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관측정

Search Result 1,011,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Relationship of Radon-222 and Chemical Composition of Groundwater as a Precursor of Earthquake (지진 전조인자로서 지하수내 라돈 및 화학성분의 상관성 연구)

  • Jeong, Chan Ho;Park, Jun Sik;Lee, Yong Cheon;Lee, Yu Jin;Yang, Jae Ha;Kim, Young Suk;Ou, Song Min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8 no.2
    • /
    • pp.313-324
    • /
    • 2018
  • In order to study the earthquake precursor in the Korean peninsula, long-term variations of chemical composition, radon-222, and water level were measured at depths (-60 m, -100 m) in the groundwater monitoring wells of the Daejeon and the Cheongwon area. The pH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groundwater in the monitoring wells showed some relationship with the Pohang earthquake. The ${HCO_3}^-$ and $Cl^-$ concentration of groundwater in the Daejeon and $Mg^{2+}$, $Cl^-$ and ${NO_3}^-$ in the Cheongwon showed some relation with the Pohang earthquake. However, it is not distinct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variation and earthquake. The radon-222 concentration in Daejeon was observed a significant increase from a minimum of 162 Bq/L prior to the earthquake to 573 Bq/L right after the earthquake, that indicating a strong correlation with earthquakes. In the case of groundwater levels, it can not find some correlation between earthquakes and continuous decreasing trend in the monitoring wells of Daejeon and Cheongwon area. However, water level of a national groundwater observation well within 10 kilometers of Pohang epicenter was recorded as an abrupt drop right before the earthquake. Conclusively, although the location of monitoring wells is more than 180 kilometers apart from the epicenter of the Pohang earthquake, the radon gas in groundwater can be considered as a reliable candidate among earthquake precursors. The pH, electrical conductivity, ${HCO_3}^-$ and $Cl^-$ among hydrochemicals showed some correlation with earthquake should be monitored during a longer term to recognize distinctly as a precursor of earthquake.

Effect of diurnal variation of background seismic noise level on earthquake detectability (지진관측소 배경잡음 수준의 일변화가 지진 관측 능력에 미치는 영향)

  • Sheen, Dong-Hoon;Shin, Jin-Soo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0a
    • /
    • pp.54-59
    • /
    • 2009
  • Seismic station of high noise level has difficulties detecting relatively weak ground motions due to small earthquakes or teleseismic events because earthquake detectability of seismic station depends on seismic noise level. To figure out the capability of earthquake detection of a seismic network, therefore, seismic noise level of each station also needs to be considered, including the distribution of seismic stations. Recently, it has been known that most of broadband seismic stations in South Korea have affected by cultural noise in the frequencies higher than 1 Hz and show diurnal variations of noise level.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diurnal variation of seismic noise level on earthquake detectability, we used the result of background seismic noise level analysis of seismograms of 30 broadband stations of KIGAM and KMA from 2005 to 2007. This study shows that earthquakes greater than magnitude 2.4 occurring within the Korean Peninsula can be detected at night while those greater than magnitude 2.6 can be detected in the daytime.

  • PDF

Analysis evapotranspiration characteristics of mountain and farmland (산지와 농경지의 증발산량 특성 분석)

  • Lee, JungHoon;Kim, Kiyoung;Lee, YeonKil;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35-235
    • /
    • 2017
  • 수문 순환과 물 수지에 관한 연구는 강수량, 지표유출량, 지하수, 토양수분 및 증발산량 등에 대한 관측이 이루어질 때 실제로 규명될 수 있다. 하지만, 수문 순환과 물수지 평가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증발산량의 경우 관측값보다 단순한 가정이나 경험식에 의한 추정값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수문 순환과 물수지의 정량적인 분석을 위해서는 수문 순환 과정에서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증발산량의 측정(실측)과 자료의 축척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의 기초수문자료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으며, 수문자료의 다양화 목적을 가지고 에디공분산 기술을 사용하여 증발산량을 직접 관측하고 있다. 관측지점은 한반도의 약 70%를 차지하는 산림지 중 대표적 식생 기능 형태인 혼효림으로 구성된 지점(설마천 관측소, 2007년 8월부터)과, 인위적인 관개가 이루어지는 농경지(청미천 관측소, 2008년 8월부터)에서의 증발산량 측정을 수행하였다. 관측된 자료를 활용하여 관측소별로 연도별 증발산량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설마천 관측소(주변식생 : 혼효림)에서 산정된 연증발산량은 2008년 471.7mm, 2009년 408.4mm, 2010년 489.4mm, 2011년 387.0mm, 2012년 323.3mm, 2013년 293.3mm, 2014년 360.9mm, 2015년 419.6mm, 2016년 566.9mm이고, 발생한 강수량 대비 증발산 비율은 18.9%~56.2%범위로 산정되었다. 청미천 관측소(주변식생 : 농경지)에서 산정된 연증발산량은 2009년 571.8mm, 2010년 650.6mm, 2011년 523.9mm, 2012년 509.8mm, 2013년 467.9mm 2014년 533.9mm, 2015년 600.5mm, 2016년 588.0mm이고, 발생한 강수량 대비 증발산량의 비율은 25.6%~71.4%범위로 산정되었다. 강수량 대비 증발산량 비율의 최대값은 설마천 관측소는 2014년, 청미천 관측소는 2015년에 발생하였다. 평균 증발산량 비율은 산림지인 설마천 관측소보다 논경지인 청미천 관측소가 평균 13.3%정도 높은 특성을 보였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Hydrochemical Variation of Groundwater and Gas Tigtness in the Underground Oil Storage Caverns (지하원유비축기지 공동주변 지하수의 수질화학적 변화와 기밀성과의 관계)

  • Jeong Chan Ho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14 no.3 s.40
    • /
    • pp.259-272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ydrochemical variation of groundwater on the gas tigtness in an unlined oil storage cavern. The groundwater chemistry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seawater mixing, the water curtain and the dissolution of grounting cements. The chemical composition of groundwater greatly varies ac-cording to both the location of monitoring wells and the sampling period. Most of groundwater shows alkaline pH and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The chemical types of groundwater show the dominant order as follows : Na-Cl type > Ca-Cl type > $Ca-HCO_3(CO_3)$ type. Thermodynamic equilibrium state between chemical composition of groundwater and major minerals indicates that carbonate minerals except clay minerals can be precipitated as a secondary mineral. It means that the secondary precipitates can not greatly exerts the clogging effect into fracture aperture in rock mass around oil storage cavern. The content of total organic carbon (TOC) shows a slightly increasing trend from initial stage to late stage. The $EpCO_2$ was computed so as to assess the gas contribution on the $CO_2$ in groundwater. The $EpCO_2$ of 0$\~$41.3 indicates that the contribution of oil gas on $CO_2$ pressure in groundwater system can be neglected.

Characteristics of Runoff and Groundwater Quality from a Pasture and Field (방목지와 초지의 지표수 및 지하수 수질 특성)

  • Choe, Jung-Dae;Choe, Ye-Hwan;Kim, Gi-Seong
    • Water for future
    • /
    • v.28 no.3
    • /
    • pp.175-186
    • /
    • 1995
  • Characteristics of runoff and groundwater qualities from a pasture and field were investigated. Flumes and monitoring wells were installed and water qualities of $NO_3$-N, TP and TKN were monitored from Aug. 1993 to Aug. 1994. Runoff from the pasture which was a sandy soil with cobbles mostly formed with seeping water at the bottom of it. But once overland flow occurred because of heavy rainfall, runoff increased sharply. $NO_3$-N concentration in pasture runoff was relatively stable ranging between 0.241-3.962mg/l. TP and TKN concentrations were stable but sharply increased once overland flow occurred. $NO_3$-N concentration in pasture groundwater was relatively stable regardless of depth of monitoring wells but TP and TKN concentrations were smaller in deeper wells. Runoff from the field which was flat and covered well with Sudan grass and surface residue was relatively small and $NO_3$-N, TP and TKN concentrations in runoff were stable and seemed unaffected by flow rate. $NO_3$-N concentration in field groundwater increased at the rate of 2.2mg/l per 100 m during a growing season as groundwater flows through the fiel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P and TKN concentration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areas in field groundwater were detected.

  • PDF

A Study on Water Level Network Design for Operation of KHNP(Korea Hydro & Nuclear Power) Dam (한수원 댐 운영을 위한 수위관측망의 설계)

  • Jang, Bok-Jin;Lee, Yeon-Kil;Jung, Sung-Won;Han, Gi-Har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61-461
    • /
    • 2011
  • 강수, 수위 및 유량자료 등의 수문자료는 안정된 물 관리 계획, 홍수조절 및 공급계획, 전력공급 등을 위한 댐의 역할을 원활하게 하기위한 운영의사결정을 위한 매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된다. 댐 운영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가진 모델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매년 변하고 있는 댐 유역의 수문현상에 대한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모델을 보정하여 정확성을 확인하고 향상시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하므로 수문자료는 댐 운영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일 수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수력원자력(주)의 9개 댐 유역에서 기존 활용 가능한 관측소 현황 및 현장조사를 통해 운영상 목적에 맞는 최적의 수위관측망을 설계하여 제시하였다. 설계 방법으로는 댐 유입량 파악과 개략적인 도달시간 파악을 위해 주요 유입지천인 국가하천과 지류 중 지방하천이라도 유역면적이 $150\;km^2$ 이상인 경우에는 유입량 파악을 위한 수위관측소를 두도록 설계하였다. 관측소 밀도는 각 댐 유역의 수문학적 유역 특성인 유역면적, 유입하천의 지형적 특성, 하천크기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였다. 설계된 수위관측소들은 현장의 수위관측 및 유량관측에 대한 적정성을 검토하여 댐 저류지 배수영향 등으로 인해 관측이 부적정할 경우 이설을 통해 적정한 위치에서 수문조사가 이루어지도록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한국수력원자력(주) 관할 댐 유역의 수위관측망은 자체 관할 수위관측소 뿐 아니라 자료의 공동 활용이 가능한 국토해양부 등의 관측소까지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댐 운영 의사결정을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로서의 수위 및 유량자료를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uring Demonstration Test of the Estuary Bank, Vertical Profiling Measurement in a saline groundwater (하굿둑 실증시험 시 염지하수의 연직 프로파일링 관측)

  • Kim, Byung-Woo;Choi, Doo H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47-447
    • /
    • 2022
  • 하굿둑 실증시험 및 개방 시 하굿둑으로부터 해안지역 대수층의 지하수 내 염분침투를 예방하고 지속가능한 지하수자원 이용과 관리를 위해서 담수(freshwater)와 염수(saltwater)의 경계면 변동 및 분포를 추적하기 위해 지화학적·물리적 접근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해안 및 하굿둑 주변지역의 담·염수 경계면 특성에 관한 조사 및 분석은 직·간접적 관측방법으로 이뤄진다. 직접 관측방법에는 심도별 전기전도도(Electrical condutivity, EC) 측정 방법으로 1개 정밀센서(CTD-Diver)를 와이어에 연결하여 수동으로 측정하는 방식과 자동 관측센서(CTD-Diver)를 공내 여러 관심심도에 이격거리에 따른 관측센서를 여러 개 설치하여 특정 관심심도별 연속적인 상태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간접 관측방법에는 관심심도별 또는 특정 심도의 지하수 수질을 채취하여 지화학 분석하는 방법이 있다. 직·간접적 관측방법에는 관심심도별 구간의 이격거리와의 공백과 조사시기에 대수층의 해수침투를 파악할 수 있으나 연속적 관측과 예측은 매우 어렵다. 직접적 관측방법 중 1개 정밀센서와 와이어를 이용한 특정 시·공간에 대한 연직 프로파일링 관측은 가능하나, 연속적 관측과 예측 또한 매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물리적 방법을 기반으로, 하굿둑 인근의 담수(freshwater)와 염수(saltwater)와의 경계면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는 하굿둑 실증시험 시 지하수 내 염분침투에 따른 지하수 환경 등에 대한 전반적 특성 등을 분석하였다. 하구언 일대의 지하수 내 염분침투 및 지하수 오염관리를 위해 실증실험 등 인위적인 요소와 강우, 태풍, 가뭄 등 자연적인 요소에 의해 여러 형태의 분포특성을 보이는 담수와 염수의 분포 및 혼합대의 특성에 따른 담염수의 경계면 형태별 분석을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해수침투의 예방과 지하수 오염 방지를 위해 심도별 자동 수질측정 장치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한 염지하수의 프로파일링 감시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