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관리 프로토콜

검색결과 1,791건 처리시간 0.03초

Diffie-Hallman 키 교환을 이용한 확장성을 가진 계층적 그룹키 설정 프로토콜 (Scalable Hierarchical Group Key Establishment using Diffie-Hallman Key Exchange)

  • 박영희;정병천;이윤호;김희열;이재원;윤현수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3-15
    • /
    • 2003
  • 안전한 그룹 통신은 그룹에 속한 멤버들만이 안전하면서도 비밀스럽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이며, 안전한 그룹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안전하게 그룹키를 분배하고, 그룹 멤버들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중요하다. 또한, 그룹키를 생성, 분배 그리고 갱신하는데 있어 적은 통신량과 연산량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그룹키를 생성하기 위해서, 잘 알려진 두 멤버간의 Diffie-Hellman 키 교환과 완전 이진 트리를 이용한 새로운 방법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많은 양의 모듈러 멱승 연산의 일부를 곱셈 연산으로 대체하여 한 멤버에게 필요한 멱승 연산량을 최소화시킨다. 그리하여, 제안한 프로토콜은 그룹의 크기에 관계없이 프로토콜을 수행하기 위하여 각 그룹의 멤버는 항상 일정한 모듈러 멱승 연산과 곱셈 연산을 수행하며, 기존 프로토콜보다 전체 모듈러 멱승 연산량도 적다.

VANET 환경에서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면서 사고 발생 시 추적 가능한 인증 프로토콜 (A Design of Traceable and Privacy-Preserving Authentication in Vehicular Networks)

  • 김성훈;김범한;이동훈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115-124
    • /
    • 2008
  • 차량 네트워크(Vehicular Networks)환경에서 차량이 주행할 때 네트워크 기반 구조와 안전하게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상호간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하며, 차량과 네트워크 기반 구조와의 통신 메시지로부터 차량의 위치와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아야 한다. 반면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수사기관에서는 사고의 근원을 추적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차량 운행 시 차량은 하나의 RSU(Road Side Unit)와 통신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의 RSU와 통신해야 하므로 위의 성질을 만족시키면서 차량과 RSU 사이의 통신 횟수와 연산량을 줄이는 것 또한 중요한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차량 네트워크 환경에서 차량과 RSU 간 상호인증 프로토콜을 수행할 때 익명아이디(pseudonym)와 MAC 체인(Massage Authentication Code chain)을 이용하여 차량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면서 추적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율적인 상호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하는 프로토콜에서는 익명아이디를 MAC 체인을 이용하여 일회성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익명아이디를 별도로 관리할 필요성이 없다.

클러스터 헤드와 기지국간의 거리를 고려한 향상된 LEACH-C 라우팅 프로토콜 (An improved LEACH-C routing protocol conside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luster head and the base station)

  • 김태현;박세영;권오석;이종용;정계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2호
    • /
    • pp.373-377
    • /
    • 2022
  •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되어지고 있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보안, 군사감지, 환경관리, 산업제어, 홈 자동화 등 많은 영역에 적용된다. 하지만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의 제한된 에너지에 한계로 활용범위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 라우팅 프로토콜 중 LEACH-C를 기반으로 네트워크의 전송을 개선하여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LEACH-CCBD(Low Energy Adaptive Clustering hierarchy - Centrailized with Cluster and Basestation Distance)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LEACH-CCBD 알고리즘은 클러스터 구성시 멤버노드들의 클러스터 소속에 대하여 멤버 노드로부터 클러스터의 거리와 클러스터 노드로부터 기지국까지의 거리를 합산한 값을 비교하여 선정 우선순위를 두어 클러스터 헤드를 소속시키는 기법이다. 제안한 LEACH-CCBD는 Matlab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각 프로토콜에 대한 성능 결과를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에너지 효율성이 LEACH, LEACH-C 알고리즘보다 우수함을 보였다.

WSN 환경에서 LEACH 기반 에너지 효율적인 라우팅 프로토콜 (Energy Efficient Routing Protocols based on LEACH in WSN Environment)

  • 조대균;권태욱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609-616
    • /
    • 2023
  •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센서들은 전원 공급을 위해 상시 전원이 연결되어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센서들에게 공급되는 에너지원인 배터리의 수명은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수명을 연장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며,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을 위해 계층기반 라우팅 프로토콜인 LEACH(: Low-energy Adaptive Clustering Hierarchy)가 등장하였다. 하지만 데이터 송신 시 전송거리의 제곱만큼의 에너지 소모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융합된 데이터를 싱크 노드에 직접 전송하는 LEACH 프로토콜은 에너지 소모가 크다는 제한사항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제한사항을 개선하기 위해, 매 라운드마다 클러스터 헤드들이 싱크 노드와의 상대적인 거리 계산을 통해 클러스터 헤드 간 체이닝 연결되는 멀티 홉 전송으로 전송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ATM 교환기를 위한 TMN 관리 대행 시스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TMN Agent for ATM switch : considering integration of agent into ATM switch)

  • 황희산;이병윤;이길행;우왕돈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1360-1371
    • /
    • 1998
  • ATM 교환기 관리를 위한 TMN 시스템의 개발에 있어, ATM 교환기와 관리 대행자간의 구조적 결합 방법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의 구현 방법이 존재할 수 있다. Embedded Agent와 Gateway Agent와 같은 분류가 그 대표적인 것이라 하겠다. 지금까지의 TMN 시스템의 개발에 있어, 이들 구현 방법들에 대한 객관적 평가를 통한 적절한 구현 모델의 선택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ATM 교환기를 위한 관리 대행자 시스템의 개발에 있어, 가장 먼저 선행되어져야 할 구현 모델 선택을 위해, 5가지의 구현 모델을 설정하고, 각 구현 모델에 대해 MIB 구현 측면, ATM 교환기 내부 프로토콜 측면, 구현의 용이성 측면을 평가한 후, 가장 적절한 구현 모델 하나를 선택하였다. 또한 이 선택된 모델을 기초로 관리 대행 시스템을 구현하였고, 구현 모델의 이점을 극대화하기 위한 관리 대행자와 교환기간의 인터페이스 모델을 제안, 구현하였다. 또한 구현된 관리 대행 시스템을 실제 TMN 관리 시스템에 적용하여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

확장성을 고려한 웹 기반 SNMP 망 관리 시스템의 구현 (An Implementation of Web-Based, Scalable SNMP Network Management System)

  • 민경주;권택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9C권3호
    • /
    • pp.431-438
    • /
    • 2002
  • SNMP는 네트워크의 장비들 사이에서 관리 정보를 주고받는 응용 계층 프로토콜로 동작 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SNMP는 PDU를 통해서 관리 정보의 이름과 값을 서로 교환한다. 지금까지 네트워크 관리는 SNMP를 이용해 콘솔 기반으로 관리되었기 때문에 매우 불편했다. 이 논문에서는 새롭게 디자인된 사설 MIB와 GUI를 통한 웹 기반 SNMP 망 관리 시스템을 구현한다. 또한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상 에이전트를 제안하고 구현한다. 제안된 가상 에이전트를 사용함으로써, 무분별한 트랩 발생에 대한 필터링과 계층적인 망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SIP 기반의 계층적 이동성 및 세션 관리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IP based Hierarchical Mobility and Session Management)

  • 장철운;김양중;정일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405-1408
    • /
    • 2005
  • 이동성 관리 기술은 인터넷의 주요 접속 수단이 고정 접속 환경에서 이동 접속 환경으로 빠르게 변화함에 따라 그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특히 IP 기반의 차세대 유무선 통합망은 기지국마다 라우터가 구현되는 형태를 가정하고 있으므로 IP 를 기반으로 한 이동성 관리 기술의 제공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현재의 Mobile IP 는 빠른 이동성의 지원이 미약하여 차후 다양한 IP 멀티미디어 서비스 지원을 위한 신속한 핸드오버 시에는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SIP 를 기반으로 한 계층적 이동성 및 세션 관리 메커니즘에 대해서 제안한다. SIP 는 다양한 무선 액세스망에 상관없이 이동성 관리를 제공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션 관리 기능까지 제공해 줄 수 있다. SIP 서버의 기능을 분산화 시킨 계층적 구조로서 이동성 및 세션 관리 기술을 제시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현재 제안된 이동성 관리 프로토콜인 Mobile IP 와의 비교를 함으로서 성능을 측정, 분석한다.

  • PDF

객체 지향 개념을 적용한 성능 모니터의 구현 (Implementation of a Performance Monitor using Object Oriented Concept)

  • 김용수;이금석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4권8호
    • /
    • pp.2038-2059
    • /
    • 1997
  • 프로세서의 속도, 주기억장치의 크기 및 엑세스 속도, 입출력 대역폭 등 컴퓨터의 물리적 속성은 사용자에게 주어질 때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제한 하에서, 여러 사용자가 컴퓨터의 자원을 공유하는 다중 프로세스 시스템의 성능은 사용자 프로세스와 자원의 상관 관계를 모니터하고 조정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본 논문은 객체 지향 개념을 성능 관리에 적용하여 객체화된 시스템의 자원 관리자와 사용자 프로세스 및 성능 관리자 사이의 대화 프로토콜 및 객체의 속성을 정의함으로써 성능 관리 시스템의 표준을 제시한다. 이러한 표준화를 통해 성능 관리의 대상이 되는 객체와 성능 관리자를 독립적으로 개발할 수 있고, 성능 관리자를 통해 시스템의 성능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 PDF

사물인터넷 데이터 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ata Management of Internet of Things)

  • 서신림;이현창;신성윤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08-210
    • /
    • 2014
  • 사물인터넷은 협의된 프로토콜에 따라 RFID, 무선 센서,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레이저 스캐너 등 정보 센싱 디바이스를 이용해서 모든 사물들을 인터넷으로 연결하여 지능화 식별, 정위, 추적, 모니터링 및 관리를 실현하기 위해서 정보교환 및 통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이다. 사물인터넷 기술의 발전에 따라 데이터가 지금 기준의 토대위에서 다시 폭발적 증가할 것이고 데이터 관리에게 거대한 도전을 초래한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사물인터넷 데이터 특정 및 현재 데이터 관리 기술 분석하고 데이터 관리 프레임 제안하여 데이터 관리에 대한 연구를 하겠다.

  • PDF

학습 컨텐츠의 제작과 공유를 위한 학습 메타데이터 관리 서비스 설계 (Design of Learning Metadata Management Service for Authoring and Sharing Learning Contents)

  • 서영배;이영석;조정원;최병욱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977-980
    • /
    • 2004
  • SCORM은 웹 환경에 존재하는 다양한 학습관리시스템 간에 표준화 된 컨텐츠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학습 컨텐츠의 호환성을 보장하고 재사용성을 높이고자 하는 표준이다. 하지만 기존의 SCORM 기반학습관리시스템은 학습 리소스의 공유를 위한 기반은 제공하지만 학습 컨텐츠의 세부적인 학습 내용과 학습 문맥을 표현하고, 이를 공유할 수 있는 방안은 제시해 주지 못한다.본 논문에서는 지식 관리 기술인 시맨틱 웹의 RDF를 사용하여 학습 메타데이터를 표현하고, 이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학습 메타 데이터 관리 서비스를 기존 학습관리시스템과 연동될 수 있는 모듈로서 제안한다. 또한 SCO에 포함될 수 있는 RDF기반 특징정보 파일을 정의하고, 저장된 학습 메타데이터를 SOAP 프로토콜을 통하여 외부 학습관리시스템과 공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이를 기반으로 교수자는 학습 주제와 관련된 컨텐츠를 검색하여 새로운 학습 컨텐츠를 제작 할 수 있으며, 학습자는 의미 기반 검색을 통하여 다양한 학습 컨텐츠와 능동적인 학습 환경을 체험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