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광고 만족도

검색결과 171건 처리시간 0.023초

모바일 광고의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Acceptance Intention for Mobile Ads.)

  • 유상진;;김효정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9권1호
    • /
    • pp.1-21
    • /
    • 2007
  • 본 연구는 모바일 사용자의 모바일 광고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정보기술수용에 대한 연구인 Davis, Bagozzi, & Warshaw(1989)의 TAM모형과, 소비자의 개인차 변인으로 주목 받고 있는 Hoffman, & Novak(1996) 등에 의해 확장 연구된 플로우(flow) 이론, 그리고 웹에서의 광고 가치에 대한 연구인 Ducoffe(1996)의 연구 등을 토대로 모바일 광고의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이론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문헌들을 토대로 오락성, 정보성, 불편함, 신뢰성, 플로우경험 등을 독립변수로 태도 및 수용의도를 조절변수 및 종속변수로 채택하여 모바일 광고 수용의도에 대한 새로운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본 모형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고 구조방정식을 통한 본 모형의 적합지수를 확인해 보았다. 연구결과 본 모형은 수렴타당성 및 판별타당성을 확보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구조방정식을 통한 구조모델의 검정 결과 보수적인 평가 기준으로 삼는 지표들과 비교할 때 만족한 수준은 아니지만, 본 연구의 탐색적 성격을 감안할 때 본 모형은 전반적으로 만족스러운 평가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탐색적 연구의 한계를 가진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모바일 광고플랫폼의 광고효과 연구: 광고특성, 매체특성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Mobile Advertising Platform through Big Data Analytics: Focusing on Advertising, and Media Characteristics)

  • 배성덕;박도형
    • 지능정보연구
    • /
    • 제24권2호
    • /
    • pp.37-57
    • /
    • 2018
  • 최근 스마트폰의 확산에 힘입어 유용한 광고 매체로서 모바일 미디어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모바일 미디어는 소비자들에게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시간으로 상호작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존 광고매체들과는 차별화된 장점을 가진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그 동안 모바일 광고 연구들은 모바일 광고에 대한 만족도, 수용도 등을 서베이를 토대로 분석한 연구와 모바일 광고 메시지 수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중점적으로 탐구한 연구, 실험연구를 통해서 모바일 광고가 브랜드 회상, 광고태도, 브랜드 태도 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실증데이터를 통한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상용서비스 중인 모바일 광고플랫폼을 기반으로 광고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광고주, 광고플랫폼, 퍼블리셔 관점에서 광고특성, 매체특성을 정의하고 각 특성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각 특성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모바일 광고의 광고특성인 광고규격과 쾌락적, 실용적으로 구별한 매체 특성이 광고효과에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서로간의 상호작용 효과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모바일 광고 업무 시 광고상품에 맞는 광고소재 제작 및 매체계획 등 광고효과에 최적화된 광고전략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방송사의 소유와 재원 구조 차이에 따른 기자의 자율성 인식 비교 : 자원의존이론을 중심으로 (Comparative study on the Differences of Broadcast Journalists' Perception on Work Autonomy by Ownership and Revenue Structure)

  • 배정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148-159
    • /
    • 2018
  • 본 연구는 자원의존이론에 근거해 방송사의 소유구조(공영/민영)와 재원구조(고광고 의존/저광고 의존)가 기자들이 느끼는 취재보도의 자유도와 언론자유를 제약하는 주된 요인, 직무의 자율성 만족도, 편집 편성 정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방송사 기자에 대한 인식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확인했다. 그 결과 방송사의 소유구조와 재원구조는 모두 기자들이 느끼는 취재 및 보도의 자유도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자율성에 대한 만족도는 재원구조만 영향을 미쳤고, 회사의 편집 편성 정책에 대한 만족도와 언론 자유를 제약하는 요인에 대한 인식은 소유구조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같은 결과는 광고수익 의존도가 기자들의 취재보도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공영방송은 정부나 정치권력과 광고수익 의존도가 동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 Study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Cognition of Viral Video

  • Lee, Yong-Wh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7호
    • /
    • pp.65-73
    • /
    • 2020
  • 바이럴 영상광고는 광고 및 영화산업에서 특정제품이나 개봉전 영화에 대한 사전 홍보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투자 대비 많은 효과를 내고 있다. 향후 발전 방향을 예측해 보려면 바이럴 영상 인식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광고나 영화를 가장 많이 접하는 연령층인 20대 대학생 118명에 대한 바이럴 영상 설문조사를 하였다. 이를 통해 바이럴 영상에 대한 인지 여부, 기억에 남는 바이럴 영상, 만족도, 메시지 전파여부, 전파 방식, 바이럴 영상에 대한 긍정도, 향후 발전 예상, 희망하는 바이럴 영상 유형 등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 결과 바이럴 영상 인지도는 16.7%로 나타났고, 가장 기억에 남는 바이럴 영상으로 "겨울왕국" 영화의 "Let it Go" 영상이 설문조사 결과 69.1%로 나타났다. 바이럴 영상에 대한 만족도는 31.2%로 높지 않았으며, 바이럴영상을 시청한 후 타인에게 메시지를 전달한 경우는 73.5%로 높게 나타났다. 바이럴 영상에 대한 부정적 의견은 13.7%로 낮게 나타났으며, 바이럴 영상 분야가 64.5%는 "발전할 것이다"라고 답하였고, 6.7%는 "발전하지 못할 것이다"라고 답하였다.

광고콘텐츠의 기호분석 (Advertising Contents based on Semiotic Methodology)

  • 김경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87-93
    • /
    • 2015
  • 광고에 대한 접근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설명된다. 즉, 마케팅 관점과 커뮤니케이션 관점이다. 광고학자 오조(Ozoh, 1998)는 광고가 마케팅의 도구라는 관점과 광고가 커뮤니케이션 과정이라는 관점으로 구분해 논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두 가지 관점은 광고의 메시지가 어떤 내용과 형태로 구성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다양한 논쟁을 제시하기도 한다. 광고는 기본적으로 광고주로부터 소비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을 포함하고, 다시 피드백을 받는 설득의 커뮤니케이션 과정에 속한다고 본다. 그러나 이 두 범주가 보여주는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기업의 브랜드가치를 측정하는 문화코드의 개념에서는 상호 보완의 기능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 두 관점을 양적 소구와 질적 소구로 분류한 뒤, 광고 텍스트의 소구방법으로 시도되는 스토리텔링 장치를 문화기호학적 관점에서 설명한다. 즉 상품의 의미가치가 상품에 대한 사용가치로 표출되어 소비자들의 욕구충족을 어떻게 만족시키고 있는가를 기호화 과정으로 분석한다. 분석 방법으로는, 그레마스의 의미생성모델을 실제 사례로서 커피광고에 적용시켜본 뒤, 프랑스 커피 광고와 한국의 커피 광고의 차별화 전략의 상이점을 기호학적 관점에서 분석해 보고자 한다.

공항 서비스 향상을 위한 지능형 연령인식 디지털 사이니지 연구 (A study on the smart digital signage using age recognition for the airport service improvement)

  • 이동우;고규천;김춘호;최우영;나종화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526-535
    • /
    • 2012
  • 공항의 디지털 사이니지는 탑승객에게 비행정보 및 공항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하여 공항의 업무 효율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지금의 디지털 사이니지는 한 가지 광고물을 고객이 누구이든 가리지 않고 일방적으로 정보를 표출함으로서 비효율적인 문제를 갖고 있다. 이러한 비효율성의 문제는 고객의 상황정보를 추출하여 그 고객에 적합한 맞춤형 정보를 제시하는 기능을 보유한 스마트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객의 여러 종류의 상황정보들 중에서 연령 정보를 인식하는 기능을 보유한 연령인식 스마트 디지털 사이니지에 대한 연구를 보고한다. 연령인식 스마트 디지털 사이니지는 전방의 고객을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고객의 연령대를 추정하여 각 연령대에 맞는 광고를 송출하는 시스템이다. 지능형 디지털 사이니지는 원격지에 있는 관리서버에 의해 통제 관리된다. 또한 광고 효과 분석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고객의 광고에 대한 집중도를 분석하여 광고 효과 향상에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디지털 사이니지는 고객이 감동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 만족도, 항공사 및 공항의 업무 효율이 향상 될 것으로 사료된다.

사용자 프로파일 기반의 맞춤형 광고 서비스 및 양방향 개인 맞춤형 방송 시스템 구축 (The Development of the Bi-directionally Personalized Broadcasting and the Targeting Advertisement System Based on the User Profile Techniques)

  • 신사임;이종설;장세진;이석필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632-641
    • /
    • 2010
  • 본 논문은 양방향 개인 맞춤형 방송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이다. 맞춤형 방송이란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만을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볼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양방향 방송 서비스는 사용자의 방송단말과 방송 서버 사이의 양방향 데이터 전송을 허용하여 만족도 높고 개인화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는 양방향 맞춤형 방송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프로파일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은 맞춤형 방송 서비스를 위한 표준인 TV-Anytime에서 제안하고 있는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 프로파일과 콘텐츠 데이터 및 맞춤형 광고 서비스를 포함한 맞춤형 방송의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여 양방향 데이터 전송까지 지원하고 있다. 구축된 양방향 맞춤형 방송 시스템은 사용자 프로파일을 통하여 개인 별로 선호하는 방송 콘텐츠 및 광고를 추천 및 지원하여 사용자의 시청 만족도를 높였으며, 기존의 방송과 차별화된 지능적인 방송 서비스의 지원으로 사용자의 만족도를 증가시켰다.

브랜디드 콘텐츠 특성이 수용자 효과에 미치는 영향: 이용만족, 공유의도, 지속적 이용의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Branded Contents on Consumers: Focused on User Satisfaction, Sharing Intention, and Intention for Continuous Use)

  • 임유명;오영선;염동섭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6호
    • /
    • pp.59-67
    • /
    • 2019
  • 본 연구는 브랜디드 콘텐츠에 대한 특성이 수용자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남, 여 대학생 286명의 설문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브랜디드 콘텐츠 이용만족에는 오락성, 공감성, 창의성, 간접성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브랜디드 콘텐츠의 공유의도와 지속적 이용의도에는 오락성만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브랜디드 콘텐츠 특성 5가지 중 정보성 요인은 이용만족, 공유의도, 지속적 이용의도와 같은 수용자 효과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브랜디드 콘텐츠에 대한 이용자들의 행태를 이해함으로써 이용자들의 욕구에 부합하고 편의에 맞는 양질의 콘텐츠 개발을 위한 유용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고, 관련 연구의 확장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온라인 검색서비스의 검색 결과 이용 경험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ffect of the Search Results User's Experience of Online Search Service on Satisfaction)

  • 채정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202-211
    • /
    • 2020
  • 본 연구는 온라인 검색서비스 이용자들이 검색 결과를 이용하면서 경험하는 문제적 요소들이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주이용 검색 결과 유형별로 살펴보았다. 조사 결과, 통합검색 결과 중 특정서비스 영역의 검색 결과 이용시 부정적 경험이 가장 많은데, 이는 이용률이 가장 낮은 검색 결과 유형이라는 점과도 무관하지 않다. 특히 이용자들은 특정서비스 영역의 검색 결과에서 광고성 정보 및 가치 없는 또는 유용성이 낮은 정보를 접하게 되는 경우가 많으며, 정보의 부정확성, 편향성, 개인정보유출 경험도 상대적으로 다른 검색 결과보다는 높은 편으로 조사되었다. 온라인 검색서비스의 검색 결과 유형별 만족도는 검색 결과의 흥미성에서만 차이를 보이고, 그 외 만족도 요인은 검색 결과 유형별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검색 결과 유형별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이용 경험 요인을 살펴보면, 검색광고 등 추천 웹사이트와 검색광고를 제외한 일반통합 검색 결과의 경우 정확한 정보가 제공될수록 검색 결과에 대한 만족도를 증가시키며, 일반 통합 검색 결과의 경우는 가치 및 유용성이 높은 정보 제공도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온라인 검색서비스 사업자가 서비스 개선을 위해 가장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할 부분은 정보의 정확성과 정보의 가치 및 유용성 제고에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