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광범위절제

Search Result 266,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Primary Leiomyosarcoma of the Submandibular Gland (악하선에 발생한 평활근육종)

  • Lee, Dong Hoon;Kim, Young;Lee, Jae Woon;Lee, Joon Kyoo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29 no.2
    • /
    • pp.51-53
    • /
    • 2013
  • 평활근육종은 주로 사지와 몸통에 주로 발생하며, 악하선의 원발성 평활근육종은 매우 드물다. 악하선의 원발성 평활근육종은 증상과 방사선 검사 모두에서 비특이적이며, 치료는 광범위 절제술이다. 최근 저자들은 악하선에 발생한 원발성 평활근육종을 광범위 적출술을 시행한 후에 술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여 치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악하선의 평활근육종은 드물지만, 방사선 검사에서 경계가 분명하고 조영 증강이 잘되며, 세침흡입검사에서 방추세포가 발견될 경우에 감별 진단으로 고려해야 한다.

영구 기공협착(tracheal stenosis)의 치료

  • 최종욱;김혜정;석윤식;박호정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95.04a
    • /
    • pp.91.1-91
    • /
    • 1995
  • 후두 또는 하인두 암종에 대한 광범위 절제 후 효율적인 호흡을 위하여 영구기공(permanant tracheostome)을 만들어 주게 되는데,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기공 협착이 발생하면 가피형성, 혈담, 호흡곤란 등을 초래하게 된다. 현재까지 기공협착의 치료는 Z형 성형술, 국소 스테로이드요법, 스텐트 삽입법 등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으나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는데 한계가 많았다. 이러한 기공협착의 치료에 도움을 얻고자, 저자들이 경험한 12례의 기공협착 환자에 대하여 기관전진점막피판(tracheal advancement flap)을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치료하였기에 요약 보고하고자 한다.

  • PDF

Radical Thymectomy in the Treatment of Myasthenia Gravis (중증 근무력증의 치료에 있어서 종격동내 조직의 광범위 절제술)

  • 손영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22 no.5
    • /
    • pp.806-810
    • /
    • 1989
  • There has been arguing in the proper surgical treatment of myasthenia gravis. But the ultimate goal of operation is complete removal of thymic tissues. In view of previous surgical-anatomic studies that there are frequently thymic tissues from the level of thyroid gland to the diaphragm and from hilum to hilum, en bloc resection of thymus, mediastinal fat including both sheets of pleura and pericardium is reasonable. We experienced four myasthenic patients with radical thymectomy from 1989. As compared to the result of previous simple thymectomy group, the 23 patients who were operated from 1976 to 1988[Group I ], excellent surgical outcome was obtained in radical thymectomy group[Group II ].

  • PDF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in the Soft-tissue Sarcoma (연부 조직 육종의 수술 후 방사선 치료 결과)

  • Kim Yeon Shil;Jang Hong Seok;Yoon Sei Chul;Ryu Mi Ryeong;Kay Chul Seung;Chung Su Mi;Kim Hoon Kyo;Kang Yong Koo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v.16 no.4
    • /
    • pp.485-495
    • /
    • 1998
  • Purpose : The major goal of the therapy in the soft tissue sarcoma is to control both local and distant tumor. However, the technique of obtaining local control has changed significantly over the past few decades from more aggressive surgery to combined therapy including conservative surgery and radiation and/or chemotherapy.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treatment results of the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of soft tissue sarcoma and its prognostic factor. Materials and Methods : Between March 1983 and June 1994, 50 patients with soft tissue sarcoma were treated with surgery and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at Kang-Nam St. Mary's hospital. Complete follow up was possible for all patients with median follow up duration 50 months (range 6-162 months). There were 28 male and 32 female patients. Their age ranged from 6 to 83 with a median of 44 years. Extremity (58$\%$) was the most frequent site of occurrence followed by trunk (20$\%$) and head and neck (12$\%$). Histologically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23$\%$), liposarcoma (17$\%$), malignant schwannoma (12$\%$) constitute 52$\%$ of the patients. Daily radiation therapy designed to treat all areas at a risk for tumor spread upto dose of 4500-5000 cGy. A shrinking field technique was then used and total 55-65 Gy was delivered to tumor bed. Twenty-five patients (42$\%$) received chemotherapy with various regimen in the postoperative period. Results : Total 41 patients failed either with local recurrence or with distant metastasis. There were 29 patients (48$\%$) of local recurrence. Four patients (7$\%$) developed simultaneous local recurrence and distant metastasis and 8 patients (13$\%$) developed only distant metastasis. Local recurrence rate was rather higher than of other reported series. This study included patients of gross residual, recurrent cases after previous operation, trunk and head and neck Primary This feature is likely explanation for the decreased local control rate. Five of 29 Patients who failed only locally were salvaged by re-excision and/or re-irradiation and remained free of disease. Factors affecting local control include histologic type, grade, stage, extent of operation and surgical margin involvement, lymph node metastasis (p<0.05). All 21 patients who failed distantly are dead with progressive disease at the time of this report. Our overall survival results are similar to those of larger series. Actuarial 5 year overall survival and disease free survival were 60.4 $\%$, 30.6$\%$ respectively. Grade, stage (being close association with grade), residual disease (negative margin, microscopic, gross) were significant as a predictor of survival in our series (p<0.05). Conclusion : Combined surgery and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obtained 5 year survival rate comparable to that of radical surgery.

  • PDF

Massive Rotator Cuff Tear Repair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의 봉합술)

  • Shin, Sang-Jin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v.13 no.1
    • /
    • pp.167-174
    • /
    • 2010
  • Purpose: Anatomical repair of massive rotator cuff tear has been technically challenging because of medial retraction, muscle atrophy and fatty degeneration. Among several treatment options for massive rotator cuff tear, we reviewed rotator cuff repairs and investigated modalities for improvement of clinical outcomes, decreasing the re-tear rate, and increasing healing.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related factors and rotator cuff-related factors were the two major groups of factors we considered when choosing a treatment plan. Results: Mobilization of a massive rotator cuff tear was increased by soft tissue release and by the interval slide technique. After meticulous soft tissue release, anatomical repair could be achieved. If the injury was not amenable to anatomical repair, alternative treatment options such as partial repair, the margin convergence technique and augmentation with a tenotomized biceps tendon were considered. Many reports of massive rotator cuff repair demonstrated satisfactory clinical outcomes, decreased pain, recovery of shoulder functions, and increases in muscle strength. However, the re-tear rate had been reported to be relatively high in long-term follow-up. Conclusion: Despite a high re-tear rate after massive rotator cuff repai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athogenesis, progression and clinical symptoms of massive rotator cuff tear and improved surgical materials and techniques will lead to satisfactory clinical outcomes.

하부 기관개구창 재건을 위한 대흉근 피판의 이용

  • 김진환;노영수;안회영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2003.09a
    • /
    • pp.109-109
    • /
    • 2003
  • 성문 하방으로 진행된 후두암이나 하인두암, 기관의 침범이 있는 갑상선암 혹은 기공주변 재발암 등의 경우에 적절한 절제연을 얻기 위하여 상부기관륜 일부의 절제가 불가피하며 이때 만들어지는 영구 기관개구창은 일반적인 기관개구창에 비하여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보다 하부로의 기관 절제가 필요한 경우 기관과 주위 피부와의 봉합이 힘들고 경우에 따라서는 종격동 기관개구창을 만들어야 할 경우도 있다. 그리고 기관주위의 림프절이나 상부종격동 림프절 청소술을 병행한 경우나 후두전절제술 후 인두피부누공에 의한 창상감염이 생긴 경우, 기관주위 조직의 제거 후에 노출된 중요혈관의 보호와 광범위하게 제거된 결손부위를 덮기 위해 재건이 필요하게 된다. 대흉근피판은 혈관경이 일정하고 혈액 공급이 풍부하여 감염이 있거나 재건 후 감염을 방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피판 경의 길이가 대부분의 두경부 부위에 도달할수 있을 정도로 길고 근육의 부피가 충분하여 결손부위가 넓은 경우에 유용한 장점이 있다. 특히 종격동 림프절 청소술 후에나 하부 기관공의 재건을 위하여서는 한 수술시야에서 시행할 수 있는 인접한 부위 근피판 이라는 장점이 있고 필요시에는 이중도서(double-island) 형태로 접어서 이중피판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피부이식과 병용하면 경부 피부의 재건도 동시에 시행할 수 있다. 저자들은 광범위한 기관륜의 제거 후 영구 기관개구창이 경부 하방이나 흥부 상부에 위치하게 되어 안쪽으로 말려들어가는 기관개구창 주변부위와 기관주위 결손 부위의 재건, 그리고 무명 동맥 등의 중요 구조물의 보호를 위해 사용된 대흉근 피판의 여러 작도법(design)과 응용, 결과를 종합하여 하부 기관개구창 재건에 있어 대흉근피판의 유용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이용하여 향후 전개될 홈 네트워크 서비스 및 관련시장의 발전 방향을 전망해 보고 이에 따른 기업이나 정부차원의 대응전략을 파악하고자 한다.육구에서는 큰 변화를 나타내고 있지 않았다(p<0.05). 운동과 비운동시킨 참돔의 지질 함량의 변화는 운동시킨 참돔은 운동으로 인한 에너지 소비로 인하여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했으며(r=-0.35), 비운동사육구에서는 절식으로 인하여 지질함량이 감소하였다(r=-0.38). 파괴강도와 가장 밀접한 영향을 가지는 콜라겐은 운동과 비운동 모두 사육기간동안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초기의 파괴강도값은 1.45±0.02kg(운동사육구), 1.36±0.18kg(비운동사육구)이였으며 사육기간동안 운동사육구는 파괴강도값이 증가한 반면, 비운동수조에서는 참돔의 파괴강도는 사육기간동안 큰 유의차가 없었다. 각 성분간의 상관도를 살펴보면, 수분함량과 파괴강도는 상관성을 가졌으며, 지질함량과 파괴강도도 같은 경향은 나타내었다. 운동기간동안의 파괴강도와 콜라겐 사이에는 상관성의 거의 없었다. 이는 운동기간에 따른 파괴강도의 증가가 콜라겐의 함량의 증가보다는 지질함량의 감소와 수분함량의 증가와 같은 성분과의 상관성이 크다고 판단된다. 다음으로는, 운동횟수에 의한 영향으로써 운동시간을 1일 6시간으로 설정하여, 운동횟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오전, 오후에 각 3시간씩 운동시키는 방법과 오전부터 6시간동안 운동시키는 두 방법을 이용하여 품질을 비교하였다. 각 조건에 따라 운동시킨 참돔의 수분함량을 나타낸 것으로, 2회(오전 3시간, 오후 3시간)에 나누어서 운동시키기 위한 육의 수분함량은 73.37±2.02%를 나타냈으며, 1회(6시간 운동)운동시키기 위한 육은 71.74±1.66%을 나타내

  • PDF

Comparison Between the Costal Cartilage Mounted Autologous Pericardial Patch and the Bovine Pericardial Patch as a Bronchial Substitute for Bronchial Reconstruction in Dogs (개의 기관지 재건을 위한 대치물로서 늑연골편에 고정시킨 자가심낭막과 우심낭편과의 비교)

  • 이해영;박찬범;조건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4 no.5
    • /
    • pp.386-392
    • /
    • 2001
  • 배경: 기관지에 광범위한 협착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에게서 협착된 기관지 이하 부위에 있는 폐를 절제하지 않고 기관지 협착 부위를 교정하여 폐환기를 원할하게 하고자 하는 다양한 술식의 기관지 성형술이 고안시도되어 왔지만 만족할만한 술기는 아직 정립되어 있지 않다. 저자들은 이러한 기관지 협착을 교정하기 위한 술식의 하나로서 기관지 대치물을 이용한 기관 성형술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기관지 대치물로 사용한 두 종류의 첨포에 따라 성숙견을 실험 동물로 하여 두 군으로 분류하였으며 A군(5예)에서는 좌측 주기관지 전측방 부위를 0.5$\times$0.5cm 크기의 직사각형으로 절제한 후 늑연골에 자가 심낭편을 댄 동일한 크기의 첨포를 절제 부위에 부착하였고 B군(5예)에서는 동일한 크기의 기관지 절제 부위에 glutaraldehyde로 처리된 우심낭편을 부착하였다. 첨포를 이용한 기관지 성형술 12주후에 실험견을 도살하고 육안적 및 현미경적으로 관찰하였다. 결과: A군이 기관지 성형술 부위에서는 첨포의 외면은 주위의 결합조직과 막상유착을 이루고 있었으며 첨포의 가장자리는 자가 기관지에 잘 부착되어 있었다. 기관지 내면은 내경의 협착이 없이 윤기 있는 점막으로 잘 유지되어 있었고 자가 기관지와 첨호와의 경계면은 신생육아조직이 일부 차지하고 있었으며 새로운 이행 상피가 가교를 이루고 있는 현미경적 소견을 보았다. B군의 기관지 성형술 부위에서는 첨포의 와부는 암갈색으로 변화된 부분적 괴사의 양상을 보였다. 기관지 내면은 첨포와 가자기관지 경계부위에서 염증성 육아조직과 부분적 출현 양상을 보고 기관지 내경의 일부가 수축되었으며 자가 기관지로부터 첨포내로의 새로운 상피 형성은 되어 있지 않았다. 결론: 늑연골에 자가 심낭편을 댄 첨포는는 자가 기관지와 상피 가교를 형성하고 기관지 내강의 협착이 없이 구조를 유지하므로 기관지 협착 및 결손의 치료를 위한 기관지 성형술시에 기관지 대치물로 사용될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Case of Metastatic Eccrine Porocarcinoma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s (전이성 에크린 한공암종 1예 및 문헌고찰)

  • Lee, Jung-Hwan;Lim, Joo-Han;Kim, Lucia;Kim, Chu-Soo;Yi, Hyeon-Gyu;Nah, So-Yun;Kim, Seong-Hyun;Jeong, Ji-Joong;Lee, Myung-Dong;Ye, Jea-Ho;Lee, Moon-Hee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27 no.2
    • /
    • pp.222-225
    • /
    • 2011
  • 에크린 한공암종은 흔하지 않으며, 전이성 에크린 한공암종은 매우 드문 암이다. 에크린 한공암종은 표피내 한관에서 기원하는 피부 부속기 악성 종양으로, 대부분 에크린 한공암종은 항암치료와 방사선치료에 효과가 없으며, 따라서 유일한 치료방법은 전이되기 전에 국소 및 광범위 절제술을 시행하여야 한다. 본 환자는 두피에 발생한 에크린 한공암종이 점점 진행하여 피부, 림프절, 폐 등으로 전이하였고, 다수의 광범위 절제술에 이어 항암치료와 방사선치료를 받았지만, 결국 폐전이가 악화되어 사망하였다. 본 저자들은 항암치료와 방사선치료에 불응한 에크린 한공암종 1예를 치료에 대한 문헌고찰과 더불어 보고하는 바이다.

Leiomyosarcoma of Small Intestine -Two cases report with literatural review- (소장의 원발성 평활근육종 2예)

  • Chung, Yong-Sik;Suh, Bo-Yang;Kwun, Koing-Bo;Lee, Tae-Sook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v.2 no.1
    • /
    • pp.281-286
    • /
    • 1985
  • Small bowel malignancy consists 1~2 % of overall gastrointestinal tract cancer and leiomyosarcomas of small intestine are 10~20% of small bowel malignancy. Small bowel leiomyosarcomas are rare in incidence and have no specific symptoms, signs or definite radiologic findings, so it is not easy to diagnose at early stage of disease. They are found occasionally by unknown origined gastrointestinal bleeding, abdominal pain, intestinal obstruction, perforation and palpable mass, and diagnosed mostly by operation. Recently annual case reports are increasing trend in Korea. We experienced two cases of small bowel leiomyosarcoma which was diagnosed finally by pathologic findings, so we report them With literatural review.

  • PDF

TWO CASES OF MASSIVE CRANIOFACIAL FIBROUS DYSPLASIA (광범위한 두개안면부 섬유성골이형성증의 치험 2례)

  • Kim, Jong-Ryoul;Chung, Gi-Deon;Kim, Hong-Sik;Kim, Ki-Won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v.18 no.1
    • /
    • pp.61-68
    • /
    • 1996
  • In Fibrous dysplasia(FD) of the jaws, the majority of cases can await the cessation of growth before surgical intervention, and it seems prudent to delay surgery whenever possible until growth has ceased. In craniofacial FD, however, the dangers of dystopia, dystopia and loss of vision may require early surgery to prevent or control cranio-orbital complications. Delaying surgery in those circumstances may be significantly detrimental to such patients. Conservative surgical management of FD is widely practised and we advocate an extension to this conservative treatment by combining surgical recontouring with appropriate osteotomies if indicated, to achieve an optimal esthetic and functional results in craniofacial FD. One case will be presented to illustrate the feasiblility of such combined treatment, to report the uneventful healing of osteotomies in the FD of the jaws, and to demonstrate the use of titanium miniplate fixation in dysplastic bone. The other case had expansile disease of the left facial and fronto-temporal bones and osteolytic change left mandible. This patient complained of severe spontaneous bleeding of left mandibular premolar area and it was suspected as central hemangioma of the left mandible and craniofacial FD. Angiogram disclosed generalized dilation of the external carotid artery and its branches, especially terminal branches of the left facial and inferior alveolar arteries. But no specific abnormalities, such as A-V shunt, venous lake, or early venous drainage, was seen. So it was diagnosed craniofacial FD with hypercellularity and generalized bony recontouring was performed via coronal and transoral approach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