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광고 호감도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4초

방송광고에서 장르의 역할에 대한 기대관점과 활용에 대한 태도가 방송광고 장르에 대한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xpected Perspective on the Role of Genre and Attitude toward Utilizing Genre in Broadcast Ad on the Liking of Broadcast Ad Genre)

  • 김철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491-50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방송광고에 장르 개념을 학제적으로 적용하여 방송광고에서의 장르 역할에 대한 기대관점과 장르 활용에 대한 태도가 소구유형으로서의 방송광고 장르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적으로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 결과, 거시환경적 기대관점과 부정적 태도 간에, 미시실용적 기대관점과 긍정적 태도 간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상황적 기대관점의 소비자는 방송광고에서의 장르 역할에 이중적 태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방송광고에서 장르의 역할에 미시실용적 기대관점을 지닌 소비자는 비교광고와 성표현광고 호감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고, 통합상황적 기대관점을 가진 소비자는 거시환경적 기대관점과 미시실용적 기대관점의 중간적인 호감도를 보였다. 방송광고에서의 장르 활용에 긍정적 태도를 갖고 있는 경우 비교광고와 성표현광고 호감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중적 태도를 가진 소비자의 방송광고 장르 유형에 대한 호감도는 부정적 태도와 긍정적 태도의 중간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스포츠 은퇴 선수들의 광고 스타파워 효과성 검증 (Verification of advertising star power effectiveness of retired sports players in Korea)

  • 신진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42-250
    • /
    • 2024
  • 본 연구는 국내 스포츠 은퇴 선수들의 광고 스타파워 효과성을 검증하여 기업 및 광고 에이전시의 효율적인 광고 모델 전략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했다. 따라서 국내 스포츠 은퇴 선수들이 광고 모델로 선정된 광고를 인지하고 있는 사람들을 표본으로 선정했으며, 206부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적용했다. 자료처리는 SPSS(ver. 21.0) 프로그램으로 빈도 및 신뢰도 분석을 실시했다. 또한 AMOS(ver. 20.0) 프로그램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효과성의 유의성을 검증했다. 연구결과 첫째, 국내 스포츠 은퇴 선수들의 스타파워는 호감도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호감도는 광고 소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타파워는 광고 소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스타파워는 광고 소비행동에 직접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호감도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됐다.

SNS에 게시된 관광지 사진유형에 따른 세대별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Advertising by Generation on the Types of Tourist Attractions Posted on SNS)

  • 임재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7호
    • /
    • pp.71-77
    • /
    • 2021
  •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의 SNS에 게시된 사진을 경험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광고 호감도가 광고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사진유형(인물 유·무)과 세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학인 함으로 지방자치단체의 SNS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2021년 4월 1일부터 4월 16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총 235부를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광고 호감도는 광고효과에 영향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관광객이 포함된 사진이 20대에서 광고호감도가 광고효과에 보다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지방자치단체에서 SNS를 운영함에 있어 관광지에서 관광객의 사진이 게시되도록 함과 더불어 SNS에 가장 많이 접속하는 세대를 파악하고, 그 세대에 맞는 사진을 게시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캘리그래피가 광고의 주목성과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 : 감성과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Use of Calligraphy for Attention and Liking : Focusing on Interaction Effects of Emotion and Involvement)

  • 안희란;신형덕;정태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1-11
    • /
    • 2016
  • 최근 들어 포스터 디자인, 드라마 타이틀, 책표지 디자인, 패키지 디자인 분야에서 캘리그래피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캘리그래피가 인기를 끌고 있는 것은 소비자들의 감성을 자극하여 인쇄체 글자로는 전달하기 어려운 친근하고 부드러운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캘리그래피가 소비자들의 광고 디자인 반응에 미치는 효과에 관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캘리그래피는 소비자들의 광고 디자인에 대한 주목성과 호감도를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감성적인 제품 또는 서비스에서 주목성과 호감도가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예상과 달리 저관여 제품 또는 서비스에서 캘리그래피를 사용할 경우 소비자들의 주목성과 호감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캘리그래피를 무분별하게 사용할 것이 아니라 소비자들의 주목성과 호감도를 높여줄 수 있는 분야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금연공익광고 메시지에 대한 반응 탐구: 호감, 공감, 심리적 저항을 중심으로 (Exploring the Response to the Anti-Smoking Advertisements: Ad Liking, Empathy, and Psychological Resistance)

  • 소현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1호
    • /
    • pp.99-105
    • /
    • 2019
  • 본 연구는 성인남성 30명의 심층인터뷰를 통하여 금연공익광고에 대한 호감, 공감, 심리적 저항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금연공익광고에 대하여 비흡연자는 호감 반응을 나타낸 반면 흡연자는 비호감 반응이 많았다. 또한 4 50대 흡연자의 광고 공감도가 2 30대에 비해 높게 나타나 연령에 따른 광고 공감도의 차이를 보였다. 흡연자들은 금연메시지에 대해 다양한 방식의 심리적 저항을 시도하고 있으며 특히 정보원 폄하를 포함한 정보원에 대한 저항 전략을 주로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금연공익광고의 효과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공익광고캠페인의 호감도와 몰입의 관계에서 자기조절체계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Self-Regulatory System between Ad Liking and Emotional Engagement in Public Service Announcements)

  • 양병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5호
    • /
    • pp.199-206
    • /
    • 2018
  • 본 논문은 공익광고캠페인에서 청중의 호감적 태도와 정서적 몰입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자기조절체계의 효과를 다루었다. 이를 위해 먼저 여러 유형의 정서적 유인가를 지닌 공익캠페인을 자극으로 선정하고 이들 공익캠페인에 대한 평가와 실천의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70명의 대학생이었고 평균 연령은 22.49(SD=3.22)이었다. 연구결과, 공익캠페인에 대한 호감도는 정서적 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정서적 몰입은 다시 캠페인 실천의도에 영향을 주었다. 특히 본 연구결과는 향상 초점 체계는 캠페인에 대한 호감도와 몰입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매개하는 반면, 방어 초점 체계는 호감도와 몰입의 관계를 매개하는 효과가 상대적으로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적 이슈를 설득할 목적의 공익캠페인이 청중에게 성취감과 자기향상의 열망과 같은 긍정적 메시지를 전달할 때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SNS 광고속성이 광고호감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SNS 이용동기 및 이용강도에 따른 차이 비교 (The Impact of SNS Advertising Attribute on Advertising Likeability and Purchase Intention: A Comparison of Difference According to Use Motive and Use Intensity of SNS)

  • 김화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155-163
    • /
    • 2020
  • 본 연구는 SNS 광고에 있어 SNS 이용동기 및 이용강도에 따라 광고속성 요인들이 광고호감도와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우선 SNS 이용동기에 따라 차이를 보여 인간관계 관리의 이용동기 이용자에서는 광고내용의 신뢰성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고 광고의 흥미적 요소인 오락성도 중요 요인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관심사 정보공유의 이용동기 이용자에서는 SNS 이용에 대한 광고의 방해성이 가장 크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상황에서 광고의 정보제공력을 나타내는 정보성이 긍정적인 중요 요인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리고 이용강도에 따라서도 차이를 보여 높은 이용강도의 이용자에서는 광고내용의 신뢰성과 정보성이 보다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낮은 이용강도의 이용자에서는 광고의 방해성이 가장 크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나머지 요인들은 작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SNS의 이용행태 특성에 따른 효과적인 SNS 광고의 중요 요소를 설명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가상광고와 간접광고에 대한 수용자 인식 (Audience Awareness of Virtual Advertising and Product Placement)

  • 이희복;차영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91-102
    • /
    • 2012
  • 국내 광고 산업, 특히 방송광고의 활성화와 콘텐츠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그동안 꾸준히 제기되었던 가상광고와 간접광고가 도입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방송광고의 활성화를 위해 도입한 가상광고와 간접광고의 도입 배경과 현황을 살펴보고 가상광고와 간접광고 제도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그리고 개선점과 과제는 어떤 것이 있는지 논해보고자 한다. 또한 광고수용자인 일반 소비자의 인식은 어떠한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수용자들은 가상광고와 간접광고에 대한 인식이 높았으며, 다른 광고에 비해 긍정적 인식이 높으며, 높은 신뢰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상광고와 간접광고에 대한 주목도가 높고, 호감도가 높으며, 설득적이라고 응답하였다. 이는 학계와 업계 모두에게 중요한 문제일 뿐 아니라 향후 가상광고와 간접광고제도의 정책수립 및 방송광고 산업 진흥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할 것으로 기대된다.

직접적 섹스어필광고와 은유적 섹스어필광고의 비교분석 -언더웨어 브랜드를 중심으로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Direct Sex Appeal Advertisements and Metaphorical Sex Appeal Advertisements)

  • 박영원;노현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09-118
    • /
    • 2014
  • 본 연구는 언더웨어 브랜드 광고를 직접적 섹스어필 광고와 은유적 섹스어필 광고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을 시도하였다. 섹스어필 광고 표현의 차이에 따른, 광고태도,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를 성별, 디자인 전공 여부를 중심으로 통계 분석하여 효과적인 광고 표현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언더웨어 브랜드의 특성상 직접적 섹스어필 광고가 여성에게 효과가 높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또한 은유적 섹스어필 광고에 대해 남성이 광고 태도 및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에 높은 호감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디자인 전공 여부에 따라서는 직접적 섹스어필 광고와 은유적 섹스어필 광고 선호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언더웨어 광고에서 직접적 섹스어필 광고의 경우 섹스어필이 상품의 이미지와 조화될 때 여성에게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남성은 언더웨어 브랜드광고에서 은유적 섹스어필 표현에 관심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배너광고 click과 연결된 목표광고에 대한 태도의 상표태도와 구매의도에 대한 영향 연구 (Effects of Banner Clicking and Attitude toward the Linked Target Ads on Brand-Attitude and Purchase-Intention Changes)

  • Cho, Chang-Hoan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4권
    • /
    • pp.1-16
    • /
    • 2004
  • 본 논문은 배너광고에 대한 노출과 click이 상표태도와 구매의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배너광고에 대한 단순한 노출은 초기 상표태도와 구매의도를 변화시키지 못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반면에 배너광고를 click함으로써 발생하는 자주적 노출은 배너광고와 연결된 목표광고의 호감도에 따라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상표태도와 구매의도 변화를 유발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사전, 사후 테스트 통제집단 실험설계를 사용하였다. Cold Fusion on-line 자료수집 방법이 사용되었다. 961 명 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