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대근무 방향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3초

교대근무 남자간호사의 실무 적응 경험 (Adaptation Experience of Male Nurses on Shift work)

  • 오화경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1호
    • /
    • pp.185-195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교대근무 남자간호사의 실무 적응 경험에 대하여 총체적으로 해석하는 데 있으며,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기 위함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2년 09월부터 2022년 11월까지였으며 상급종합병원 및 종합병원, 전문병원, 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남자간호사 9명을 대상으로 내용의 포화가 될 때까지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에 따라 적용하였고 연구 결과 4개의 범주와 11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4개의 범주는 '교대근무로 인한 변화', '성별 차이에서 오는 어려움', '업무수행을 위한 적응', '미래를 위한 성장과 방향성'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교대근무 남자간호사의 실무 적응 경험에 대한 의미를 탐색할 수 있었으며, 간호업무 수행을 위한 근무환경 개선 방안과 남자간호사의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야간 근무시의 혈장 멜라토닌의 농도 변화 :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의 교대근무 비교 (The Nocturnal Changes of Plasma Melatonin Concentrations in Night Shift Workers : Comparison of the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Rotational Shift.)

  • 민순;김미승;임욱빈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권2호
    • /
    • pp.81-89
    • /
    • 2000
  • To determine the optimal rotational shift system, the effect of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al work shifting on the nocturnal rhythm of plasma melatonin were investigated in nursing students. Two groups of nine volunteers participated as experimental subjects, and two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as a control group. The directions of the rotational work shift were as follows: CW(clockwise)-shift were rotated in the direction of day shift(3 days), evening shift(3 days), off duty(1 day) and night shift(5 days), and CCW(conuterclockwise)-shift were done in the reverse direction. Plasma melatonin concentrations was measured by radioimmunoassa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plasma melatonin levels were kept low at night and in the following morning in the CW night shift workers, whereas the level started to increase at 05 : 00 hr in two workers of four CCW shift workers. These result suggests that the shift rotation in the CW direction is more acceptable in terms of the adaptation of hormonal rhythm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CW rotation of shift work is somewhat better than CCW rotation for the adaptation to shift work on hormonal aspects in nurses.

  • PDF

일개 대학병원 간호사들의 근무형태에 따른 건강행태 (Health Behaviors of Nurses at a University Hospital according to Type of Work)

  • 권미경;강복수;황태윤;이경수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4권1호
    • /
    • pp.55-67
    • /
    • 2007
  • 이 연구는 대학병원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근무형태에 따른 건강행태를 파악하고 간호사들의 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건강교육의 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대구지역 일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340명이었고, 자료의 수집은 2006년 3월 6일부터 3월 30일까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업무환경특성, 건강행태, 자신의 건강에 대한 인식, 건강증진행위 실천 점수 등에 대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행되었다. 교대근무 간호사(이하 "교대")와 비교대근무 간호사(이하 "비교대")의 건강행태의 항목에서 규칙적인 식사여부(p<0.01), 음주여부(p<0.05), 건강관리(p<0.05), 규칙적인 운동(p<0.01), 근무시간 외 시간 활용(p<0.05), 충분한 휴식시간(p<0.05), 피로인식여부(p<0.01)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근무형태에 따른 건강증진행위 실천 점수는 교대가 115.4점, 비교대가 121.9점으로 비교대가 건강행위를 더 잘 실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하부영역별로 실천 점수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은 자아실현과 영양영역(p<0.01)이었으며, 자아실현영역에서 가장 점수가 높았고, 운동영역에서 점수가 가장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비교대보다 교대가 교대근무로 인해 상대적으로 시간적인 여유가 부족하고 불규칙적인 생활로 인해 시간활용을 잘 하지 못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교대의 건강행위 실천율을 높일 수 있도록 여건을 개선하고 건강행위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는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또한 간호사들의 생활습관의 개선과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에 대한 교육과 홍보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임상 간호사의 교대근무 방향아 circadian rhythm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hift Directions of Clinical Nurses on the Circadian Rhythm)

  • 황애란;정현숙;강규숙;이규정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77-97
    • /
    • 1994
  • The circadian system represents a temporal order which is mediated by the mutual coupling of oscillators and by the synchronizing effects of zeitgebers. It is known that well-being of man depends partly on the maintenance of this order, and that repeated or long lasting disturbances to it such as shift work will Cause harmful effects. This study was a quasi-experimental study to test the effect of shift directions for the clinical nurses on the circadian rhythm. Fourteen nurses working at the general units of Y hospital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criteria. Fourteen subjects were assigned to a weekly shift but the directions of shift work were phase delay first and then phase advance or vice versa. Oral temperature, total sleeping time, frequency of sleep-wake cycle, fatigue, mental performance, and physical symptom were measured during these days except holidays.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April 26, 1993 to July 3, 1993. MANOVA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Having worked on evening and night shifts in either phase delay or phase advance schedules, temperature rhythms of shift workers were gradually adapted to the new sleep-wake cycles. A complete adaptation to work on the night shift was achieved the sixth day of the night shift in the phase delay schedule compared to the partial adaptation to the work on the night shift in the phase advance schedule. Accordingly, by putting evening shift between day and night shifts, it will be possible for circadian rhythm to adapt easily to the night shift. 2.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total sleeping time, frequency of steep-wake cycle, fatigue, and physical symptom except for mental performance between night shift and day, evening shift. This indicates further that shift workers working on the night shift have a hard time adapting to the shift work compared to the other shifts. 3. Evaluating all the acrophases of temperature rhythm either in phase delay or phase ad-vance schedules, it was shown that night to evening shift in the phase ad-vance schedule revealed the smallest phase move. Also phase advance schedule showed poorer adaptation to shift work than phase delay schedule in connection with total sleeping time, frequency of sleep-wake cycle, fatigue, mental performance, and physical symptom. It is suggested,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reflect that phase delay schedule facilitated the degree of adjustment to the shift work compared to the phase advance schedule.

  • PDF

영양지수를 이용한 제조업 근로자의 영양상태 평가 및 관련 요인 연구 (Factors associated with the dietary quality and nutrition status using the Nutrition Quotient for adults focusing on worker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 임지숙;허영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3권5호
    • /
    • pp.488-502
    • /
    • 2020
  • 본 연구는 광주지역 산업체 근로자 738명을 대상으로 NQ-A를 측정하여 영양상태 및 식사의 질 수준을 파악하고 이에 관련된 요인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는 교대 근무자 496명, 비교대 근무자 242명으로 구성되었다. 근무 기간은 10년 이상이 64.9%, 남성 근로자가 81%, 연령대는 50대 이상이 31.6%를 차지하였다. 교육 수준은 대학 졸업 이상이 57.2%, 월평균 가계소득은 401-600만원인 경우가 48.2%로 가장 높은 비율이었고, 가구 구성은 결혼의 여부에 따라 가족과 함께인 가구가 75.9%였다. 대상자들의 근무 형태에 따라 교대 근무와 비교대 근무자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NQ-A와 영역별 점수는 비교대 근무자가 유의하게 높았다. 연구 대상자의 NQ-A 평균 점수는 45.3점이었고, 모니터링 필요 집단은 교대 근무자에서 91.3%로 유의하게 높았다. 연구 대상자의 영양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근무형태, 성별, 연령, 교육 수준, 월평균 가계 소득, 가구 구성으로 나타났다. 비교대 근무자, 여성, 가족과 함께인 가구, 50대 이상, 월평균 가계 소득 600만원 이상의 경우가 NQ-A를 높이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대상자의 균형, 다양, 절제, 식행동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확인 결과, 근무 형태는 균형, 다양, 절제 영역에 공통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고, 성별은 식행동 영역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NQ-A 지수를 활용하여 일반 산업체 근로자의 영양상태와 관련 요인 균형, 다양, 절제, 식행동으로 나누어 세부적으로 평가하고 영양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구체적으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을 제시했다는데 의미가 있으며, 산업보건에서 영양관리의 필요성 및 근무 형태와 성별에 따른 차별화된 관리와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즉, 근무 형태와 성별에 따른 영양관리와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 마련이 요구되며, 근로자가 육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한 생활을 영위하는 데 가치를 두고 식습관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근로시간 및 교대근무편성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Problems of Working Hours and Shift Work Systems, and Propsed Methods for Their Improvement)

  • 서유진;;박영만;문세근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3-26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night work and shift work systems in the heavy chemical industrial complexes found in Changwon, Masan, and Chinhae. Korea. We will attempt to define and classify their problems; and to discover further ways to improve their systems. Fifty production factories were carefully selected a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The shift systems we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The consecutive night shifts were long in almost all cases with 6 days (36 factories) and 7 days (13 factories). It was found that the night work of about] 2 hours continues for a long period in the weekly rotation full-day shift systems and the night-including non-full-day shift systems, and there was no holiday during a shift cycle in the continuous full-day shift systems. The work time in most shift systems was longer than the 44-hours/week permitted by Korean law.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various types of shift systems, the most essential thing to reduce the shift workers' work load may be to shorten their working hours and improve the schedule of shift systems. It is highly recommended as a fundamental solution. to reduce the portal-to-portal hours from 12 to 8 in the night-including non-full-day shift systems and the weekly rotation full-day shift systems, and at least to employ a 4-team 3-shift system in the continuous full-day shift systems. In addition to this, it should from now on be taken as a goal to restructure the types of shift systems by taking such measures as avoiding continuous night work if possible, providing sufficient off-duty intervals both before and after night shift, providing increased opportunities for workers to nap during night work. and increasing the number of holidays.

여성 카지노 시큐리티 종사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omen's Casino Security Employees)

  • 김형석
    • 시큐리티연구
    • /
    • 제62호
    • /
    • pp.135-158
    • /
    • 2020
  • 카지노에서는 고객과 종사원의 안전을 관리하는 시큐리티 종사원들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카지노에는 여성 종사원들의 비율이 높으며, 고객들 또한 여성과 남성의 비율이 비슷하기 때문에 여성 고객 혹은 여성 종사원이 사건 사고를 경험할 확률이 남성과 비슷하거나 높을 수도 있는 상황이다. 여성의 사건사고를 처리하는 여성 시큐리티 종사원은 여성 고객과 일반 여성 종사원들에게는 여성만이 할 수 있는 시큐리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카지노에서 시큐리티 업무를 수행하는 종사원들은 대부분 남성이며, 여성의 비율은 매우 낮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카지노에서 여성으로서 시큐리티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종사원들에 관한 연구로서 이들이 카지노에서 시큐리티 업무를 수행하며 경험한 다양한 내용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해 질적연구를 진행하였다. 총 5명의 연구 참여자들에게 총 3회에 걸쳐 인터뷰를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고 범주화 하였다. 첫 번째 질문인 카지노 시큐리티 업무의 시작 동기에 대한 요인은 교수님의 추천, 개인의 정보검색, 지인의 추천이다. 두 번째 질문인 업무 시 필요 능력에 대한 요인은 다양한 운동 능력, 좋은 신체조건, 외국어 능력이다. 세 번째 질문에서 업무의 만족요인은 업무의 희소성, 급여의 만족, 개인의 적성과 일치, 미래에 대한 기대감이며, 업무의 불만족 요인은 업무의 위험성, 고객에 대한 스트레스, 성별에 대한 차별, 주변의 시선, 교대 근무의 피곤함이다. 네 번째 질문에서 여성 카지노 시큐리티 종사원들의 필요성에 대한 요인은 여성 고객에게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 여성 종사원의 보호, 관련 전공 여성에게 기회 제공이다. 이렇게 나온 연구결과에 대해 카지노 시큐리티업무 20년 이상의 전문가와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여성 카지노 시큐리티 종사원은 필요요건이기 때문에 제도적, 인식적인 개선을 통해 발전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