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관절경하 절제술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38초

Candida pelliculosa에 의한 진균성 슬관절염의 관절경적 치료 - 증례 보고 - (Arthroscopic Treatment of Fungous Arthritis of Knee Joint by Candida pelliculosa - A Case Report -)

  • 김형천;안수한;김광열;황연수;이지훈;이동은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9-83
    • /
    • 2013
  • 슬관절에서의 칸디다 감염증은 매우 드물다. 칸디다 감염증은 임상 증상이 뚜렷하지 않아 진단이 어렵다. 슬관절에서 발생하는 칸디다 감염 중 Candida albicans가 가장 흔한 균주이고 Candida pelliculosa는 거의 보고된 적이 없는 균주이다. 이에 저자들은 스테로이드 주사 후 슬관절의 Candida pelliculosa 감염증이 발생한 1예를 반복적 관절경하 변연 절제술 및 세척술 그리고 관절경하 항진균제 혼합 시멘트정 충전물 삽입술을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치료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관절경하 원위 쇄골 절제술을 이용한 만성 제 2형 견봉쇄골 손상의 치료 - 6례에 대한 예비 연구 - (Arthroscopic Distal Clavicle Resection for Chronic Stage 2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 Preliminary Report of 6 Cases Study -)

  • 유연식;윤영곤;남일현;문기혁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71-176
    • /
    • 2002
  • 목적 : 저자들은 만성 제 2형 견봉쇄골 관절 탈구에 시행한 관절경하 원위 쇄골 절제술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8년 2월부터 2001년 1월까지 제 2형 견봉쇄골 관절 탈구의 6례를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추시기간은 평균 12개월이었다. 검사의 결과의 평가는 constant-Murray 기능평가법을 이용하였으며 술 전 constant score는 32점 이었다. 결과 : 임상평가 결과 constant score는 술 후 $3\~6$주에서 35점 이었고 3개월은 49점 그리고 6개월에서는 69점으로 증가되었고 전체 환자의 $83\%$에서 만족도를 보였다. 결론 : 만성 제 2형 견봉쇄골 탈구에서 시행한 관절경하 원위 쇄골 절제술은 수기가 쉽고 간단하여 개방성 방법을 통한 광범위한 인대 재건술 또는 오구 쇄골간 고정술에 앞서 시행할 수 있는 방법이라 사료된다.

  • PDF

관절경하 반월상 연골 절제술 후 발생한 혈전색전증 - 1예 보고 - (Thromboembolism After Arthroscopic Partial Menisectomy - A Case Report -)

  • 이기병;송시영;이용범;현호승;신준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22-224
    • /
    • 2008
  • 관절경하 슬관절 수술 후 발생하는 폐색전증은 발생 빈도가 매우 드물며, 대부분의 경우 별다른 임상 증상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40세 남자 환자에서 관절경하 부분 절제술 시행 후 증상을 유발하는 폐색전증이 발생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 PDF

반월상 연골 동종 이식술 후 발생한 화농성 관절염의 관절경적 치료 - 증례 보고 - (Arthroscopic Treatment of an Acute Septic Arthritis after Meniscal Allograft Transplantation - A Case Report -)

  • 김엽;윤정로;서동훈;장형원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3-67
    • /
    • 2009
  • 21세 남자 환자로 반월상 연골 이식술 후 발생한 급성 화농성 관절염에 대해 반복적 관절경하 변연 절제술 및 세척술을 이용 성공적으로 치료 하였던 증례에 대해 보고 하고자 한다. 저자들의 치료 과정은 관절경을 이용한 변연 전제술과 10L 식염수 세척술, 5회의 반복적 관절경 시술, 항생제 정맥 주사로 진행하였다. 반복적 관절경 시술은 임상적 소견과 검사실 결과을 기준으로 결정하였다. 본 증례는 반월상 연골 이식술 후 발생한 급성 화농성 관절염의 치료로 조기에 시행한 관절경 변연 절제술 및 세척술, 이후의 반복적 관절경하 세척술이 효과적 치료 방법의 하나로 고려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내측으로 퇴축된 대범위 회전근 개 파열 (Medial Retracted Large Rotator Cuff Tears)

  • 고상훈;차재룡;김태원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12-219
    • /
    • 2009
  • 내측으로 퇴축된 대범위 이상의 회전근 개 파열은 대범위 파열과 광범위 파열, 봉합이 불가능한 파열을 포함한다. 봉합 이 가능한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관절경 하 봉합술이나 개방적 봉합술을 시행할 수 있다. 그러나 관절경 감시하의 봉 합법은 무척 인내를 요하며 장기간의 긴 학습곡선을 필요로 한다. 봉합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관절경 하에서 변연절제술(debridement)이나 부분 봉합술(partial repair)을 시행할 수 있고, 때로 광배근 이전술이나 역형 인공관절술을 시행할 수 도 있다. 관절경 하에서 변연절제술(debridement)은 국소 마취제의 견봉하 주사후에 통증의 완화와 운동범위의 향상을 경험한 환자들에게 일시적인 호전을 얻을 수 있다. 역시 봉합이 불가능 할 경우에 관절경하에서의 부분 봉합술(partial repair)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상견갑 신경의 신연에 의한 생리적 신경차단(suprascapular nerve traction neurapraxia)이 있는 경우에 특히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건 이식은 수평까지 어깨를 들어 올릴 수 있을 정도의 경도에 서 중등도 근력 약화의 경우에 장기적인 치료로 사용될 수 있다. 전상방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하여 대흉근(Pectoralis major sternal head)의 근 이전술이 사용될 수 있으며, 후상방 회전근 개 파열의 경우에는 광배근(Latissimus dorsi) 근 이전술이 사용되고 있다. 역 견관절 치환술(Reverse Shoulder Prosthesis)은 어깨 관절의 근력이 극도로 약화된 가성 마비 (pseudoparalysis)에서 유용한 치료로 사용될 수 있다. 저자들은 내측으로 퇴축된 대범위 이상의 회전근 개 파열에서 관절경하 봉합법의 시행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하였으며, 봉합이 불가능한 파열의 경우에 변연절제술, 부분 봉합 및 건 이전술과 역 견관절 치환술의 이용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 PDF

거골의 골연골 병변 (Osteochondral Lesion of the Talus)

  • 이근배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9-26
    • /
    • 2007
  • 최근에 스포츠 손상이 증가하고 관절경을 이용한 치료가 발전하면서 조기에 더 적극적인 치료를 하는 추세이다. 또한 방사선 소견에 비하여 관절경하에서는 연골이 불안정하거나 분리되어 있는 경우도 있으므로 기존의 수술 적응증보다는 좀 더 광범위하게 관절경 검사 및 수술적 치료가 요구된다고 생각한다. 치료 방법을 하면 $1.5cm^2$ 이하의 병변을 가진 50세 이하의 환자는 관절경을 이용하여 변연 절제술, 연골하 천공, 연마, 미세 골절술, 소파술 등의 방법으로 치료할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50세 이상의 $3cm^2$ 이하의 병변을 가진 환자 중 mosaicplasty와 자가 연골 세포 이식술을 적용할 수 없는 환자에서 시도해볼 수 있다. $1.5\sim3cm^2$의 병변을 가진 50세 이하의 환자, 그전의 관절경적 치료로 실패한 경우에는 자가골 연골 이식 또는 자가 연골 세포 이식술을 이용하여 치료해야 한다. $3cm^2$ 이상의 병변을 가진 50세 이하의 환자는 자가 연골 세포 이식술이나 동종 골 연골 이식을 이용하여 치료하며, 50세 이상의 환자는 관절 고정술이나 족근 관절 인공치환술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

관절경을 이용한 슬관절의 색소 응모 결절성 활액막염의 치료 (Arthroscopic Treatment for the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in the Knee)

  • 김경택;김철홍;이명진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1-115
    • /
    • 2001
  • 목적 : 슬관절에 발생한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에 대해 관절경을 이용한 활액막 절제술을 시행한 9례의 치료 결과를 분석하여 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2년 7월부터 2000년 5월까지 슬관절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으로 관절경하 활액막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중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환자 8명, 9슬관절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추시기간은 최소 15개월에서 최고 48개월로 평균 29개월이었다. 모든 예에서 슬관절의 동통과 종창이 관찰되었으며 2례에서 외상의 병력이 있었다. 성별 분포는 남자가 6명, 여자가 2명이었고, 연령 분포는 최저 15세에서 최고 67세로 평균 40.4세였다. 양측 슬관절을 침범한경우도 1례 있었다. 모든 예에서 병리 조직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관절경 소견상 국소형은 4례, 미만형은 5례였고 술 전 평균 굴곡 구축은 4.4도(0도$\~$15도)였으며 평균 후속 굴곡은 117.8도(90도$\~$135도)였다. 최종 추시시 슬관절 운동범위는 정상으로 회복되었으며, 평균 후속 굴곡은 133.9도(120도$\~$140도)로 술 전보다 평균 16.1도 증가를 보였다. 술 후 최종 추시시 동통, 종창과 부종등은 관찰되지 않았고 재발의 징후는 없었다. 또한 병리 조직 겸사상 모든례에서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의 소견을 보였다. 결론 :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에서 관절경을 이용한 활액막절제술은 국소형과 미만형 모두에서 진단과 치료에 좋은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 PDF

회개근 개 파열과 동반된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 - 증례 보고 -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of the Shoulder Associated with Rotator Cuff Tear - A Case Report -)

  • 하성식;홍기도;심재천;김태호;조혜제;김종현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2호
    • /
    • pp.275-279
    • /
    • 2010
  • 목적: 회전근 개 파열과 동반된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의 치료 경험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회전근 개 파열과 동반된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을 가진 52세 여자 환자에 대하여 관절경하 활액막 절제술과 견봉하 감압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수술 후 통증의 호전과 기능의 회복을 보였다. 결론: 회전근 개 파열과 동반된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