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관측정확도

Search Result 1,150, Processing Time 0.03 seconds

Deformation monitoring of Daejeon City using ALOS-1 PALSAR - Comparing the results by PSInSAR and SqueeSAR - (ALOS-1 PALSAR 영상을 이용한 대전지역 변위 관측 - PSInSAR와 SqueeSAR 분석 결과 비교 -)

  • Kim, Sang-Wa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2 no.6
    • /
    • pp.567-577
    • /
    • 2016
  • SqueeSAR is a new technique to combine Persistent Scatterer (PS) and Distributed Scatterer (DS) for deformation monitoring. Although many PSs are available in urban areas, SqueeSAR analysis can be beneficial to increase the PS density in not only natural targets but also smooth surfaces in urban environment. The height of each targets is generally required to remove topographic phase in interferometric SAR processing. The result of PSInSAR analysis to use PS only is not affected by DEM resolution because the height error of initial input DEM at each PSs is precisely compensated in PS processing chain. On the contrary, SqueeSAR can be affected by DEM resolution and precision since it includes spatial average filtering for DS targets to increase a signal-to-noise ratio (SNR). In this study we observe the effect of DEM resolution on deformation measurement by PSInSAR and SqueeSAR. With ALOS-1 PALSAR L-band data, acquired over Daejeon city, Korea, two different DEM data are used in InSAR processing for comparison: 1 m LIDAR DEM and SRTM 1-arc (~30 m) DEM. As expected the results of PSInSAR analysis show almost same results independently of the kind of DEM, while the results of SqueeSAR analysis show the improvement in quality of the time-series in case of 1-m LIDAR DSM. The density of InSAR measurement points was also improved about five times more than the PSInSAR analysis.

Validation of Satellite Altimeter-Observed Significant Wave Height in the North Pacific and North Atlantic Ocean (1992-2016) (북태평양과 북대서양에서의 위성 고도계 관측 유의파고 검증 (1992-2016))

  • Hye-Jin Woo;Kyung-Ae Park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44 no.2
    • /
    • pp.135-147
    • /
    • 2023
  • Satellite-observed significant wave heights (SWHs), which are widely used to understand the response of the ocean to climate change, require long-term and continuous valid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accuracy and error characteristics of SWH observed by nine satellite altimeters in the North Pacific and North Atlantic Ocean for 25 years (1992-2016). A total of 137,929 matchups were generated to compare altimeter-observed SWH and in-situ measurements. The altimeter SWH showed a bias of 0.03 m and a root mean square error (RMSE) of 0.27 m, indicating relatively high accuracy in the North Pacific and North Atlantic Ocean. However, the spatial distribution of altimeter SWH errors showed notable differences. To better understand the error characteristics of altimeter-observed SWH, errors were analyzed with respect to in-situ SWH, time, latitude, and distance from the coast. Overestimation of SWH was observed in most satellite altimeters when in-situ SWH was low, while underestimation was observed when in-situ SWH was high. The errors of altimeter-observed SWH varied seasonally, with an increase during winter and a decrease during summer, and the variability of errors increased at higher latitudes. The RMSEs showed high accuracy of less than 0.3 m in the open ocean more than 100 km from the coast, while errors significantly increased to more than 0.5 m in coastal regions less than 15 km.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need for caution when analyzing the spatio-temporal variability of SWH in the global and regional oceans using satellite altimeter data.

A Study on the Operation of the Seolma-Cheon Experimental Catchment (2006년 설마천 시험유역 운영)

  • Kim, Dong-Phil;Kim, Su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860-864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운영하는 설마천 시험유역을 대상으로 신뢰성 있는 수문자료를 지속적으로 수집하여 정확한 물 순환 과정을 규명하는데 있다. 강우량, 수위, 유속, 유량, 수질, 부유사량, 기상 등의 기본적인 수문관측 자료를 축적하는 것과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유역의 유출특성 분석, 수문관측 기술개발과 각종 관측기기의 적합성 검증과 측정방법을 개선하는데 있다. 설마천 시험유역 수문관측은 해마다 노후화된 관측기기의 교체 및 추가 설치, 실시간 전송장비의 보완 및 운영, 각 관측소당 2종 이상의 동시 관측자료 확보 등을 통해 자료의 결측을 최소화하였으며, 정확도를 개선하여 양질의 자료를 생성할 수 있었다. 관측된 우량과 수위 자료에 대하여 일상적인 자료 검토 및 처리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체계화하여 자료의 질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특히 유량 측정 및 산정 방법을 국제 기준에 준하여 수행하여 보다 정도 높은 유량측정성과를 확보할 수 있었다. 이렇게 다각적인 방법으로 안정적인 관측 자료를 확보한 결과, 동절기를 제외한 전적비교와 사방교에서 무결측의 유역평균우량과 유량자료를 구축할 수 있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전송장비와 설마천 시험유역 홈페이지(http://kict.datapcs.co.kr)를 통해 실시간으로 우량과 수위 자료를 인터넷과 PCS로 확인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운영하였으며, 이로 인해 언제 어디서나 설마천 시험유역의 현장상황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자료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여 운영 중에 있다. 본 시험유역의 주요 연구 내용으로는 수문 기상관측, 수문 기상자료 정리 검토, 기본 수문특성 분석, 수문관측방법의 비교 검토 등을 수행하였으며, 기본 수문특성 분석 내용으로는 호우사상 현황 분석, 지속기간별 최대 강우량 분석, 2종 우량계간의 강우량 비교, 6개 지점간 강우량 비교, 주요 호우사상의 시 공간적 분포 특성, 연간, 월별, 주요 호우사상별 유출률 분석과 부유사량 및 수질분석 등을 수행하였으며, 이로써 산지 소하천 유역의 물 순환 과정을 보다 명확히 규명하고자 노력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direct inflow calculation method using distributed runoff analysis model - Focused on the Choongju dam basin (분포형 유출해석 모형을 활용한 댐 유입량 직접측정방식 개발 - 충주댐 유역을 중심으로)

  • Yeom, Woongsun;Park, Dong-Hyeok;Lee, Dong Kyu;Kim, Tae-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19-419
    • /
    • 2022
  • 최근 전 지구적 기후변화의 발생으로 수문현상의 규모와 빈도가 예측하기 어려운 수준으로 변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밀한 데이터를 활용한 수공구조물 운영 및 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 중에서도 다목적댐은 이·치수 측면에서 모두 활용되기 때문에 정밀한 댐 운영을 위한 댐 유입량 자료의 수집 및 관리가 필요하지만 현실적 한계로 인해 간접적으로 측정되고 있다. 현재 국내 다목적댐 저수지의 유입량은 댐시설 유지관리 기준(MW, 1994)에서 제시한 저수지 수위 변동량과 댐 방류량의 추정치로부터 계산하는 간접측정방법을 통해 산정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태풍이나 집중호우 등 대규모 홍수 발생 시 저수지 수위의 불균일성으로 인한 오차가 나타나며, 음유입량 및 톱니바퀴 형태의 자료가 발생하는 등 정확도 측면에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2008년 개발한 물리적 기반의 분포형 유출해석 모형인 GRM(Grid based Rainfall-Runoff Model)을 활용하여 상류 유량관측소(옥동교 관측소, 영춘 관측소) 관측유량과 충주댐 지점 모의유량간의 경험공식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상류 유량 관측소의 유량자료를 활용한 댐 유입량 직접산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다중 관측소 활용 시 댐 유입량 모의 성능이 개선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3가지 경우(옥동교 관측소 단일, 영춘 관측소 단일, 옥동교·영춘 관측소 다중)로 구분하고 각 공식의 성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상류 관측소 관측유량과 댐 본체 지점의 모의유량이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0.79~0.96)를 보였으며, 단일 관측소를 활용한 공식 대비 다중 관측소를 활용한 공식이 더 높은 결정계수를 보였다.

  • PDF

Improvement of the Positioning Accuracy of a Single Frequency Receiver Using Observables of the Dual GPS Reference Stations (이중 GPS 기준국 관측정보를 이용한 단일주파수 수신기의 측위 정확도 향상)

  • Choi, Byung-Kyu;Park, Jong-Uk;Lee, Sang-Jeong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v.25 no.3
    • /
    • pp.291-298
    • /
    • 2008
  • With the growth of civil and commercial applications, the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GNSS) that provides the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information affects to our life. In order to meet all the requirements of civilian user, new positioning technology with the accuracy of 10cm level has been applied and the positioning accuracy is getting improved. In this study, dual coverage(DAEJ, SUWN) GPS measurements were applied to improve the positioning accuracy for GPS L1 single frequency users. We processed some GPS data obtained from the distributed test sites in the wide area over Korea Peninsula. As a result, the combined solution output using dual coverage showed more improved positioning accuracy than that of single coverage.

Effects of ionospheric disturbances caused by solar storm on rapid-static positioning accuracy (태양폭풍에 의한 전리층 교란이 신속정지측위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 Hong, Chang-K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9 no.6
    • /
    • pp.651-657
    • /
    • 2011
  • There exists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ionospheric delays and the integer ambiguity in GPS observation equation, so that the sufficient time span is required to revolve the integer ambiguity. This means that the ambiguity resolution plays a key role especially in rapid-static positioning mode. To analyze the effect of ionospheric disturbances on the positioning accuracy, 02/19/2011 day of dataset was selected processed in rapid-static positioning mode. The total of 141 30-minute sessions were processed, i.e., the estimation procedure started every 10 minutes, and the time-to-fix information of each data interval is obtained. In this study, the analysis is performed by comparing the time-to-fix with the magnitudes of ionospheric delays. The computed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time-to-fix and the magnitudes of ionospheric delays is 0.31, which indicates the ionospheric disturbances affect the positioning accuracy in rapid-static positioning mode. Therefore, it is required to collect and process sufficient data when the GPS surveying is performed in unfavorable ionospheric conditions.

A-priori Comparative Assessment of the Performance of Adjustment Models for Estimation of the Surface Parameters against Modeling Factors (표면 파라미터 계산시 모델링 인자에 따른 조정계산 추정 성능의 사전 비교분석)

  • Seo, Su-Young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9 no.2
    • /
    • pp.29-36
    • /
    • 2011
  • This study performed quantitative assessment of the performance of adjustment models by a-priori analysis of the statistics of the surface parameter estimates against modeling factors. Lidar, airborne imagery, and SAR imagery have been used to acquire the earth surface elevation, where the shape properties of the surface need to be determined through neighboring observations around target location. In this study, parameters which are selected to be estimated are elevation, slope, second order coefficient. In this study, several factors which are needed to be specified to compose adjustment models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mathematical functions, kernel sizes, and weighting types. Accordingly, a-priori standard deviations of the parameters are computed for varying adjustment models. Then their corresponding confidence regions for both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estimate and the estimate itself are calculated in association with probability distributions. Thereafter, the resulting confidence regions are compared to each other against the factors constituting the adjustment models and the quantitative performance of adjustment models are ascertained.

Derivation of Geostationary Satellite Based Background Temperature and Its Validation with Ground Observation and Geographic Information (정지궤도 기상위성 기반의 지표면 배경온도장 구축 및 지상관측과 지리정보를 활용한 정확도 분석)

  • Choi, Dae Sung;Kim, Jae Hwan;Park, Hyungmi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1 no.6
    • /
    • pp.583-598
    • /
    • 2015
  • This paper presents derivation of background temperature from geostationary satellite and its validation based on ground measurements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for future use in weather and surface heat variability. This study only focuses on daily and monthly brightness temperature in 2012. From the analysis of COMS Meteorological Data Processing System (CMDPS) data, we have found an error in cloud distribution of model, which used as a background temperature field, and in examining the spatial homogeneity. Excessive cloudy pixels were reconstructed by statistical reanalysis based on consistency of temperature measurement. The derived Brightness temperature has correlation of 0.95, bias of 0.66 K and RMSE of 4.88 K with ground station measurements. The relation between brightness temperature and both elevation and vegetated land cover were highly anti-correlated during warm season and daytime, but marginally correlated during cold season and nighttime. This result suggests that time varying emissivity data is required to derive land surface temperature.

Real-time blending method development of radar-based QPF and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models for hydrological application (수문학적 활용을 위한 레이더와 수치예보모델 예측강우의 실시간 병합 기법 개발)

  • Yoon, Seong-Sim;Lee, Dong-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99-99
    • /
    • 2018
  • 기상이변으로 인해 국지성 호우의 발생 증가와 그로 인한 수재해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수재해를 사전에 예측하고 저감하기 위해 비구조물적 대책인 실시간 홍수예보시스템 개발 및 운영에 관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홍수예보시스템은 대피선행시간 확보를 위해서 초단시간 혹은 단기 수치예보모델을 수문해석모형이나 예보기법의 입력으로 활용하고 있다. 초단시간 예측은 기상레이더를 기반으로 외삽, 이류, 셀 추적 등의 기법을 활용하여 0~3시간 이내의 강수예측을 수행한다. 그러나 역학이나 물리적 과정이 동반되지 못하여 0~ 2시간 이내에서의 예측성은 높은 반면, 예측시간이 길어질수록 예측력이 낮아진다. 단기수치예보모델은 종관관측에 의존하면서 역학이나 물리과정을 동반하므로 0~6시간 혹은 12시간 이상의 예측을 수행하지만, 수치모델의 고유특성인 스핀업 등의 예측 불확실성이 내재되어 있어 예측 초기시간에서의 예측력이 낮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강수예측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레이더와 수치예보모델의 병합기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통계분석을 통해 경험적으로 산출된 시간적 가중치를 이용한 기존 병합기법의 한계를 극복하면서 호우에 따른 가변성을 반영하는 실시간 병합기법을 개발하고, 수문학적인 활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사용된 예측강우 자료는 레이더 기반인 MAPLE, KONOS, 공간규모분할 예측강우와 수치예보모델 기반인 UM와 ASAPS의 예측강우이며, 제시한 가중치 산정기법은 직전 예측강우의 오차가 현 시점의 예측강우의 오차와 유사하다는 가정하에 오차항을 포함한 과거 1시간 예측강우들간의 가중치 조합이 과거 지상관측강우와의 평균제곱근오차가 최소가 되도록 화음 탐색법을 이용하여 찾는 것이다. 가중치 조합은 예측강우의 생산 시간 간격을 고려하여 매 10분마다 산정하며, 미래 3시간 예측까지 산정된 가중치를 적용한다. 수도권 영역을 대상으로 병합된 예측강우와 레이더 관측강우를 비교한 결과, 정량적 정확도가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예측강우의 수문학적 활용성은 도시유출해석모의를 통해 평가하였다. 그 결과, 병합된 예측강우로 모의된 수심이 관측수심과 유사하여 수문학적 활용성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the Surface Drifter Trajectories in the Korean Strait (대한해협에서 표층 뜰개 이동 예측 연구)

  • Ha, Seung Yun;Yoon, Han-Sam;Kim, Young-Tae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34 no.1
    • /
    • pp.11-18
    • /
    • 2022
  • In order to improve the accuracy of particle tracking prediction techniques near the Korean Strait,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a particle tracking model based on a seawater flow numerical model and a machine learning based on a particle tracking model using field observation data. The data used in the study were the surface drifter buoy movement trajectory data observed in the Korea Strait, prediction data by machine learning (linear regression, decision tree) using the tide and wind data from three observation stations (Gageo Island, Geoje Island, Gyoboncho), and prediciton data by numerical models (ROMS, MOHID). The above three data were compared through three error evaluation methods (Correlation Coefficient (CC), Root Mean Square Errors (RMSE), and Normalized Cumulative Lagrangian Separation (NCLS)). As a final result, the decision tree model had the best prediction accuracy in CC and RMSE, and the MOHID model had the best prediction results in NC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