인지몰입 요인과 감정몰입 요인에서 1학년 학생이 2, 3학년 학생 보다 몰입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평가적 지지와 도구적 지지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수업몰입 수준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학년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사회적지지는 보통 수준이며, 평가적지지, 도구적지지, 정보적지지, 정서적지지 순으로 학생들에게 제공되고 있었다. 셋째,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사회적지지가 학생의 수업몰입에 주는 정적인 영향과 높은 상관관계, 그 설명력 모두 높은 결과를 얻었다. 더욱이 수업몰입의 질적인 측면에 있어 교사의 정서적지지가 높은 상관도와 설명력을 보였다. 따라서 교사의 사회적지지는 학생의 수업몰입 수준 향상에 도움을 주고 학교생활에 대한 적응력과 만족감을 갖게 하여, 정서발달과 자아형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보육교사의 자기격려와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ducare Teachers' Self-encouragement and Social Support on Psychological Burnout)

  • 조상호;강대옥;김성철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1-6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격려와 사회적 지지가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는데 있고, 연구대상은 제주특별자치도에 위치한 어린이집 교사 329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자기격려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 심리적 소진 척도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의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른 자기격려, 사회적 지지, 심리적 소진의 차이를 살펴보면, 자기격려는 연령대에서, 사회적 지지는 연령대와 경력에서, 심리적 소진은 연령대 및 결혼유무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보육교사의 자기격려와 사회적 지지는 심리적 소진과 부적 상관을 나타내어, 자기격려와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심리적 소진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자기격려와 사회적 지지는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자기격려의 하위 요인 중에서는 인지적 자기격려와 정서적 자기격려가 심리적 소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의 하위 요인에서는 정서적 지지가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기격려는 사회적 지지보다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감소시키는 주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보육교사의 개인변인을 고려한 자기격려 및 사회적 지지 증진 전략과 심리적 소진 감소 방안과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의 효과적인 완화와 예방을 위한 자기교수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상담적 접근을 통해 보육교사들의 심리적 안녕감 증대와 심리적 부적응 등으로 인해 나타나는 복합적인 문제들에 대한 예방과 치료가 필요하다.

교사와 친구의 사회적 지지가 마이스터고 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from Teachers and Friends on Career Maturity of Technical Meister School Students)

  • 신경일;김서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420-431
    • /
    • 2016
  • 본 연구는 마이스터고 학생들의 진로성숙도에 대한 교사와 친구의 사회적 지지 및 그 하위요인별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P지역 소재 2개 마이스터고 3학년 남학생들로서 전원 기숙사생활을 하고 있었다. 측정도구는 사회적 지지는 김혜진(2006)이 수정 제작한 것이며, 진로성숙도는 이기학 (1997)이 개발한 검사지를 이용하였다. 검사지는 200부가 배부되었으며 최종분석에는 194부가 포함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상관관계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지각된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친구의 사회적 지지보다 높았으며 하위요인별로는 정보적, 평가적 지지는 교사가 더 많이 하고 정서적, 물질적 지지는 친구가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사회적 지지는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친구의 사회적 지지는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성숙도의 하위 요인 중 진로결정성과 진로확신성, 진로성숙도 총점에는 친구의 정서적 지지가 영향을 미쳤으며, 진로독립성에는 친구의 정보적 지지가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마이스터고 학생들의 진로상담 및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아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주는 영향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and Ego-resilience on the Burnout of Infant Teacher)

  • 한애희;안혜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460-466
    • /
    • 2017
  • 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제주시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영아교사 200명이었으며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와 소진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교사의 소진은 낮았으며 자아탄력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교사의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소진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아교사의 소진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사회적 지지보다는 자아탄력성이 더 많은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영아교사의 소진과 관련하여 영아교사 자신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영아교사의 소진을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증진 방안을 모색하는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교수효능감과 사회적지지, 행복감, 직무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 교사들을 중심으로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eacher Efficacy, Social Support, Job Satisfaction, Happiness - By Teachers' Perspectives)

  • 허무열;신혜경;전미란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7권1호
    • /
    • pp.53-67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비인지적 요인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사효능감과 관련된 사회적지지, 행복감, 직무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구글 온라인 설문을 제작하였고 교사연수에 참여하고 있는 전국의 초·중·고 교사들 249명의 자료를 기술통계분석과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SPSS 22.0 과 Amos 21.0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들의 사회적지지는 직무만족과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고, 직무만족이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지만, 사회적지지와 행복감은 교사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사회적지지가 직무만족을 통해 행복감으로 부분매개효과가 있으며, 사회적지지가 직무만족을 통해 교사효능감으로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변인 간 영향관계를 알아봄으로써 공교육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인 교사들의 교사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 마련의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 및 교사효능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Study of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ocial Support and Teacher Efficacy on Resilience)

  • 박영심;송화진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77-90
    • /
    • 2018
  •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 교사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사회적 지지, 교사효능감이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북지역 소재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282명이다. 자료분석은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Stepwise 방식에 의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및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 전체는 회복탄력성 하위요인 모두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교사효능감 전체는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 모두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사회적 지지, 교사효능감의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전체에 대해서는 개인적 교사효능감, 물질적 지지, 일반적 교사효능감이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교사들의 자기계발과 사회적 지지가 뒷받침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내재적 학습동기가 국어수행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Effect of Intrinsic Learning Motivation on Korean Language Performanc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김혜경;정은경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6권2호
    • /
    • pp.75-92
    • /
    • 2022
  • 내재적 학습동기와 사회적 지지가 아동 청소년의 적응과 학업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는 다수 존재한다. 그러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제 학업적 수행을 측정하여 내재적 학습동기와 사회적 지지의 영향을 살펴본 연구는 드문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에게 내재적 학습동기가 국어수행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지방 군단위 지역의 초등학교 5, 6학년 122명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내재적 학습동기와 가족 및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측정되고 약 5개월 후 국어시험이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국어수행은 내재적 학습동기, 사회적 지지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고, 학습동기화와 사회적 지지간에도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다. 통제변인을 넣고 분석한 회귀분석에서도 내재적 학습동기는 국어수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다중가산조절모델을 통해 가족 지지와 교사 지지로 나누어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학습동기화와 가족 지지의 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으나 교사 지지는 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지지의 수준에 따른 단순회귀선의 유의성 검증 결과 교사 지지가 높을 때는 학생의 학습동기 수준과 관계없이 국어수행이 높게 나타났으나 교사 지지가 낮은 수준일 때는 학생의 학습동기에 따라 가파른 기울기를 보이며 국어수행의 변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교사들이 지각한 사회적지지 및 직무만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eachers'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on Happiness)

  • 허무열;정은영;전미란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7권1호
    • /
    • pp.31-4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초·중·고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사의 배경요인에 따른 행복감 실태를 조사하고 교사의 행복감에 대한 사회적지지와 직무만족의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구글 온라인 설문을 활용하여 교사연수에 참여하고 있는 교사들 24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들의 행복감에 있어서 성별이나 경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초등학교 교사들이 고등학교 교사들보다 행복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지지와 직무만족의 모든 하위요인이 행복감의 내적행복, 외적행복, 자기조절행복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교사들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와 직무만족이 내적행복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교직의식, 자율성, 신뢰로운 동맹이 내적행복에 정적 영향을, 발전성, 신뢰로운 동맹, 조언, 교직의식이 외적몰입에, 사회적 소속, 자율성, 발전성, 혁신성이 자기조절행복에 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교사들의 행복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SNS를 통해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교사의 성인애착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Perceived through SNS on Teachers' Adult Attachment and Occupational Satisfaction)

  • 백유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466-475
    • /
    • 2015
  • 본 연구는 SNS를 통해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교사들의 성인애착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03부의 응답이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SNS를 통해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성인애착에서는 정서적지지, 정보적지지, 도구적지지가 애착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애착회피에서는 정서적 지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NS를 통해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정서적 지지와 정보적지지가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논의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