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Runoff and Groundwater Quality from a Pasture and Field

방목지와 초지의 지표수 및 지하수 수질 특성

  • Published : 1995.06.01

Abstract

Characteristics of runoff and groundwater qualities from a pasture and field were investigated. Flumes and monitoring wells were installed and water qualities of $NO_3$-N, TP and TKN were monitored from Aug. 1993 to Aug. 1994. Runoff from the pasture which was a sandy soil with cobbles mostly formed with seeping water at the bottom of it. But once overland flow occurred because of heavy rainfall, runoff increased sharply. $NO_3$-N concentration in pasture runoff was relatively stable ranging between 0.241-3.962mg/l. TP and TKN concentrations were stable but sharply increased once overland flow occurred. $NO_3$-N concentration in pasture groundwater was relatively stable regardless of depth of monitoring wells but TP and TKN concentrations were smaller in deeper wells. Runoff from the field which was flat and covered well with Sudan grass and surface residue was relatively small and $NO_3$-N, TP and TKN concentrations in runoff were stable and seemed unaffected by flow rate. $NO_3$-N concentration in field groundwater increased at the rate of 2.2mg/l per 100 m during a growing season as groundwater flows through the fiel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P and TKN concentration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areas in field groundwater were detected.

강원도의 대표적인 토지이용 방법인 방목지와 초지의 유출수 및 지하수의 수질 특성을 구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강원대학교 농장과 목장에 시험유역을 설치하고 Flume과 지하수 관측정을 이용하여 1993년 8월부터 1994년 8월까지 수질을 관측하였다. 수질관측 항목은 NO3-N, TP 및 TKN 이었다. 조립질 토양인 방목지의 유출은 대부분 지하수를 통하여 배출되었으며 호우시만 지표면 유출이 발생하였고 유출량은 급격히 증가하였다. 유출수의 $NO_3$-NO 농도는 0.241~3.962mg/l로 비교적 안정되어 있었다. 평시 유출수의 TP와 TKN 농도는 안정되어 있었으나 호우시는 급격히 증가하였다. 지하수의 $NO_3$-N 농도는 관측정의 깊이에 관계없이 비교적 일정하였으나 TP와 TKN 농도는 깊은 관측정에서 농도가 작았다. 평지에 조성되고 Sudan Grass로 잘 피복된 초지유출수의 수질은 유출량에 관계없이 비교적 일정하였다. 초지 지하수의 $NO_3$-N 농도는 상류에서 하류로 흐를수록 2.2mg/l 정도 증가하였다. 상류부와 하류부의 TP와 TKN 농도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Keywords

References

  1. 담수호의 환경오염 및 부영양화 방지대책 수립 (I) 권순국;유명진
  2. 담수호의 환경오염 및 부영양화 방지대책 수립 (III) 권순국;유명진
  3. 한국육수학회지 v.21 no.3 한강수계 인공호의 부영양화에 관한 비교 연구 김범철;안태석;조규송
  4. 댐 저수지 수질회복 기술개발에 관한 연구(3차) 보고서 김상종;최중기;안태영;유근배;이종호
  5.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기술성과 발표문집 대청댐 저수지 수질개선을 위한 인 불활성화에 관한 연구 배정옥;김도한;김홍겸
  6. 전국 축산분뇨 적정관리대책 연구 신항식;구자공;최용수;박홍석;김종오;전항배;정연구
  7. 첨단환경기술 v.3 no.1 오 폐수의 질소 · 인 고도처리 기술 이상은
  8. 소양호 수중생태계의 인순환에 관한 연구 조규송;김범철;안태석
  9. 환경공학개론 정팔진;이종범
  10. 한국육수학회지 v.25 소양호 유역과 가두리로부터 인부하량 및 인수지 허우명;김범철;안태석;이기종
  11. 한국수질보전학회지 v.9 no.2 소양호 COD의 연중, 계절적 변화 및 지역적 분포 허인량;이해금;최규열;박성빈
  12. J. of KSAE v.34 Effect of tillage on nonpoint source of surface and ground water system (I): Effect of tillage practices on density and saturation of soil Choi,J.D.;Shirmohammadi,A.;Ryu,N.H.;Choi,Y.H.
  13. Paper No. 88-2601, presented at the 1988 International Winter Meeting of the ASAE Impact of tillage on selected soil physical properties Choi,J.D.;Magette,W.L.;Shirmohammadi,A.;Michell,J.K.;Rawls,W.
  14. EPA-600/3-81-012 Precipitation and inactivation of phorphorus as a lake restoration technique Cooke,G.D.;Kennedy,R.H.
  15. J. Kor. Soc. Soil Fert. v.18 Discussion of cropping management factor for estimating soil loss Jung,P.K.;Ko,M.H.;Um,T.K.
  16. Kor. J. Limnol. v.18 Horizontal variation of primary productiv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Lake Soyang Kim,B.C.;Cho,K.S.;Ahn,T.S.
  17. J. Kor. Wat. Pollt. Res. Contr. v.1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chlorophill a concentration in Lake Soyang Kim,B.C.;Shim,J.H.;Cho,K.S.
  18.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iation of water and wastewater(17th Ed.)
  19. Extension Bulletin 355 Soil management for sustainable agriculture in Korea Yoo,S.H.;Jung,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