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관절상해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8초

후방추돌시 탑승자 목 상해 감소를 위한 연구 (A Study on Occupant Neck Injury in Rear End Collisions)

  • 이재완;윤경한;박경진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130-138
    • /
    • 2000
  • The position of the automobile seat back is very important for the neck injury in the rear-end collisions. The effects of the position have been evaluated experimentally. A sled simulator is utilized with a velocity of 33 km/h. The position is varied by the angle of seat back from 25 to 65 degrees. All the configurations of the seat are fixed except the angle. The neck injuries are calculated by the equations accepted in the industries. Also, the sled tests with other velocities are carried out for the comparison study. Using the results of the test, the effects of seat back strength are discussed to minimize the occupant neck injury in rear end collisions.

  • PDF

배드민턴 드라이브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Kinematic Analysis of the Badminton Drive Motion)

  • 위림림;오정환;정익수;박찬호;이정태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7-85
    • /
    • 2009
  • 본 연구는 배드민턴 드라이브 동작의 원리와 현상을 이해함은 물론 운동 시 정확한 동작을 유도하여 상해예방 및 기술향상을 기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라헤드의 이동변위는 모든 연구대상자들에게서 비슷한 패턴으로 나타났지만 다소 차이가 나타난 이유로는 신장, 상완과 전완의 길이, 스윙괘적의 개인적인 성향의 등 외부적인 요인에 의한 결과로 사료된다. 국면별 상지관절의 각도를 살펴보면 어깨 관절, 팔꿈치 관절, 손목 관절의 각도는 드라이브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 서로 유기적인 관계로 얽혀 있으며 근위에서 원위로 힘의 전달을 한다는 분절 순서이론도 뒷받침하고 있다. 상지관절의 각속도는 연구대상자 모두에서 임팩트 이후 팔로우스루 동작에서도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배드민턴과 같은 라운동에서 팔로우스루의 중요도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이 팔로우스루 동작은 자세의 안정성 유지, 동작의 자세교정, 관절의 상해예방이라는 측면에서 라운동 시 중요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종합해보면 분절의 순서이론에 따른 스윙이 이루어져야 효율적인 동작을 할 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자세 균형 제어 시 동요의 강도와 관절 반발력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sway magnitude and joint reaction force during postural balance control)

  • 서민좌;조원학;최현기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60-1165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alculate three dimensional angular displacements, moments and joint reaction forces of the ankle joint during the waist pulling, and to assess the ankle joint reaction forces according to different perturbation modes and different levels of perturbation magnitude. Ankle joint model was assumed 3-D ball and socket joint which is capable of three rotational movements. We used 6 cameras, force plate and waist pulling system. Two different waist pulling systems were adopted for forward sway with three magnitudes each. From motion data and ground reaction forces, we could calculate 3-D angular displacements, moments and joint reaction forces during the recovery of postural balance control. From the experiment using falling mass perturbation, joint moments were larger than those from the experiment using air cylinder pulling system with milder perturbation. However, JRF were similar nevertheless the difference in joint moment. From this finding, we could conjecture that the human body employs different strategies to protect joints by decreasing joint reaction forces, like using the joint movement of flexion or extension or compensating joint reaction force with surrounding soft tissues. Therefore, biomechanical analysis of human ankle joint presented in this study is considered useful for understanding balance control and ankle injury mechanism.

  • PDF

융복합기반 러시안전류와 경피신경전기자극이 앞십자인대재건술 환자의 넙다리네갈래근의 통증, 근력, 기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Convergence-Based Russian Current and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at Quadriceps Muscles on Pain, Strength, and Performance in Persons with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 이덕재;심재훈;윤성익;박신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77-87
    • /
    • 2017
  • 본 연구는 앞십자인대 재건술 환자를 대상으로 융복합기반 러시안전류와 경피신경전기자극을 적용하였을 때 통증, 근력 및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앞십자인대 재건술 환자 40명(러시안전류 적용군 20명, 경피신경전기자극 적용군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두 군은 1회 20분, 주5회 4주 동안 각각의 전기중재를 실시하였고, 냉치료와 기기를 사용한 연속수동관절가동운동을 무릎관절주변에 각각 20분간 실시하였다. 치료적 중재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는 중재 전후에 시각적 상사척도, 무릎 굽힘 및 폄 근력, 무릎상해와 관절염 결과지수, 한국판 다리 기능척도를 측정하였다. 두 군 모두 시각적 상사척도, 무릎 굽힘 및 폄 근력, 무릎상해와 관절염 결과지수, 한국판 다리 기능척도 점수에서 치료적 중재 이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개선을 보여주었다. 또한, 러시안전류 적용군은 경피신경전기자극 적용군보다 무릎 폄 근력과 한국판 다리 기능척도에서 중재 후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앞십자인대 재건술 환자에게 있어 두 중재 방법 모두 효과적인 개선을 보였지만, 러시안전류가 경피신경전기자극보다 무릎근력과 다리기능을 개선하는데 더 효과적이라고 보고하며, 향후 임상에서 앞십자인대 재건술 환자의 재활에 러시안전류의 적용에 긍정적인 이점이 있다고 제언하는 바이다.

악관절 기능장애 환자에 있어서 관절돌기의 위치적 관계 및 그 형태에 관한 방사선학적 연구 (THE ANALYSIS O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CONDYLOID PROCESS WITH MANDIBULAR FOSSA AND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OF CONDYLAR HEAD IN T.M.J. TROUBLE PATIENTS)

  • 박창식
    • 치과방사선
    • /
    • 제11권1호
    • /
    • pp.7-22
    • /
    • 1981
  • 악관절 기능장애 환자를 성공적으로 진단함에 있어서, 악관절 X선 사진은 그 X선 검사 개개의 이용목적에 따라 변하는 요소를 지니고 있으나 보편적이며 제한된 2종류의 악관절 촬영 술식을 이용하여. 악관절부의 하악와와 관절돌기의 위치적 상관관계 및 해부학적 관절돌기의 방사선학적 형태와 그 형태이상의 비교 검토가 행하여 질 수 있다. 즉 transcranial view에서는 악관절부의 전후 폭경과 위치적 관계 및 이상형태를, transorbital view에서는 관절돌기의 형태학적 분류 및 내외측 관계의 정성적 관찰이 가능하다. 이에 저자는 악관절 기능장애 환자의 X선 사진 중 본 논문에 합목적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사려되는 274예를 대상으로 예비 묘사하여 개괄적인 지식을 얻은 후, 악관절 X선 사진 174매를 사용하여 관절돌기의 위치적 관계 및 형태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환자의 평균연령은33.2세이고, 최빈발 연령층은 20-30세 군이었으며 남녀의 비는 1:3이었다. 2. Transcranial view에서 ㄱ) 관절돌기의 위치는 후방위가 가장 많았으며, 전방위와 중심위에서는 좌우측이 상반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ㄴ) 좌우측의 위치적 관계는 비대칭이 대칭적 관계의 6.8배의 수치를 보였으며, 대칭적 관계가 13%이며, 그중 concentricity는 4%에 불과하다. ㄷI) 관절돌기의 운동상해는 과다운동성, 과소운동성, 정점 대 정점의 순이었다. ㄹ) 관절돌기의 형태는 지시지형이 전체의 75%이상이었다. 3. Transorbital view에서 ㄱ) 관절돌기의 형태는 돌출형, 각형, 원형, 편평형의 순이었으며, 이 기본형이 87.6%, 부정형이 12. 4%를 점유했다. ㄴ) 관절돌리의 최상부의 위치는 중심부에 위치한 것이 약 80%이었다. ㄷ) 관절돌기의 내측단은 4기본형에 속했으며. 외측단은 4기본형 외에 1.4%의 부정형을 나타냈다.

  • PDF

스쿼트 동작 시 수동적 발목 가동범위와 무릎 관절 운동역학적 변인 간 상관성 분석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passive ankle movement range and knee joint kinetic variables during squat movement)

  • 이재우;박준성;임영태;권문석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509-51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딥 스쿼트 동작 시 발목 관절 유연성이 무릎 관절의 운동역학적 요인들간의 관련성을 분석하는데 있었다. 본 연구는 최근 1년간 하지 근골격계 병력이 없는 성인 남성 19명과 여성 8명이 연구대상자로 참여하였다. 딥 스쿼드 시 발목 관절 유연성과 하지 관절의 운동역학적 요인들과 상관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였고(SPSS 24.0, Armonk, NY, USA),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성을 나타낸 변인들은 단순회기분석(sim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유의 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발목 관절 유연성과 무릎 관절의 압력을 결정하는 최대 관절모멘트와 관절반발력 요인들 간의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근력 트레이닝 시 딥 스쿼트와 같은 무릎 관절에 많은 부하를 발생시킬 수 있는 운동을 적용할 때 개인에 신체적 특성 중 발목 관절의 유연성의 정도를 확인하는 것은 신체의 안정성과 무릎 관절의 상해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운동 강도를 설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허벅다리걸기 시 무릎 관절 부상이 운동역학적 요인들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nee Joint Injury on Biomechanical Factors during the Uchi-mata)

  • 윤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642-649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허벅다리걸기 시 유도 선수들의 무릎 관절 부상 경험이 운동학적 요인과 압력 중심 요인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었다. 본 연구에는 허벅다리걸기를 특기로 하는 오른손잡이 남자 대학 유도 선수 중 최근 2년 이내 무릎 관절 부상 경험이 있었던 13명(연령, 20.69.1±0.75 세; 신장, 172.85±4.81 cm; 체중, 74.92±5.51 kg; 경력, 8.92±0.95 세)과 상해 경험이 없었던 13명(연령, 21.08.1±0.76 세; 신장, 172.54±6.32 cm; 체중, 76.62±9.09 kg; 경력, 9.46±0.94 세)이 두 그룹으로 나뉘어 피험자로 참여하였다. 두 그룹의 발목, 무릎, 힙 관절각도 변인과 압력 중심 가동범위와 속도 요인들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상 경험 그룹은 부상 경험이 없었던 그룹에 비해 허벅다리걸기 기술 발휘 시 한발 지지 구간 중 E3에서의 무릎 관절 굴곡 각도와 E4에서의 힙 관절 신전 각도에서 작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더불어 부상 경험 그룹은 부상 경험이 없었던 그룹에 비해 한발 지지 구간에서 압력 중심 가동범위와 전방 이동 속도 요인에서도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전신진동운동이 드랍랜딩점프 동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hole Body Vibration Training in Drop Landing Jump)

  • 홍수연;장영관;김진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423-429
    • /
    • 2018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전신진동운동(whole body vibration exercise)이 드랍랜딩점프(drop landing jump) 동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으로 진동운동그룹(n=5, VEG, Vibration Exercise Group)과 단순운동그룹(n=5, OEG, Only Exercise Group)을 4주 동안 트레이닝 시킨 후 운동 전과 운동 4주 후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방법 3차원 영상 데이터는 10개의 적외선카메라(Vicon, UK)를 샘플링 율, 100 Hz.를 사용하여 획득하였으며, 하지 관절의 파워는 2대의 지면반력기(AMTI, USA)를 샘플링 율 1000Hz.로 데이터를 획득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무게중심의 변동성은 하강국면에서 가장 크게 나타나 점프 후 착지 시 상해위험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동운동그룹은 훈련기간에 관계없이 단순운동그룹보다 점프높이가 증가하였다. 셋째, 운동그룹간의 관절파워가 4주 훈련 후 엉덩관절 P1(굴곡)과 무릎관절 P2(신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훈련기간에 따른 하지의 관절파워는 모든 국면과 운동그룹에 관계없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훈련기간에 관계없이 진동과 운동을 병행한 진동운동그룹이 운동만을 수행한 단순운동그룹보다 점프높이에 증가를 가져왔으나 점프높이와 하지의 관절 파워와의 일관성 규명할 수 없었다.

여성 호르몬이 무릎의 느슨함(laxity)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emale Hormone on Knee Joint Laxity)

  • 박상균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99-106
    • /
    • 2009
  • 연구의 목적은 여성 호르몬 변화가 무릎의 느슨함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가 실시되었다. 23명의 여성피험자들이 본 실험에 참여하였다. 각 피험자의 호르몬 주기 중에 세 차례에 걸쳐 에스트라디올과 프로제스트론을 혈액들 통해서 산출되었다. 첫 번째 측정은 호르몬주기의 초기 중 3일과 7일 사이에, 두 번째 측정은 배란측정기를 통해서 에스트로겐의 최고치 측정 후 24시간에서 48시간 후인 배란기에 실시되었다. 세 번째 측정은 28일의 평균 호르몬주기를 기준으로 두 번째 측정 후 약 7일이 지난 후에 실시되었다. 무릎 관절의 느슨함 정도가 측정기기(KT-2000)를 통해서 호르몬 수치와 함께 동시에 측정되었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서 호르몬의 수치와 무릎의 느슨함 정도가 각 시기별로 비교되었다. 호르몬의 수치들은 세 차례의 시기 간에 차이가 있었다. 무릎의 느슨함은 각각 호르몬 배란기 동안에 증가를 나타내었다. 다중 회귀방정식을 통해서 20lb좌 30lb의 부하 수준에서 77.9%에서 80.9%4의 예측수준을 나타내었고 두 호르몬 간에 관계가 관절의 느슨함에 상호 상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호르몬의 수치가 무릎의 느슨함을 적절하게 예측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개인의 호르몬 수치의 프로파일을 통해서 관절의 느슨함과 같은 관절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서 스포츠 상황에서의 관절상해에 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겠다.

테이핑이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이 있는 선수들의 점프 착지 시 하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aping on Lower Extremity during lump Landing in Subjects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 김경훈;조준행;이성철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65-272
    • /
    • 2009
  • 발목 테이핑은 상해 예방을 위해 임상적으로 이용되어 질 수 있는 보조적 수단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의 연구들을 살펴보면 발목 자체에 대한 부분만을 언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발목 테이핑의 적용이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을 가진 선수들에게서 점프 후 착지 시에 하지 관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점프의 거리는 각 대상자 키의 50%로 결정하였으며 높이는 각 대상자 키의 20%로 결정하였다. VICON을 이용하여 하지관절의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점프 착지 동안 시상면, 관상면, 수평면의 관절 움직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테이핑은 통계적으로 시상면에서 착지순간 저측 굴곡과 최대 저측 굴곡을 제한하는 효과가 있었으며, 반면에 착지순간 무릎 굴곡과 최대 무릎 굴곡, 착지순간 엉덩 굴곡과 최대 엉덩 굴곡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며, 관상면에서는 최대 발목 내번, 착지순간 무릎 외반과 최대 무릎 외반, 최대 엉덩 외전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고, 수평면에서는 최대 발목 외전, 최대 엉덩 내회전의 감소를 보였다. 발목 테이핑은 발목 관절 운동범위의 제한과 함께 무릎 관절이나 엉덩 관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