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관혈적 정복술 및 내고정술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3초

Sanders 4형 종골 골절에 대한 관혈적 정복술 및 내고정술과 일차성 거골하 관절 유합술의 치료 결과 비교 (Comparative Study of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and Primary Subtalar Arthrodesis for Sanders Type 4 Intra-Articular Calcaneal Fractures)

  • 우승훈;정형진;배서영;김순규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49-58
    • /
    • 2017
  • 목적: Sanders 4형 관절내 종골 골절에 대한 관혈적 정복술 및 내고정술과 일차성 거골하 관절 유합술의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3월부터 2013년 11월까지 Sanders 4형 종골 골절로 진단되어 관혈적 정복술 및 내고정술을 시행한 11예와 일차성 거골하 관절 유합술을 시행한 11예를 비교 분석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34.6개월(18-72개월)이었다. 술 후 6, 12개월 및 최종 추시 시 American Orthopedic Foot and Ankle Society's ankle-hindfoot scale (AOFAS) 점수 및 visual analogue scale pain (VAS) 통증 점수를 측정하였고 환자 만족도, 직장 복귀 여부 및 술 후 합병증을 조사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 시 AOFAS 점수 및 VAS 점수는 양 군 간 의미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p>0.05) 일차성 거골하 관절 유합술을 시행한 군에서 환자의 만족도가 높았다(p=0.008). 관혈적 정복술군에서 증상을 동반한 거골하 관절염으로 이차성 거골하 관절 유합술을 5예(45.5%)에서 시행하였다. 결론: 양 군 간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일차성 거골하 관절 유합술이 술 후 만족도가 높아 빠른 일상 복귀를 필요로 하는 환자 혹은 2차 수술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일차성 거골하 관절 유합술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고령의 상완골 원위부 관절내 분쇄골절의 수술적 치료: 관혈적 정복술 및 내고정술과 일차적 주관절 전치환술의 임상적 결과 (Clinical Outcome after Surgical Treatment of Intra-articular Comminuted Fracture of the Distal Humerus in the Elderly: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Versus Total Elbow Arthroplasty)

  • 김두섭;윤여승;이창호;우주형;나중호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5권2호
    • /
    • pp.130-137
    • /
    • 2012
  • 목적: 골다공증이 있는 노인환자에서 상완골 원위부 관절부위 골절로 관혈적 정복술 및 내고정술과 주관절 전치환술 시행 후 기능적 결과에 대해서 평가 보고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1월부터 2009년 10월까지 상완골 원위부 관절내 골절을 주소로 내원한 65세 이상의 환자 2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8명은 후방 도달법을 이용하여 관혈적 정복술 및 내고정술을 시행하고 (Fig. 1), 6명은 주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였다 (Fig. 2). 평균 추시 기간은 16.3 개월 이였으며 골절형태는 AO 분류로 8명이 C2, 16명이 C3 형태의 골절이였다. 추시 시 모든 환자들은 방사선촬영 및 신체검사를 시행하였고, Mayo 주관절 수행점수, 및 DASH 점수를 이용하여 임상적 결과를 측정하였다. 결과: Group I 18예 모두 골유합 되었으며 골절부터 골유합까지 평균 기간은 14주였다. 합병증으로 2예에서 주두골 절골부위에 불유합이 관찰되었으며 척골신경증상을 보였던 2예 중 1예는 전방이전술에도 불구하고 개선되지 않았다. Mayo 주관절 수행점수는 평균 87.0점이였으며, DASH 점수는 평균 32.4점이였다. 마지막 추시 시에 시행한 이학적 검사에서 굴곡은 평균 121.0도 (95~145도), 굴곡구축은 평균 12도 (0~35)이였다. Group II 6예 모두 추시 기간내 합병증은 없었으며, Mayo 주관절 수행점수는 평균 89.1점 이였으며, DASH 점수는 평균 44.3점이었다. 마지막 추시 시에 시행한 이학적 검사에서 굴곡은 평균 125.1도 (100~145도), 굴곡 구축은 평균 12.6도 (0~30)이였다. 결론: 골다공증을 동반한 고령의 상완골 원위부 관절내 골절 환자에서 적절한 환자 선택시 내고정술 뿐만 아니라 전치환술에서도 단기 추시 시 만족할만한 결과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악 과두 골절의 외과적 처치에 관한 임상적 연구 (CLINICAL STUDY ON SURGICAL MANAGEMENT OF MANDIBULAR CONDYLAR FRACTURES)

  • 민승기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9권2호
    • /
    • pp.167-180
    • /
    • 1997
  • 1993년 1월부터 1995년 12월까지 원광 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에 하악 과두 골절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중 관혈적 정복술 적응증에 해당되는 79명의 환자에 대하여 관혈적 정복술을 시행하였다(이 중 25명은 Dr. 남씨법을 행한 환자임). 평균 환자 나이는 32.5세(8-65세)이었으며 환자 관찰기간은 약 18.4개월(3-28개월)이었다. 62명(81%)에서 편측 과두 골절 양상이었으며, 57명(72%) 환자가 하악골내 다른 부위와 연관되어 골절되었고 이중 47명(59%)에서 정중부와 관련되어 골절되었다. 환자 나이, 골절된 과두의 심한 정도, 임상 증상, 방사선 사진상 등을 통하여 수술 방법을 선택하였으며 과두부 골절이 아닌 경우 대개 골절 부위의 견고 고정 및 근심쪽 과두 골편 제거, 관절 성형술 및 관절원판 정복술, lag screw고정 등을 시행하였다. 술 후 악간 고정은 약 2주 정도 하였으며 이후 수동적 개구 운동 및 능동적 개구 운동을 2에서 4주, 4주이상에서 시행하였다. 술후 방사선학적 관찰시 과두 흡수 및 후방 부위로 근심 과두부 변위 등, 약 21.5%에서 술 후 방사선학적 변화를 가져왔으며 특히 Dr. 남씨법에서 더 많이 나타났다(Dr. 남씨법(32%), 다른 정복술(16%)). 술 후 임상 증상은 19%의 일시적 안면신경 마비, 개구시 하악 변위(16.4%), 악관절 동통(15.2%), 35mm 이하에서의 개구제한(10%), 기타 부정교합, 관절잡음, 가성 관절 강직 등의 합병증을 나타냈으며 이중 Dr. 남씨법에서 더 많은 합병증을 나타냈다. 과두 골절의 와괴적 처치는 가능한 견고 고정을 시행하는 것이 좋으며 이중 Dr. 남씨법은 그 사용에 있어 고려 해 보는 것이 좋다고 사료된다. 특히 과두 골절 처치에 있어 무엇보다도 술 후 계속적인 환자 관리 및 장기간 예후 관찰이 필수적이라 사료된다.

  • PDF

Precontoured Locking Compression Plate를 이용한 전위성 쇄골 간부 골절의 수술적 치료 (Operative Treatment of the Displaced Midshaft Clavicle Fracture Using Precontoured Locking Compression Plate)

  • 김정우;강홍제;노성현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5권2호
    • /
    • pp.117-122
    • /
    • 2012
  • 목적: 전위성 쇄골 간부 골절에서 관혈적 정복술 후 윤곽 성형된 잠김 압박 금속판(precontoured locking compression plate)을 이용하여 내고정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방사선학적 결과 및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여 윤곽 성형된 잠김 압박 금속판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3월부터 2010년 2월까지 본원에서 쇄골 간부 골절에 대해 윤곽 성형된 잠김 압박 금속판을 이용하여 관혈적 정복 및 금속 고정술을 시행하고 1년 이상의 추시가 가능했던 34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후 방사선학적 결과는 골유합 여부와 성별 및 나이에 따른 골유합 시기의 차이를 평가 하였으며 임상적 결과는 최종 추시 시 quick DASH Score 및 반대측과 관절 운동 범위의 차이를 평가 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방사선학적 평가에서 모든 예에서 골유합을 얻을 수 있었으며 평균 골유합 기간은 12.3주였으며 성별 및 나이에 따른 골유합 기간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87). 임상적 평가에서 최종 quick DASH Score는 평균 23.5점 (12~42)이었으며, 최종 추시시 견관절의 운동은 건측과 비교 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69). 결론: 전위성 쇄골 간부 골절에 대해 윤곽 성형된 잠김 압박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술은 정확한 해부학적 정복과 견고한 내고정을 유지 할 수 있어 조기 운동이 가능하여 견관절 운동의 회복과 함께 전례에서 골유합을 얻을 수 있어 쇄골 간부 골절 치료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Locking Compression Plate를 이용한 전위성 쇄골 간부 골절의 수술적 치료 (Operative Treatment of Fractures of the Midshaft Clavicle using Locking Compression Plate)

  • 정남식;홍기도;하성식;박성준;강정호;심재천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3-68
    • /
    • 2006
  • 목적: 전위성 쇄골 간부 골절의 치료로 관혈적 정복술 후 LCP를 사용하여 내고정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방사선학적,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여 전위성 쇄골 간부 골절의 치료에 있어서 LCP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5월부터 2004년 11월까지 본원에서 쇄골 간부 골절에 대해 LCP를 이용한 관혈적 정복, 금속내 고정술을 시행하고 6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26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후 최종 평가는 방사선 결과와 fang s criteria를 이용한 임상적 결과로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후 평균 9.3주에 모든 예에서 지연유합 없이 골유합 되었으며 임상적으로 Kangs criteria에 따라 구분한 결과, 우수 이 상이 22례로 나타났다. 특히, 견관절 운동은 상완골 골절이 동반된 두 경우를 제외한 24례에서 2.9주내에 정상 범위로 빠른 회복을 보였다. 합병증으로는 견관절 운동 장애 2례, 수술 절개 부위의 켈로이드 형성 1례였으며 그 이외에 다른 주요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전위성 쇄골 간부 골절에서 LCP를 이용한 관혈적 정복 및 금속내 고정술은 기존의 금속판에 비해 수술 후 합병증을 줄이고 효과적인 골유합과 조기 견관절 운동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좋은 치료 방법 중 하나라고 사료된다.

  • PDF

족근 거주상탈구와 동반된 비전위성 주상골 골절 - 증례 보고 - (Talonavicular Dislocation with Nondisplaced Fracture of Navicular - Case Report -)

  • 홍창화;박종석;최호림;이상선;권세원;조주형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5-57
    • /
    • 2008
  • 족부 주상골의 골절 및 거주상 관절의 탈구는 그 빈도가 매우 드물다. 이에 대하여는 관혈적 혹은 비관혈적의 정복술이 요구된다. 저자들의 단독 주상골 골절 및 거주상 관절 탈구에 관하여 관혈적 정복술 및 K-강선을 이용한 내고정을 이용한 치료를 하여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으며,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관혈적 정복술 및 내고정술 후 군인에게 발생한 경비골 원위부 골결합증(1예 보고) (Distal Tibiofibular Synostosis after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in a Military Soldier (A Case Report))

  • 이준영;남기영;송경철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05-107
    • /
    • 2010
  • The scanty literature on distal tibiofibular synostosis includes descriptions of relatively few specific complaints. Here we report a case of a 24-year-old young soldier who sustained a left ankle lateral malleolar fracture about 6 months ago and was initially treated by the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plate & screw. But 6 months later, he suffered from an vague ankle pain, each time the symptoms occurred right after an active ambulation, ankle dorsiflexion, especially when he had exercised aggressively. The radiographs revealed that there was a mature distal tibiofibular synostosis. We treated the patient with surgical excision of synostosis. Post-operative condition was satisfied to all concern and the result was found to be excellent during one-year follow-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