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광산지역

Search Result 522,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국내 가행광산 채굴적 활용 방안

  • 윤철헌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11a
    • /
    • pp.213-234
    • /
    • 2002
  • 우리 나라는 70년대까지 광업은 부흥하였으나, 그 이후 급속히 위축되면서 80년대 이후 거의 대부분 광산들이 폐광 또는 휴광된 실정이다. 그 결과 현재 전국 각지에 다수의 폐갱도가 존재하게 되었으며, 이제는 지반침하 및 각종 침출수의 원인자로 간주될 정도이다. 최근 지자체에서는 이런 폐갱도를 지역 자원으로서 가치를 인정하고 지역 활성화를 위해 재 이용하려는 움직임이 보이고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관광시설, 연구시설, 농업생산시설, 저장시설, 폐기물처리시설 등이다. 일본은 폐광된 금속광산 재활용을 위해 입지여건과 주변지역, 입갱 가능성 등 기초조사를 하였다. 조사결과 폐갱도의 문제점으로 입갱이 가능한 광산이 적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대부분의 광산은 갱구가 함몰되었거나, 갱내에 지하수가 차 있어 접근이 불가능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비교적 양호한 암반 경우는 서브 레벨 스토핑, 잔주, 주방식 등의 채굴법에 의해 대규모 공동이 잔존하고 있는 경우도 있지만 그리 많지 않았다. 폐광된 광산 재활용 여건은 우리 나라와 일본이 대동소이 경우로 현실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폐광은 많지 않으며 활용코자 할 때에는 기존갱도를 활용하면서 암반이 견고한 곳에 새로운 갱도를 설치하여야 한다. 그러나 몇몇 곳에서는 매우 유용하게 잘 활용되고 있는 곳도 있고, 연구 검토하면 충분한 활용성이 있다고 생각되는 곳도 있다. 그러므로 현재의 상황을 보고 판단할 것이 아니라, 활용기술과 접목해서 활용성을 검토함으로써 불용 자산의 유용화 방안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가행중인 광산은 입지여건 및 암반이 양호하고, 대형갱도를 굴착하는 석회석광산 등을 선택하여 폐광 후 활용이 가능토록 채광기술 발전시켜 나가야 하며, 인간 중심적인 시설 또는 산물 중심적인 시설로 구분하여 폐광 후 복구비용을 우선 지원하는 방식 등을 통하여 시추, 탐광굴진, 현대화, 수갱굴착, 자금융자 등을 지원하는 우리 공사와 산업자원부가 지자체, 산림청, 건교부, 농림부 등과 연계하여 종합적인 지원육성책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관심을 갖고 있는 저장시설, 폐기물처리시설, 관광시설, 농업생산시설, 연구시설 등을 중심으로 '광산 채굴적을 미래에 어떻게 활용한 것인가'를 선진외국 사례를 벤치마킹하고, 연구ㆍ검토하여 친환경적인 광산개발이 되도록 기본적인 방향과 개념을 갖도록 하여 관련 정책을 계획적이고, 체계적으로 수립 일관성 있게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 PDF

국내 광산업체 2006년 현황 및 2007년 전망

  • Korea Association for Photonics Industry Development
    • Photonics industry news
    • /
    • s.38
    • /
    • pp.16-19
    • /
    • 2007
  • 2006년 국내 광산업시장은 전 세계적인 초고속인터넷망 및 FTTH 관련 서비스 확충에 따라 광통신 부품 업체의 호황과 아울러 휴대폰 부품시장, 반도체 광원(LED)분야의 전체적인 수출 및 내수시장규모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해외 원자재 구매 증가로 인해 수입 비율이 증가하고 반면 수출은 엔화, 달러 환율의 지속적인 하락에 영향을 받아 마이너스 성장한 분야도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광산업클러스터가 구성된 광주의 지역내 총생산은 2003년을 기준으로 하여 15조 7,229억 원으로 전국 비중은 2.2%를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열악하고 재정자립도도 6개 광역시 중에서 하위를 기록하고 있었으며 취업자 기준 산업구조도 서비스업이 80%정도를 차지할 정도로 구조적인 취약점을 안고 있었다. 이와 같은 광주경제의 어려운 상황을 근본적으로 타개하기 위하여 광주광역시가 21세기 최대의 유망산업인 광산업 육성 계획을 수립해 제시한 결과, 중앙정부 차원에서 광산업 육성 및 집적화 계획 1단계 사업(2000년~2003년)이 성공적으로 마무리 되고 현재는 2단계 사업(2004년~2008년)이 추진 중이다. 따라서 현시점에서 광산업 육성 성과를 판단할 수 있는 지표로 광주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광산업체의 증가수와 매출액 등에 대하여 한국광산업진흥회에서 2006년 12월에 전수조사 하였다.

  • PDF

Heavy Metal Contents of the Surface Water and Stream Sedi-ments from the Talc Mine Area, Western Part of Chungneam (충남 서부 활석광산 주변의 지표수 및 하상 퇴적물의 중금속 함량)

  • 송석환;김명희;민일식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5 no.2
    • /
    • pp.139-152
    • /
    • 2001
  • 충남 서부 활석광산 주변의 수계에 대한 원소 함량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대흥 및 광천광산에 대해 수질 및 하상 퇴적물 시료와 함께 광산 주변 토양 및 모암 시료를 채취, 비교하였다. 대흥지역 퇴적물은 대부분 원소에서 SP가 GN에 비해 높았는데 이는 퇴적물 내 유색 및 무색광물 함량 차이로 판단된다. 절대 함량 비교에서 광물 결정구조 내 쉽게 Mg와 치환하는 원소는 낮은비율을, Fe와 치환하는 원소는 높은 비율을 보였는데 이는 퇴적물 내 주 구성광물내 원소 치환특성을 반영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절대 함량의 감소 순서와 타원소들과 높은 상관관계(>0.85)의 빈도를 보이는 원소들 사이의 차이는 퇴적물 화학조성에 이차광물과 비정질 광물등의 조성도 반영되었음을 암시한다. 대흥지역 지표수는 대부분 원소에서 MSP가 SP와 GN의 중간값을, MSG는 LGN과 MSP의 중간값을 조여 수계의 혼합특성을반영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절대 함량관계에서는 SP는 GW1과 유사했고, GN은 LGN과 유사했으며, 절대함량은(Mg, Fe), (As, Sc), (Mo, V, Se) 순서로 낮아졌다. 광천지역은 갱내수가 천부 지하수에 비해 대부분 원소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는데, 이는 갱내수가 더욱더 많은 물-암석반응을 거친 때문으로 판단된다. 절대 함량은 Mg, Br, Fe, (Sc, Cr), (An, Ni, V)순서로 감소하였다. 갱냉수의 지역간 원소 함량 차이는 사문암화가 우세한 광천지역과 활석화가 우세한 대흥지역 모암들 사이의물-암석 상화반응의 차이를 보여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두 지역의 상부 토양 및 모암 조성에서 SP가 GN에 비해 높은 Mg 비, Ni, Cr, Co 등 함량을 보였는데, 이는 사문암 지역 내 Mg, Ni, Cr 등이 풍부한 광물들 탓으로 판단된다. 퇴적물과 수질 사이에서는 함량 경향을 뚜렷하지 않았고 원소에 따라 서로 다른 힘량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퇴적물 원소 함량이 수계 조성을 반영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낸다. 상부-토양-암석-수계의 조성관계에서 대흥지역 지표수 중 SP 조성이, 광천지역은 갱냉수가 지하수의 조성에 가까웠다.

  • PDF

Suitability Assessment for Agriculture of Soils Adjacent to Abandoned Mining Areas Using Different Human Risk Assessment Models (인체 위해성평가 모델을 이용한 폐광산 주변 농경지 적합성 평가)

  • Lee, Jun-Su;Kim, Young-Nam;Kim, Kye-Hoon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3 no.5
    • /
    • pp.674-683
    • /
    • 2010
  • The current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agricultural suitability of the cultivated upland nearby abandoned mining areas in Korea using three different scientific risk assessment models of Korea, USA and UK. For this, three mining sites DM, MG and KS were selected among 687 abandoned mines through preliminary risk assessment. A wide range of parameters were obtained through analysis of both soil and crop samples from the selected areas for heavy metal concentration and questionnaires to the communities along with the selected mining sites. Heavy metal concentration in soil samples was lower than the values previously repor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02). However, both As and Cd concentration in the soil samples exceeded the concern level for agricultural area of the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Judging from the contaminant criteria for the crops, only Zn level in pepper, soybean and corn from the mining area DM exceeded the criteria whereas As, Cd, $Cr^{6+}$, Cu, Hg, Ni, Pb did not exceed the criteria. It was demonstrated that there would be human health risk by Pb accumulated in crops from both mining areas MG and KS when estimated by the risk assessment models of Korea and USA. Against it, results of the risk assessment model of UK showed human health risk by Pb in the crops from all study areas.

Risk Assessment of Heavy Metals in the Vicinity of the Abandoned Metal Mine Areas (폐금속광산지역 중금속의 위해성 평가)

  • Lee, Jin-Soo;Kwon, Hyun-Ho;Shim, Yon-Sik;Kim, Tae-Heok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12 no.1
    • /
    • pp.97-102
    • /
    • 2007
  • An environmental survey from three abandoned metal mine areas was undertaken on to assess the risk of adverse health effects on human exposure to heavy metals influenced by past mining activities. Tailings contained high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may have a impact on soils and waters around the tailing piles. In order to perform the human risk assessment, chemical analysis data of soils, rice grains and waters for As, Cd, Cu and Pb have been used. The HQ values for heavy metals via the rice consump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with other exposure pathways in all metal mine areas. The resulting HI values in three mine areas were higher than 9.0, and their toxic risk due to rice ingestion was strong in these mine areas. The cancer risk of being exposed to As by the rice consumption from the A, B and C mine areas was $5.1\;{\times}\;10^{-3}$, $6.8\;{\times}\;10^{-3}$ and $3.1\;{\times}\;10^{-3}$, respectively. The As cancer risk via the exposure pathway of rice ingestion from these mine areas exceeds the acceptable risk of 1 in 10,000 set for regulatory purposes. Thus, the daily intakes of rice by the local residents from these mine areas can pose a potential health threat if exposed by long-term As exposure.

Chemical Speciation of Arsenic in the Water System from Some Abandoned Au-Ag Mines in Korea (국내 폐금은광산 주변 수계내의 As의 화학적 특성)

  • 이지민;이진수;전효택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36 no.6
    • /
    • pp.481-490
    • /
    • 2003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1) to determine the extent and degree of As contamination of the water and sediments influenced by mining activity of the abandoned Au-Ag mines, (2) to examine As speciation In contaminated water, (3) to monitor variation of As contamination in water system throughout the dry and wet seasons, and (4) to investigate the As chemical form in the sediments through the sequential extraction analyses. Natural water(mine water,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and sediments were collected in six abandoned Au-Ag mine(Au-bearing quartz veins) areas. The contamination level of As in mine water of the Dongil(524${\mu}m$/L) is more higher than the tolerance level(500 ${\mu}m$/L) for waste water of mine area in Korea. Elevated levels of As in stream water were also found in the Dongil(range of 63.7∼117.6 ${\mu}m$/L.) and Gubong(range of 56.1∼62.9 ${\mu}m$/L) mine areas. Arsenic contamination levels in groundwater used by drinking water were more significant in the Dongil(11.3∼63.5 ${\mu}m$/L), Okdong(0.2∼68.9 ${\mu}m$/L) and Gubong(2.0∼101.0${\mu}m$/L) mine areas. Arsenate[As(V), $H_2AsO_4^-$] is more dominant than arsenite[As(III), $H_3AsO_3$] in water system of the most mine areas. The concentration ratios of As(III) to As(total), however, extend to the 95% in stream water of the Okdong mine area and 70∼82% in groundwater of the Okdong and Dongjung mine areas. As a study of seasonal variation in the water system, relatively high levels of As from the dongil mine area were found in April rather than in September. Sequential extraction analysis showed that As was predominantly present as coprecipitated with Fe hydroxides from sediment samples of the Dongjung and Gubong mine(35.9∼40.5%), which indicates its possibility of re-extraction and inducing elevated contamination of As in the reductive condition. In sediments from the Dongil, Okdong and Hwachon mine area, high percentage(55.2∼83.4%) of As sulfide form was found.

A Study on the Interpretation of Cultural Landscape Value - Focusing on Urban-rural Complex Area, Gwangsan-gu - (광산지역 문화경관자원의 가치 해석에 관한 연구 - 도농복합지역을 중심으로-)

  • Park, Ik So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 /
    • v.14 no.4
    • /
    • pp.125-133
    • /
    • 2012
  • This study intended to interpretate the current value of the cultural landscape resources in Gwansan region, Gwangju-si. The 35 significant cultural landscape resources in Gwangsan region appear education, people in history, living residence, religion & belief, distribution of cultural site, tomb, industry, topographic scenery characteristics. They are classified such as 22 traditional landscape resources, 7 modern landscape resources, 6 natural landscape resources. The significant cultural landscape resources were evaluated by value items of 4 natural landscape, 4 social, and 5 cultural. As a result of value evaluation on the cultural landscape resources in Gwangsan region, the highest value were appeared on the cultural items, while the lowest value were appeared on the social items. And high evaluation were appeared on regional identity, cultural preservation, regional monumentality, visibility, while low evaluation were appeared on unique naturality and connectivity of assets.

A Case Study of Site Investigation and Ground Stability Analysis for Diagnosis of Subsidence Occurrence in Limestone Mine (석회석 광산 지역의 지반침하 원인 규명을 위한 현장조사와 지반 안정성 분석 사례)

  • Lee, Seung-Joong;Kim, Byung-Ryeol;Choi, Sung-Oong;Oh, Seok-Hoon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25 no.4
    • /
    • pp.332-340
    • /
    • 2015
  • Ground subsidence occurring in mine area can cause an enormous damage of loss of lives and properties, and a systematic survey should be conducted a series of field investigation and ground stability analysis in subsidence area. This study describes the results from field investigation and ground stability analysis in a limestone mine located in Cheongwon-gun, Chungcheongbuk-do, Korea. Rock mechanical measurements and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s are applied to obtain the characteristics of in-situ rock masses and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subsurface weak zone, and their results are extrapolated in numerical analysis. From the field investigation and stability analysis, it is concluded that the subsidence occurrence in this limestone mine is caused mainly by subsurface limestone ca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