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관람자의 위치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4초

《ZENetic Computer》 작품 분석을 통한 21세기 관람자 역할의 변화 (Change of Roles of Twenty-First Century Spectators in the Analysis of 《ZENetic Computer》 )

  • 김희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134-142
    • /
    • 2009
  • 20세기에 접어들면서 예술작품의 발전과 변화는 관람자에게 영향을 미쳤다. 관람자는 회화와 조작과 같은 예술 작품을 감상할 때 흔히 그 주위를 살펴보는 관조적이고 수동적인 관람 자세를 보인다. 20세기 양차대전의 격변기를 거치면서 예술작품의 변화는 관람자의 참여를 요구하였다. 관람자 역할이 능동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은 감상하는 작품의 변화와 연관관계를 가진다. 20세기 중반 매체발달과 컴퓨터의 발명으로 관람자는 적극적인 이용자의 위치에 이르렀다. 또한 현재의 관람자는 이용자에서 제작자로 위치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는 나오꼬 토사의 $\ll$ZENetic Computer$\gg$ 작품을 통해서 제작자의 위치를 넘보는 현대적 관람자의 역할을 고찰함으로써 이러한 흐름을 조명하였다.

초광대역 레이더를 이용한 실시간 관람 행태 분석 시스템 (Real-time Visitor's Behavior Analysis System via Ultra-Wide Band Radar)

  • 이주순;서호건;이규빈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8권4호
    • /
    • pp.85-90
    • /
    • 2019
  • 초광대역 레이더는 수 GHz대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고속무선통신 기술로 실내 무선 측위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한편, 박물관 및 전시회 등의 기관에서는 방문객 실시간 위치뿐만 아니라, 관람자의 이동경로 및 체류시간 정보 또한 관람 행태 분석을 위해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초광대역 레이더를 이용한 실시간 위치 추적 기술을 통해 박물관 방문객의 관람 행태를 분석하는 시스템을 구축 사례를 소개한다. 개발 시스템을 국립중앙박물관 신라관에 설치하여, 22개의 상용 초광대역 레이더로 부터 실시간 측위 정보 수신하고, 이를 통해 관람자 조건별 이동경로 및 전시 대상별 체류시간을 분석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였다.

인터랙티브 아트 인터페이스의 관람과 독자적 경험 - "Meta 4Saisons"을 중심으로 - (Spectators's Route Selection and Their Individual Participation in "Meta 4Saisons" as an Interactive Art Interface)

  • 김희영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29-139
    • /
    • 2007
  • 과거의 인터랙티브 아트는 과학자들과 예술가들의 학제간의 연구를 통해 조금씩 시도되었다. 디지털 시대를 맞이하면서, 디지털기술을 사용한 예술방식이 점차 늘어가고 있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다른 매체들과 결합하고 있다. 본 논문은 $\ulcorner$메타 사계절$\lrcorner$에서 관람자와 인터랙티브 아트 사이에서 어떻게 관람자가 독자적 관람 경로의 선택이 인터랙션을 높이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관람자 개개인이 선택할 수 있는 관람경로가 누구와도 같지 않은 독자성을 가진다. 이 독자적인 관람경로는 각 관람자가 개인적인 상호작용성을 가지는 위치에 있게 만들고 그들은 인터랙티브 아트 인터페이스의 몰입을 통해 다양한 경험을 느끼게 된다.

  • PDF

가상 현실 갤러리를 위한 관람자와 미술품의 거리 변화에 따른 해상도 변화

  • 박세근;박길철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1999년도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118-134
    • /
    • 1999
  • 가상 현실 미술관에서 시각적 요소인 해상도는 참여자에게 매우 중요한 인공현실감을 제공하며 실제 세계와의 상호 교류의 차이의 극복 요소로서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시각적 측면을 중심으로 가상현실 전시관에서 관람객과 전시물 사이의 거리에 따른 감상 위치를 분석하고, avatar의 이동에 따른 원근법을 적용하여 해상도를 동적으로 변화시킨다. 특히, 가상 공간의 이동 예측 및 거리 측정에 따른 해상도의 변화는 현장감 향상에 도움을 준다.

  • PDF

김은숙 드라마 <도깨비>의 몰입기제 구축과정 분석 - 관람자 예측성과 가설 구성 활동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Involving Mechanism of Kim Eun-Sook Drama : Focused on the Audience's Predictability and the Activities of Constructing Hypotheses)

  • 김의준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79-91
    • /
    • 2019
  •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투자 위험성으로 인해 경쟁력 확보를 통한 리스크 관리가 중요한 산업이다. 콘텐츠의 경쟁력은 산업 환경과 같은 외적 요인과 함께 몰입 기제를 중심으로 하는 내적 요소가 동시에 갖추어졌을 때 강화된다. 몰입 기제는 관람자의 인지 반응의 한 형태로 영상 콘텐츠 관람 시 뇌의 신호처리 과정을 통해 발생한다. 콘텐츠 시청과 관련된 뇌의 신호처리는 주로 작업기억(working memory) 영역에서 이루어지며 몰입도가 높은 콘텐츠의 경우 관람자에게 전달되는 콘텐츠 이외의 정보를 차단함으로써 일시적인 해리 상태를 발생시킨다. 최면이나 기억상실과 같은 증세와 유사한 해리상태는 관람객의 몰입도가 높은 수준에 도달했을 때 발생한다. 반면 관람자가 주의를 집중하고 있는 콘텐츠 정보는 외부정보 유입이 상대적으로 차단 또는 지연된 상태에서 일화 완충기(episodic buffer)를 통한 미래 사고(future thinking)의 구성을 위해 집중적으로 사용된다. 관람자의 미래사고 구성은 가설구성 행위(hypothesis forming activity)의 형태로 진행되며 뇌의 예측성(predictability)에 기반을 둔다. 이와 같은 가설 구성 행위가 뇌의 본질적 기능인 예측성과 스토리의 진화적 기능인 문제 해결 시뮬레이션과 조응할 때 관람자의 뇌는 콘텐츠에 높은 수준으로 몰입하게 된다. 가설 구성 행위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가설 구성의 배경, 가설구성의 주체, 인물의 내적 정보, 가설 발생 정보의 종류와 위치 및 규모, 정보의 가설 연관성과 유형 같은 요소들이 중요하다. 이와 같은 요소를 기준으로 김은숙 드라마<도깨비>를 분석한 결과 위의 요소들이 유기적이고도 효과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후면 투사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입체 광고 장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gital Type 3-dimensional Advertisement Apparatus Using Rear Projection)

  • 송원길;이영원;박기태;강양구;강민구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304-305
    • /
    • 2012
  • 본 연구는 후면투사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입체 광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역상조각법 방식(Involved Sculpture)으로 형성되는 스크린 및 상기 개체의 일부 형상의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를 이용하였다. 스크린을 입체적으로 형성함으로써 마네킹 전체의 통일감을 주고 위화감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스크린을 역상 조각법에 의하여 형성함으로써 관람자의 위치에도 불구하고 관람자 자신이 주목받는 것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다.

  • PDF

반투영 거울 기반 공간 증강 현실 환경의 전시물 안내 시스템 (Annotation System using Spatial Augmented Reality Display with Half-slivered Mirror)

  • 김정훈;이영보;박현우;윤태수;이동훈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37-45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반투영 거울을 사용하여 원하는 출력물을 허공에 디스플레이 하는 방식의 전시물 안내 시스템을 제안한다. 관람객이 전시물을 관람시 즉각적인 정보 획득이 가능하도록, 전시물에 대한 설명을 전시물 주변에 출력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세 가지 문제를 해결한다. 첫째, 실시간 입력 카메라영상을 사용하여 위치 추적을 한다. 이를 통하여 고정된 전시물뿐만 아니라, 유동적인 전시물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둘째, 실시간으로 계산되어진 대상의 위치좌표를 이용하여 결과물을 출력할 때, 자연스러운 이동을 위하여 병렬처리를 통한 추적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셋째, 공간 증강 현실 시스템제작을 위해 전시 공간 앞면에 반투영 거울을 설치하는데, 설치된 거울의 기울기로 인하여 생기는 왜곡은 반사 변환 행렬을 사용하여 보정한다. 본 논문의 제안 시스템은 전시물에 대하여 관람자의 호기심을 유발하며, 쉽고 즉각적인 설명을 통하여 관람자가 전시물에 대한 정보를 쉽고 빠르게 획득하도록 한다.

  • PDF

무용공연 관람객의 관람 후 감정과 행동 분석 (An Analysis of the Post-viewing Emotion and Behavior on the Dance Audience)

  • 최청자;김형남;심현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147-15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무용공연관람객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관람후 감정과 행동의 차이가 어떠한 가를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무용공연장을 이용하고 있는 관람객을 대상으로 참여자 280명을 표집하여 개인적 특성(직업, 관람횟수, 무용경험, 무용장르), 관람 후 감정(관람감정, 만족도), 관람 후 행동(탐색행동, 재관람 의향)의 변인에 대하여 설문조사 방법으로 SPSS 18.0 을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무용공연 관람객의 개인적 특성(직업, 관람횟수, 무용경험, 무용장르)에 따른 관람 후 감정(긍정적 감정, 만족도)의 차이가 관람횟수 변인에서 관람횟수가 높을수록 증가현상이 나타났다. 둘째, 무용공연 관람객의 개인적 특성(직업, 관람횟수, 무용경험, 무용장르)에 따른 관람 후 행동(탐색행동, 재관람 의향)의 차이가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무용경험이 있는 집단, 관람횟수가 많은 집단, 예술가집단, 현대무용과 한국무용관람 집단에서 증가현상이 나타났다.

시청각 장애관객 및 일반 관객을 위한 오디얼, 비주얼 정보 전달 시스템 연구 (A Study On Audial and Visual Information Transfer System for the disable and general Audience)

  • 이동훈;장태수;신호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756-762
    • /
    • 2009
  • 본 연구는 시청각적 장애를 가진 관객 및 일반 관객에게 전시, 테마파크, 회의, 박람회 등 관람 시 그들이 필요한 시청각적 정보를 실시간으로 추출 통합 가공하여 입체감 있게 전달, 원활한 공연 관람을 돕는 시스템에 관한 것을 주제로 한다. 청각적으로는 공연자의 위치를 추적, 연산하여 공연자의 공연환경조건과 가장 유사한 음색을 가진 정보전달음을 전송하기 위한 최적의 알고리즘을 연구 및 구현하며, 시각적으로는 공연자의 위치를 추적하여 공연 중 관심분야를 적합한 디스플레이에 확장해 주고, 여기에 추가적인 정보를 추가 표시하여 시각적 정보를 공연에 방해 없이 전달하며, 이러한 최종 결과물들을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보관할 수 있는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이다.

  • PDF

인터랙티브 아트의 창발성에 관한 분석 -인공생명 예술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Emergence of Interactive Art in Art and Artificial Life)

  • 김희영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31-137
    • /
    • 2008
  • 20세기 후반에 들어 관람자의 참여를 통한 인터랙티브 아트의 발전에서 두드러지는 점은 생물학적인요소를 통한 창조와 발전성을 꼽을 수 있다. 인터랙티브 아트는 인공생명(Artificial Life)에 대한 연구들과 함께 발전하면서 생물학적 발전단계로 위치를 점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되지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인터랙티브 아트에서 창발적 발전단계에 있는 세 개의 대표적인 작품사례를 분석하여 그 특성을 규명함으로써 창발성의 발전적 방향의 근거를 조망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