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광튜브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7초

근적외선-II 형광 이미징을 위한 무기 나노입자 (Inorganic Nanoparticles for Near-infrared-II Fluorescence Imaging)

  • 박용일
    • 공업화학
    • /
    • 제33권1호
    • /
    • pp.17-27
    • /
    • 2022
  • 형광 이미징은 시간 분해능과 공간 해상도가 높기 때문에 기초연구에서 세포나 소동물 이미징에 널리 활용된다. 기존의 형광 이미징은 가시광선 영역의 광원을 활용하기 때문에 조직 내 광투과도가 낮고, 광원에 의한 광독성이 생길 수 있으며, 자가형광에 의한 간섭으로 검출 민감도가 떨어지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에너지가 낮은 장파장의 광원을 활용하고자 하며, 700~900 nm 영역을 활용하는 근적외선-I 형광 이미징이 개발되었고, 이미징 성능을 대폭 향상시키기 위해서 1000~1700 nm 영역의 장파장을 이용하는 근적외선-II 이미징이 연구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근적외선-II 영역은 광산란이 최소화되어 생체조직 내 투과도를 약 10 mm까지 향상시킬 수 있고, 생체조직의 자가형광도 최소화되어 고민감도와 고해상도의 형광 이미징이 가능하다. 본 총설에서는 다양한 근적외선-II 형광 이미징 탐침 중에서 광안정성이 뛰어나고 발광 파장 조절이 용이한 무기 나노입자 기반 탐침에 대해 살펴보았고, 그 중에서 단층 탄소 나노튜브와 양자점 및 란탄족 나노입자에 대해 중점적으로 기술하였다.

Sn 함침-티타니아 나노입자와 나노튜브에 놓인 2-Chlorophenol 광 분해 성능 (The Photocatalytic Decompositions of 2-Chlorophenol on the Sn-impregnated Titania Nanoparticles and Nanotube)

  • 김현수;이가영;박선민;강미숙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461-468
    • /
    • 2012
  • This study focuses on the difference of photocatalytic activity depending on crystal structure type of nanoparticles ($TiO_2$) and nanotubes (TNT). The photodecomposition of 2-chlorophenol on the synthesized $TiO_2$, Sn-impregnated $TiO_2$, TNT, and Snimpregnated TNT were evalu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ynthesized photocatalyts, TNT, Sn/TNT, $TiO_2$, and Sn/$TiO_2$ were analyzed by X-ray diffraction (XR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and UV-Visible spectroscopy (UV-Vis), and cyclic voltammeter (CV). The water-suspended 2-chlorophenol photodegradation over $TiO_2$ (anatase structure) catalyst was better than that over pure TNT. Particularly, the water-suspended 2-chlorophenol of 10 ppm was perfectly decomposed within 4 h over Sn/$TiO_2$ photocatalyst.

금속담지된 $TiO_2$ 나노튜브를 활용한 Cr(VI)환원의 광화학적 효율 연구 (Study on Photocatalytic Cr(VI) Reduction with Metal Deposited Anodized $TiO_2$ Tube)

  • 허아영;이창하;박민성;심은정;윤재경;주현규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301-306
    • /
    • 2010
  • The present work is performed to photocatalytically reduce Cr(VI) by means of metal deposited anodized $TiO_2$ tubes, which are prepared by anodization of Ti foil followed by metal deposition. Stably immobilized photo-reactive materials are favored in the field of detoxification in a conventional aqueous medium, preventing gradual loss of efficiency and process malfunction due to detachment of the materials. The prepared samples are characterized by SEM, TEM, EDAX, and photocurrent. The metal deposited-$TiO_2$ electrode shows higher efficiency for Cr(VI) reduction (ca. 20%) and higher ability for adsorption (4~5 times) than pure one.

태양광 수소 생산용 CdS와 CdSe 흡착 TiO2 나노튜브 어레이 (TiO2 Nanotube Arrays Sensitized with CdS and CdSe for Solar Hydrogen Production)

  • ;김현;양비룡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30-133
    • /
    • 2012
  • In this work we report investigation results of enhanced visible light photocatalytic properties of CdS and CdSe sensitized $TiO_2$ nanotube heterostructures. Anodically grown ordered $TiO_2$ nanotube arrays were sensitized with CdS and CdSe by using successive ionic layer adsorption and reaction method. Photocatalytic measurements revealed that heterostructured samples show enhanced photocurrent density under the visible light illumination. Improved visible light performance of the heterostuctures was explained by lower band gap of the CdS and CdSe and their favorable conduction band positions relative to $TiO_2$. Moreover, due to the lower band gap of the CdSe (1.7 eV) compared to CdS (2.4 eV), both photocurrent density and photoconversion efficiency results showed superior activity.

Smith-Hieftje(SH) 및 $D_2$ 바탕보정장치가 부착된 흑연로 원자흡수분광법을 이용한 혈액 중 카드뮴 분석 (Analysis of Cadmium in Blood using SH(Smith-Hieftje) and $D_2$ Arc Background Correction Methods by Graphite Furnace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 이석기;김풍작;정창웅
    • 대한화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96-201
    • /
    • 1996
  • 혈액 중 미량 카드뮴 분석에 전기로 장치가 부착된 원자 흡수 분광광도계(GFAAS)를 사용하였다. 시료를 1% Triton X-100으로 10배 희석시킨 다음 회화 온도 500$^{\circ}C$에서 Fork platform흑연 튜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결과 처리는 피크 면적법과 피크높이법으로 비교하였다. 양쪽 모두 우수한 값을 얻을 수 있었으며 SH 바탕보정법과 $D_2$ 바탕보정법에 의하여 얻은 검출한계는 각각 0.02ng/mL와 0.01ng/mL이고 상대 표준편차는 1.0ng/mL 종도에서 5%이내였다. 분석의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노르웨이 Nycomed Pharma사의 Seronorm (Trace Elements Whole Blood)을 분석, 비교 검토 하였다.

  • PDF

상온에서 고결정성 나노기공 이산화티탄 제조기술 (Synthesis of highly crystalline nanoporous titanium dioxide at room temperature)

  • 정평진;권용석
    • 에너지공학
    • /
    • 제25권2호
    • /
    • pp.65-78
    • /
    • 2016
  • 광촉매 연구의 초기는 태양에너지의 전환 및 저장에 관련된 분야들로부터 개발되어 왔다. 최근에는 광 또는 광촉매의 존재 하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물의 정제 및 폐수처리와 각종 유기화합물의 분해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또한 산화물질-카본나노튜브, 그래핀 나노복합체 등이 광촉매물질로서 연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복합체는 열적, 화학적으로 안정하기 때문에 플렉서블 소자를 포함한 광분해 태양전지 및 나노전자 소자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적당하다.

나노 재료를 이용한 최신 센서 기술 동향-리뷰 (Trends in recent sensor technology using nano materials-Review)

  • 박준식;박광범;김성동;박효덕
    • 센서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327-336
    • /
    • 2009
  • 최근 인류의 삶의 질 향상에 따라 건강하고, 쾌적하고, 편안한 삶을 살기 위한 많은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센서는 이러한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필수불가결한 요소 중 하나이며, 고성능의 지능화된 센서가 요구되고 있어, 앞으로 이에 대한 수요는 더욱 증대될 것으로 생각된다. 최근의 센서 연구 개발 방향은 센서에 기능을 부여하는 기능성 재료가 중요한 요소로 더욱 부각되고 있으며, 특히, 다양한 성분과 형태로 존재하는 나노 기능 재료는 기존의 벌크 재료와는 차별화된 독특한 물리, 화학, 기계, 광학적 특성을 갖고 있어 더욱 주목받고 있다. 최근 기존의 나노 입자 연구에서 더욱 발전하여 서로 적용하기 위한 나노선이나 CNT를 포함한 나노튜브, 나노 복합재료 등의 연구가 매우 활발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나노 재료를 이용한 가스 센서, 수질 센서, 바이오 센서, 광 센서 그리고 물리 센서 등 최신 나노 센서 연구개발 동향을 살펴보았으며, 미래 센서기술 발전방향 중 하나로서 나노 재료에 의한 센서의 고기능화 및 극소형화가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활용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적응형 TMS 면적식 유량계 (Adaptive TMS Variable Area Flow Meters)

  • 곽두성;김온;조기량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590-595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적응형 TMS(굴뚝배출가스 감시시스템) 면적식 유량계를 제안하였다. 이 유량계는 투명한 재질의 유리 테이퍼관 내부에 흐르는 유량의 증감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플로트의 위치를 테이퍼관을 따라 일직선상으로 배열된 광센서로 검지하고, 설정한 값에 대응한 가스 유량이 가스 분석기에 인입되도록 실시간으로 서보모터 구동회로를 최적 제어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제안한 유량계는 테이퍼 관에 흐르는 유량을 단계별로 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속적으로 유량을 제어하기 때문에 튜브라인의 막힘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Ag-Multi walled carbon nanotube-TiO2 복합나노소재 제조 및 광감응성 (Preparation and Photosensitivity of Ag-Multi Walled Carbon Nanotube-TiO2 Nano Composite)

  • 김성필;김종오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5-11
    • /
    • 2016
  • 다층벽탄소나노튜브(MWCNT)와 titanium(IV) butoxide(TNB) 그리고 silver nitrate($AgNO_3$)를 이용하여 졸-겔법으로 $MWCNT-TiO_2$ 복합체와 $Ag-MWCNT-TiO_2$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복합체에서의 Ag의 분산 및 구조를 주사전자현미경(SEM)과 투과전자현미경(FE-TEM)으로 관찰하였다. X선 회절 분석기(XRD)를 이용하여 복합체의 패턴을 보았을 때 anatase 결정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에너지 분광 분석기(EDX)로 원소성분을 분석한 결과 주요 원소인 C, Ti, O 그리고 Ag가 확인되었다. $TiO_2$ 입자는 MWCNT에 균일하게 분산되었고, Ag 입자는 튜브 표면에 고정되었다. 또한 UV 조사 시간에 따른 메틸렌블루의 분해를 통하여 광촉매 활성평가를 하였다. $Ag-MWCNT-TiO_2$ 복합체는 $MWCNT-TiO_2$ 복합체보다 높은 광분해능을 보였다. Ag의 높은 전도성이 $MWCNT-TiO_2$ 복합체의 광활성을 향상 시킨다는 결과를 나타냈다.

Role of PEDOT:PSS in Doping Stability of Reduced Graphene Oxide/Single Walled Carbon Nanotubes-Based Tranparent Conductive Electrodes Hybrid Films with AuCl3 Doping

  • 이병룡;김수진;김희동;윤민주;전동수;김태근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4년도 제46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383-383
    • /
    • 2014
  • 최근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그리고 touch screen panels 등 optoelectronic 장치의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투명전극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Indium tin oxide (ITO)의 좋은 특성 때문에 주로 투명전극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화학적 안정성이 떨어지고, 휘어질 때 특성저하가 심하여 금속나노와이어, 탄소나노튜브, 전도성폴리머, 그리고 그래핀 등의 다른 투명전극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 그래핀은 높은 전자 이동도(200000 cm2v-1s-1)와 휘어져도 전기적 크게 변하지 않는 특성 때문에 유망한 투명 전도성 전극 (Transparent Conductive Electrodes, TCEs)으로 연구되어왔다. 또한 다양한 속성 가운데, 높은 광 투과성은 그래핀의 가장 큰 장점이다 [1]. 최근, 화학 기상 증착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등 다양한 제조 방법이 대량 생산을 위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비용이 많이 들며, 과정이 상당히 복잡하고 높은 온도 (${\sim}1000^{\circ}C$)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용매 기반의 환원된 그래핀 산화물(Reduced Graphene Oxides, RGOs)이 최근 주목 받고 있다. 그러나 RGOs의 면저항이 높아 전극으로서 사용이 제한된다. 따라서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단일 벽 탄소 나노튜브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SWNTs)를 혼합하거나 화학적 도핑을 통하여 면저항을 크게 향상시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화학적 도핑의 경우 박막이 공기 중에 직접 산소나 습기와 반응하여 전기적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2].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uCl3을 도핑한 박막에 내열성 및 내광성 등의 화학적 안정성이 뛰어난 PEDOT:PSS를 코팅하여 필름의 공기중의 노출을 막아 줌으로써 도핑의 안전성 및 전기적 특성을 최적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간단한 dip-coating방법을 사용하여 4개의 RGO/SWNTs 박막을 흡착하였다. 다음으로 AuCl3를 도핑하여 면저항 $4.909K{\Omega}$, $4.381K{\Omega}$인 두 개의 샘플의 시간과 온도에 따른 면저항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필름의 도핑 안전성을 향상 시키기 위해 AuCl3를 도핑한 필름 위에 전도성 폴리머 PEDOT:PSS 코팅하여 면저항 $886.1{\Omega}$, $837.5{\Omega}$인 두 개의 샘플의 시간과 온도에 따른 면저항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AuCl3 도핑된 필름의 경우 공기 중에 150시간 노출 시 72%의 면저항 증가가 발생하였지만 PEDOT:PSS가 코팅된 필름의 경우 5%의 면저항 증가가 나타나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AuCl3 도핑한 필름의 경우 $150^{\circ}C$에서 60시간동안 공기중에 노출되었을 때 525%의 면저항 증가가 발생하였지만 PEDOT:PSS가 코팅된 필름의 경우 58%의 면저항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PEDOT:PSS가 passivation역할을 하여 필름이 공기에 노출된 부분을 막아주어 도핑된 필름의 면저항의 변화를 줄여 주었음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