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모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4초

교모면적과 교합접촉양태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Occlusal Wear Area and Occlusal Contact Patterns)

  • Se-Sook Kang;Kyung-Soo Han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19권2호
    • /
    • pp.153-168
    • /
    • 1994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a relation between occlusal wear area and occlusal contact patterns. For the purpose, occlusal wear area were measured in 58 dental students and in 129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TMDs) from dental casts. Teeth used in this study were from canine to second molar on both sides in upper arch, totally ten. Occlusal wear area on casts was marked by pencil and photocopies, and then, the area was measured with planimeter. Occlusal relation was clinically examined with regard to Angle's classification, chewing side preference, lateral guidance pattern and bruxing and/or clenching habit. T-Scan, electronic occlusal contact analyzer, was used to record occlusal contact number, contact force, contact time and occlusal balance that is TLR(total left-right statistics) during tooth contact. All measurement were repeated 3 times and the average value was used for data processing.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Mean value of occlusal wear area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dental students and patients. 2. There w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wear area between chewing side and non-chewing side in both groups. 3. Occlusal wear are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age in both groups. 4. Three subgroups divided by Angle's classification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occlusal wear area among them, but three subgroups divided by lateral guidance pattern showed slight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anine guide subgroup and group function subgroup in patients. Occlusal wear ares\a in group function subgroup wear larger than canine guide subgroup. 5. Mean value of wear area in patients with bruxing and/or clenching habit did not differ from those in patients without such habit. 6. Correlationship among items related to occlusal contact pattern were highly consistent and significant in dental students and only one item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cclusal wear area was tooth contact time.

  • PDF

치아 마모의 해석-논문 고찰 (The interpretation of tooth wear - literature review)

  • 황수정;서민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4권3호
    • /
    • pp.137-146
    • /
    • 2018
  • 치아 마모로 인해 치아 경조직은 없어지게 된다. 이것은 여러 가지 변수가 작용하는 과정이다. 오랜 시간 동안 치아 마모는 일상적인 임상 영역에서는 별다른 과심을 받지 못하였지만 최근 들어 관심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인간의 평균 수명이 계속 늘어가면서 치아의 중요도가 더 증가하기도 하였고 구강 위생이 보편화되고 치과 치료가 발전하면서 치아가 더욱 오랜 동안 구강 내에서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치아 마모가 더 많은 관심을 불러 일으키고 있는 것이다. 치아 마모는 자연적으로 한방향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해 개개인의 연령 감정을 하는데 자주 이용되었다. 당연하게도 치아 마모를 이용한 연령감정은 상대적으로 넓은 범주에서 이루어지고 그 정확성도 의심받고 있다. 고대에서 중세시대까지 치아 마모는 아주 심하게 있어왔다. 그래서 치아 마모는 매우 많은 지역에서 연구되어 왔다. 하지만 아직 이런 개개의 연구들이 통합적인 의미 도출로 이어지지는 못하고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연구들을 토대로 통합적인 치아 마모의 이해를 위한 세부적인 연구와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다.

심한 마모를 가진 환자에서 수직 고경 증가를 동반한 구강회복 증례 (Mouth rehabilitation of a patient with severely worn dentition with vertical dimension increase)

  • 이기영;김치윤;정지혜;김유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15-221
    • /
    • 2015
  • 심한 마모를 가진 환자의 치료에서 광범위한 보철 수복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는데, 마모의 원인과 수직 고경의 변화 유무 등을 판단하여 현재 구강상태의 회복과 장기간의 안정성을 이루어야 한다. 수직 고경을 증가시킬 때는 임시 수복을 하고 장기간의 관찰을 통해 환자의 적응을 평가해야 한다. 본 증례의 환자54세 남자 환자로 전반적인 치아 마모와 심미적 불만족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의 구강 내 소견 상 교모와 부식이 동반되어 과도한 마모가 발생한 것으로 진단하였다. 수직 고경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안정위시 악간공극, 발음, 안모, 심미, 임상적 치관 길이, 중절치 절단과 순측 전정과의 수직거리 등을 평가하였고, 교합기의 incisal pin기준으로 수직 고경을 2.5 mm 증가하기로 하였다. 임시 보철물을 이용하여 8주의 안정화 기간 이후 최종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6개월 간 경과 관찰 결과 기능적, 심미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X 염색체 우성 저인산혈증성 구루병: 13년간의 치험례 (X-LINKED DOMINANT HYPOPHOSPHATAEMIC RICKETS: 13 YEARS FOLLOW-UP STUDY)

  • 하나;김영진;김현정;남순현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4-18
    • /
    • 2017
  • 본 증례에서는 본과에서 발견한 임상적인 특징을 통해 X 염색체 우성 저인산혈증성 구루병으로 진단받아 13년간 의과적 및 치과적인 처치를 받고 있는 환아에 대해 보고하였다. 의과적으로 환아는 저신장 및 휜 다리 등의 전형적인 구루병 증상을 나타내었고, 치과적으로도 넓은 치수강, 상아법랑경계까지 연장된 치수각 및 자발적 치아농양 등의 전형적인 증상을 나타내었다. 본 환아는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유구치와 영구 소구치 및 대구치 모두 치면열구전색 및 수복치료 등을 적극적으로 시행해왔다. 그러나 예방적인 처치에도 불구하고 유치열에서는 총 8개의 치아에서 치아 우식에 이환 없이 자발적 치아농양이 발생하여 치수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조기 상실 등의 합병증 없이 영구치교환 시점까지 유지할 수 있었다. 영구치열에서는 그 빈도가 낮아졌으나 하악 우측 제1, 2대구치에서 발생한 자발적 치아농양으로 치료를 완료하였다. 앞으로 치아교모 등의 원인으로 영구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치아농양을 예방하기 위해 예방적인 전장관수복치료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McCune-Albright syndrome 환자의 치과적 특성 (DENTAL CHARACTERISTICS OF A PATIENT WITH MCCUNE-ALBRIGHT SYNDROME)

  • 임재영;송제선;이고은;이제호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1-44
    • /
    • 2018
  • 본 증례에서는 MAS 환자의 치과적인 특성에 관하여 논하였다. 본 환아는 현재 특히 하악 우측골의 팽융과 안면 비대칭 소견을 보이고 있었으며 치아의 교모, 변위, 맹출 지연, 맹출 경로 이상 등의 특징을 보이고 있었다. MAS 환자들에게서는 이러한 증상뿐 아니라 앞서 언급되었던 치아 우식에 이환될 위험성을 높이는 다른 여러 증상들이 발현될 수 있다. 따라서 환아에게 해당 증상이 발생할 수 있음을 보호자에게 설명하였고, 주기적인 관찰을 시행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MAS 환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정기적인 검진이며, 이러한 검진 과정에서 임상적인 증상들이 나타난다면 치과의사의 교정치료나 충치치료 등의 적절한 개입이 필요하고 환자에게도 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장기적인 검진은 본 환아의 병소에 대한 이해를 높일 것이고 치료 결과의 질을 높여줄 것이라고 판단된다. 소아의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 판독 시 치아와 주변 골조직의 주의 깊은 관찰이 동반된다면 이러한 질환의 조기 진단에 도움이 될 것이다.

교모면적과 저작근 활성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cclusal Wear Facet areas and Masticatory Muscle Activities)

  • 김정희;윤창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69-279
    • /
    • 198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basic data needed to clinical diagnosis and treatment by investigating the occlusal wear facets and those related factors. Sixty-six subjects, ranging from 24 to 26 years of age without symptoms of stomatognatic system, were selected from dental students in Chosun University. The area of occlusal wear facets was measured and twenty subjects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I and Group II). The Group I had small facet areas, and the Group II had large facet areas. These two groups were investigated into right and left side wear facet areas, vertical overlaps, occlusion types of working side, masticatory muscle activities, and asymmetry of right and left side masticatory muscle func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wear facet areas of all subjects was $22.84{\pm}88.95mm^2$, and Group I and Group II were $96.12{\pm}32.00mm^2$ and $372.94{\pm}65.63mm^2$ respectively. 2. The right and left wear facet areas of Group I were $46.72{\pm}14.36mm^2$ and $49.40{\pm}21.46mm^2$ respectively. The right and left wear facet areas of Group II were $175.27{\pm}45.75mm^2$ and $185.69{\pm}45.37mm^2$ repsectively. 3. The vertical overlap of Group I and Group II was $3.88{\pm}0.81mm$ and $2.88{\pm}1.14mm $ respectively. 4. Most of the Group I had Canine protection occlusion (80%), and most of the Group II had Group function occlusion (80%). 5. The masticatory muscle activities at rest position, maximum bite, habitual chewing, right and left unilateral chewing were greater in Group II than in Group I, especially in the masseter muscle of working side at right and left unilateral chewing. (P<0.01). 6. The asymmetry of right and left wear facets and masticatory muscle activities were greater in Group II than in Group I. (P<0.01).

  • PDF

구치부 상실과 과도한 교모가 있는 환자의 수직 고경 회복을 통한 전악 보철 수복 (Full mouth rehabilitation of a patient with worn dentition and loss of posterior support by vertical dimension reestablishment: a clinical report)

  • 류정현;이원섭;이철원;이수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227-234
    • /
    • 2018
  • 과도한 치아의 마모는 심미적인 문제와 치아의 과민성, 수직 고경의 감소 등의 합병증이 발생한다. 본 증례는 20년 동안 류마티스 관절염 기왕력을 가진 환자를 문진,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해 마모가 발생한 원인을 분석하고 완전 구강 회복술을 시행한 것이다. 최종보철물 제작 후 보철물 파절 예방과 안정된 측두하악관절의 유지를 위해 나이트 가드를 제작하였다.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보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천막상부에 발생한 비정형 기형/횡문근양 종양 1례 (A Case of Atypical Teratoid/Rhabdoid Tumor Arising from the Supratentorial Area)

  • 정경훈;권영세;전용훈;김순기;홍영진;손병관;김은영;박인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2호
    • /
    • pp.228-231
    • /
    • 2005
  • 저자들은 재태기간 36주 6일로 출생한 환아가 대천문 팽대와 활동량 감소를 보여 시행했던 방사선과적 검사에서 발견된 천막 상부에 위치한 종양에 대해 일차적으로 교모세포종으로 진단하였다가 치료 중 재발된 종양에 대해 이차 수술 후 조직검사소견과 면역조직화학검사로 비정형 기형/횡문근양 종양으로 진단한 매우 드믄 악성 뇌종양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과도한 치아 마모 환자에서 수직고경 증가를 동반한 전악 수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vertical dimension elevation in the patient with severely worn dentition: case report)

  • 이은지;신수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0권4호
    • /
    • pp.315-323
    • /
    • 2014
  • 과도한 치아의 마모는 수직 교합 고경의 감소를 야기하여 구강 및 저작계의 병적 변화를 일으킬수 있으며, 이 경우 새로운 교합 설정과 수직 고경 회복 시 정확한 진단과 분석이 필수적이다. 이에 본 증례에서는 고딕 아치 트레이서를 통해 거상된 수직고경에서의 중심위를 기록한 후 전악 수복을 시행하였다. 본 증례는 70세 남자 환자로서 이가 시리고 아파서 음식을 먹지 못한다는 주소로 내원하였다. 전반적인 치아 마모에 의한 수직고경의 감소를 보여 면밀한 모형분석을 통해 수직고경의 거상을 결정하였다. 거상된 수직고경에 맞춰 고딕 아치 트레이서를 이용하여 중심위 채득 후 임시 보철물을 장착하였다. 4개월 동안 임시 보철물을 통해 적절한 교합을 형성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최종 보철을 제작하였다. 치료를 통해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상악 견치의 교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ttrition of Maxillary Canine in Korea)

  • 임병철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21-130
    • /
    • 1997
  • This study was aimed to help the construction of naturally dental prosthesis by investigation of the factors affecting on the attrition position and attrition angle of maxillary canines. Therefore 163 complete cast of maxillary and mandibular extracted from the student of K. college were subjected for this study, and result through the study are as follows. 1. None attrite rate of the maxillary canine was 7%, of examined teeth. 2. Throughout mesiodistal attrition of 1) Throughout mesiodistal attrition area of the maxillary canines showed that mesial area and mid area of cusp was more frequence in attrition than distal area of it. 2) Sex, dental arch type, vertical overlap, horizontal overlap, did not affect significantly to throughtout mesiodistal attrition statistically 3. Througout labiolingual attrition area 1) Throughout labiolingual attrition area of the maxillary canines showed that attrition of the from lingual to labioncisal edge was more frequence than it of linguoincisal edge 2) It showed that attrition of the from lingual to labioincisal edge was more frequence when the length of horizontal overlap is shorter, by horizontal overlap 3) The attrition of the from lingual to labioincisal edge in maxillary left canines showed that male was more frequence in attrition than female. 4) Dental arch type, vertical overlap, did not affect signioficantly to labiolingual attrition, statistically. 4. Attrition angle 1) It showed that average attrition angle of the maxillary right canines were $19{\pm}11.02$ dagree, and it of left canines were $18{\pm}11.83$ degree. 2) It showed that famale have a bigger attrition angle than male, by sex. 3) It showed that attrition angle was bigger when the length of horizontal ovelap is bigger, by horizontal overla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