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사의 문화 다양성 역량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2초

문화 다양성 교육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역량 양상 탐색 (A Study on the Functional Aspects of Culture diversity Education in Middle Schools: Focus on the Teaching Experience of Y Middle School Teachers in China)

  • 장연연;김영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
    • 제18권4호
    • /
    • pp.201-223
    • /
    • 2018
  • 세계화 시대의 현 교육 현장에서 문화 다양성교육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중요성의 증대로 문화 다양성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심층 인터뷰 방법을 적용하여 중국 산둥성 Y 중학교에서 문화 다양성 교육을 담당하는 주체인 교사를 대상으로 문화 다양성 교육에 대한 지식, 이해와 태도, 수행하는 능력 등 그들의 경험과 학교 현장의 모습을 실제로 이해하고자 하였고, 나아가 올바른 문화 다양성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이론적 교수역량 차원에서는 '문화 다양성을 교수하는 구성적 지식', 성찰적 교수역량에서는 '문화 다양성을 수용하는 반성의 태도', 실천적 교수역량에서는 '문화 다양성을 실천하는 후행적 기능'이 라는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중학교 교사들의 문화 다양성 교육에 대해 비교적 잘 이해하고 있거나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이러한 인식은 근무지역, 교직경력, 문화 다양성 교육에 대한 교육경험 여부는 그들에게 별다른 영향력을 미치지 못했다. 또한, 문화 다양성 교육의 실천적 정도는 인식적 정도보다 상대적으로 낮았다. 그리고 많은 교사가 학교 현장에서 문화 다양성 교육을 실시하고 있지만 주로 교과지침서에서 제시한 학습활동 중심으로 문화 다양성 교육을 실시하고 있었다. 이 글에서는 이에 따른 한계점을 기술하고, 개선방법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다문화수학교사교육의 원리와 방법 (Principles and Methods of Multicultural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 송륜진;문종은;주미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2권4호
    • /
    • pp.639-665
    • /
    • 2010
  • 최근 국내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논의의 확산과 더불어 다원화된 사회에서 요구되는 공존을 위한 삶의 태도 함양과 교육적 기회 평등 보장을 위한 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교사 양성이 교사교육의 주요 과제로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 및 다문화수학교육 관련 이론, 그리고 다문화수학교사교육 사례 검토에 기초하여 다문화수학교사교육의 원리와 방법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본 논문에서는 다문화적 수학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정의적 영역', '인지적 영역', '행동적 영역'으로 범주화하였다. 이들 영역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내용적 요소로서 '문화성', '다양성', '평등성', '자기정체성', 그리고 지도원리로서 '반성', '참여', '실행'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다문화수학교사교육에 제공하는 시사점 논의를 통해 다문화적 역량을 갖춘 수학교사양성을 위한 초석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 PDF

중국어 교사로서의 역량에 관한 중국어 교사의 인식 (A Study on Chinese Teacher's Perceptions of Professional Competence for Teaching Foreigners Chinese in China)

  • 이효휘;박창언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417-42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에게 중국어를 가르칠 수 있는 중국어 교사의 역량에 관한 현직 중국어 교사의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 산동성 Q시에 외국인에게 중국어를 가르치고 있는 중국어 교사들 5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중국어 교사로서의 역량에 대해 그 중요정도는 중국어 교사들이 비교적인 높은 평균값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실제 보유정도는 평균 점수가 비교적인 낮은 것으로 나타냈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외국인에게 중국어를 가르칠 수 있는 중국어 교사의 역량이 시식, 기술, 소양 3가지 요소로 여길 수 있다. 중국어 교사 역량을 높이기 위하여 중국 문화에 관한 지식, 교수-학습 방법과 기능, 다문화 적응, 교학 연구 등 측면에 편중하게 노력해야 할 필요가 있다. 앞으로 중국어 교사 양성 및 연수 프로그램에서 중국 문화에 대한 지식 학습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언어 교육의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학습을 중시해야 한다. 양호한 심리적 소양을 유지하면서 다문화 적응 능력도 향상시켜야 한다.

세계시민교육 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교과 운영 효과 조사 연구: 예비음악교사의 다문화 교육태도 및 교수효능감을 중심으로 (The Analysis of Effects of a Music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 정주연;신지혜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20권1호
    • /
    • pp.47-74
    • /
    • 2023
  • 본 연구는 A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15명의 예비 음악 교사들을 대상으로 세계시민교육 역량 제고를 위한 강좌를 개발 및 실현하고, 그 효과성을 탐색하였다. 강좌는 세계시민교육의 여러 주제 중 다양성과 포용을 바탕으로 한 다문화 교육에 중점을 두고, 관련 이론 탐색을 통해 음악의 사회·문화적 산물로서의 본질을 이해하고, 참여자 주도로 중학생을 위한 수업 방안을 개발 및 실현하는 과정으로 구성되었다. 사전/사후 검사 결과 강좌 전후로 첫째, 예비음악교사들의 다문화 교육 태도가 향상되었고, 특별히 교사의 역할에 대한 태도가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본 연구의 강좌가 예비교사들로 하여금 다양성 및 다문화 교육과 관련한 인식과 편견을 반성하고 음악 교사로서의 역할을 고민하도록 도왔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둘째, 다문화 교수 효능감의 향상 중 다문화 상황에서의 교육 및 다문화 교육 교수 효능감 향상이 두드러졌는데, 이는 성찰지를 통해 본 강좌가 음악의 사회·문화적 산물로서와 상징적 표현 가능성의 가치를 깨닫도록 한 영향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강좌는 실질적인 삶의 문제들을 풀어나가는 변혁적 교수법의 필요성 인식과 실천, 음악에 대한 다각적인 이해와 탐색을 바탕으로 한 세계시민교육의 여러 주제들의 접근을 도와 예비음악교사들의 세계시민교육 역량을 발전시키는데 도움을 주었다.

다문화수학교사교육모델 개발연구 : 수학교육 현장 상황분석 기반 예비모델 탐색 (Development Research of Multicultural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Model: Exploring Preliminary Model Based on Situational Analysis)

  • 송륜진;주미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4권2호
    • /
    • pp.227-251
    • /
    • 2014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수학교사들이 다문화수학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다문화적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다문화수학교사교육 모델 개발을 위한 예비모델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수학교사들의 다문화적 역량 '실태'와 다문화교육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여 교육 현장의 상황분석이 먼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후 국내외 다양한 문헌 고찰 및 상황분석 내용을 기반으로 다문화수학교사교육을 위한 '다문화 수학교사교육 원리'를 도출하고, '목표'를 선정한 이후 그에 따르는 '교육내용과 방법'을 조직하여 우리나라 교육 상황에 적합한 다문화수학교사교육 예비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다문화수학교사교육 예비모델에 근거하여 프로그램의 사례를 구성하여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였다. 마지막으로, 수학교육 현장의 상황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예비모델은 어떤 특징과 장점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하여 논의한 이후 모델 개발연구의 완성을 위한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 PDF

정보교육을 위한 HUSTOJ 기반 오픈소스 온라인 저지 시스템 커스터마이징 방향 탐색 (Exploration of the Direction of Customizing HUSTOJ-based Open Source Online Judge Systems for Informatics Education)

  • 전용주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5권1호
    • /
    • pp.53-61
    • /
    • 2019
  • 최근 온라인 저지(OJ, Online Judge) 시스템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알고리즘 및 프로그래밍에 기반한 문제 해결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하는 사례 및 이에 대한 교육적 효과성들이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정보·컴퓨터 현직교사 및 예비교사가 이러한 시스템을 자신이 속한 학교·학생 환경에 맞게 구축하여 운영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게 된다면, 컴퓨팅 사고력 및 문제해결과 관련된 강력한 지도 역량을 갖출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교 단위의 정보교육을 위한 HUSTOJ 기반의 오픈소스 온라인 저지 시스템 커스터마이징 방안을 탐색하여, 학교 현장에서 이를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디자인 사고 기반 메이커 교육을 위한 초등교사 연수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Design Thinking-Based Maker Education)

  • 이승철;김태영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대회
    • /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8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111-114
    • /
    • 2018
  • 4차 산업혁명의 특징 중 하나는 생산과 소비의 결합이다. 이제는 소비자가 직접 구매할 물건의 생산에 관여하고, 직접 필요한 물건을 생산한다. 이는 다양한 제작도구들이 보편화되면서 가능해졌다. 이런 흐름으로 세계적으로 메이커 운동, 메이커 교육이 주목받고 있다. 메이커들은 실생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의적인 문제해결 방법을 활용하여 무언가를 만들고 공유한다. 이런 공유문화는 메이커들의 축제인 메이커 페어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창의적인 메이커를 교육을 통해 길러내야 될 필요성을 공감하고 있으며, 메이커 교육을 학교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디자인 사고가 있다. 디자인 사고 프로세스는 실제 제품을 사용할 소비자에게 공감하여 이해한 뒤, 다양한 대안을 찾는 확산적 사고, 주어진 상황에서 최선의 방법을 찾는 수렴적 사고의 반복을 통해 결과물을 도출하는 창의적 문제해결 방법이다. 현재 온라인과 오프라인 상에서 다양한 메이커 교육이 이뤄지고 있다. 이를 학교에 도입하여 학생들을 가르치기 위해서는 교사의 역량이 중요하다. 아무리 좋은 교육이라도 교사들이 모른다면 학생들을 가르칠 수 없기 때문에 메이커 교육을 학교 현장에 투입하기 위해서는 메이커 교육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사고 기반 메이커교육을 위한 초등교사 연수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 PDF

보육교사의 문화적 공감과 문화적 역량에 대한 다문화 효능감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Multicultural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Empathy and Cultural Competence in Child Care Teachers)

  • 오원옥;박일태;송민주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5권2호
    • /
    • pp.214-222
    • /
    • 2019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multicultural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empathy and cultural competence in child care teachers.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urvey design was used. The participants were 277 child care teachers at private and public daycare centers in G and S districts of Seoul. The survey instruments included a cultural empathy questionnaire, a multicultural efficacy scale, and a cultural competence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and AMOS program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 analyses were performed. Bootstrapping was implemen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model developed herein. Results: Positive correlations among cultural empathy, multicultural efficacy, and cultural competence were noted. Multicultural efficacy showe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ultural empathy and cultural competence. However,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Conclusion: In order to enhance the cultural competence of child care teacher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trategy that can promote their cultural empathy and multicultural efficacy. Furthermore, these results will ultimately enhance the role of child care teachers, thus contributing to the normal growth and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children.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유아다문화교육 내용의 연결망 비교 분석: 2009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와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A Network Analysis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according to Transitions of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2009 Educational Activities and Materials Guidebooks for Kindergarten and the Nuri Curriculum Teacher Guidebooks for the Age of 3-5)

  • 남미경;윤갑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89-210
    • /
    • 2015
  • 본 연구는 2009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와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다문화교육 내용의 연결망을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다문화교육 내용 분석범주를 토대로 UCINET 6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2009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 11권과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32권, 총 43권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각 연령별 생활주제에 연결되어 있는 다문화교육 내용의 밀도는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에 비해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가 높았다. 다문화교육 내용들과 연결성이 높은 생활주제는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의 3, 4, 5세는 모두 '나와 가족'으로 '정체성 형성' 내용을 중심으로 연결망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3세는 '동식물과 자연', 4, 5세는 '유치원과 친구', '나와 가족'이 '상호작용 및 협동' 내용을 중심으로 연결망을 형성하고 있었다. 둘째, 다문화교육 내용의 하위요소 간 연결 중심성 값이 높은 내용은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의 '문화에 관심 갖기', '유사점과 차이점 알기' 순이었으며,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는 '문화에 관심 갖기', '공동체 의식 함양하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하위 영역간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매개 중심성 값이 높은 내용은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의 '다양성 이해하기',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공동체 의식 함양하기'와 '상호작용 및 협력'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유아다문화교육은 '정체성'에서 '상호작용 및 협력'으로 변화되었으며 이는 현재 누리과정에서 다문화교육 내용이 세계시민으로서의 국제적 소양과 역량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앞으로 유아다문화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역량교육을 통해 바라본 초·중등학교 민주시민교육의 실천적 담론: 인권을 중심으로 (Practical discourse of civil democracy education in the elementary and the secondary school through the lense of competency education: based on human rights)

  • 신민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813-817
    • /
    • 2022
  • 본 연구는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시대적 요구와 함께 학교 교육과정에서 인권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시안)에 나타난 민주시민교육 내용과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에 제시된 역량교육을 토대로 분석 및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2022 개정 교육과정 내용 중 범교과 학습을 통한 인권교육 강조 및 인권 교과 교육과정을 보다 상세화, 체계화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학생의 인권 의식 함양과 인권보장을 위한 다양한 범교과 학습, 창의적 체험활동의 지속적인 인권교육의 실시과정이 제공되어야 한다. 셋째, 교사의 인권 기반 관점과 역량 함양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과 함께 인권 친화적 학교 문화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2022 개정 교육과정 개정을 앞둔 시점에서 학교 인권교육을 선도할 수 있는 토대의 마련과 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