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관광경제

검색결과 684건 처리시간 0.022초

관광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분석 (An Economic Impact Analysis of Tourism Industry in Korea)

  • 지봉구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집 2부
    • /
    • pp.901-903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산업연관표를 활용한 관광산업의 유발승수효과 및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함으로써 관광산업과 다른 산업과의 경제적 효과를 비교분석한다. 다른 산업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관광정책의사 결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연구의 주된 목적이 있다.

  • PDF

가상가치평가법을 적용한 스마트관광 콘텐츠의 경제적 가치 평가: 증강현실을 중심으로 (Measuring the Economic Value of Smart Tourism Content Us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 Focus on Augmented Reality)

  • 정희정;구철모;정남호
    • 지식경영연구
    • /
    • 제23권1호
    • /
    • pp.133-148
    • /
    • 2022
  • 끊임없이 변화하는 관광환경에서, 우리는 성공적으로 관광객을 유치하고 관광객에게 기억에 남을 만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고민이 필요하다. 스마트관광 콘텐츠는 코로나19로 인해 변화된 관광패턴은 물론 다양한 관광지에서 새로운 가치를 선사하여 매력적인 관광지로 전환하는데 유용한 관광자원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아직까지 경제적 지속성을 확보한 스마트관광 콘텐츠의 성공사례는 드물다. 이에, 본 연구는 가상가치평가법(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을 적용하여 증강현실에 기반한 스마트관광 콘텐츠에 대해 관광객들이 인지하는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고, 경제적 지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스마트관광 콘텐츠 개발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제시금액이 낮을수록 새로운 가치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지불의사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가장 적합한 지불의사 금액은 11,823.01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경제적 지속성을 확보한 스마트관광 콘텐츠 개발을 위한 학술적 그리고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관광개발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mathbb{\ulcorner}$관광지출흐름분석$\mathbb{\lrcorner}$ 방법론의 모색 (Impact of Tourism Development on the Regional Economy : Adopting the Tourist Money Flow Analysis)

  • 주성재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13-135
    • /
    • 1998
  • 관광개발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투입-산출분석, 관광소득승수분석, 노동창출효과분석 등의 방법을 사용해 왔으나, 2차적 자료가 부족한 소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분석에는 적응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관광사업체를 대상으로 하는 현지 조사에 근거하여 관광객으로부터 관광사업체로 유입되고 사업체에 의해 지출되는 화폐흐름을 추적하는 '관광지출흐름분석'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3개의 사례지역을 대상으로 한 조사로부터, 이 방법이 관광개발이 유발하는 연간 지출액의 규모와 그 지리적 범위를 추정하게 하고 생산액, 노동유발효과 등 지역경제에 대한 의미있는 지수를 측정할 수 있게 함을 알 수 있다.

  • PDF

관광목적지로서 인사동 문화지구의 장소마케팅 이미지가 외래관광객의 만족도 및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Effect of the Place Marketing Image in the Insadong Cultural District as a Tourism Destination on the Foreign Tourists'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 김시중;은연정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613-626
    • /
    • 2009
  • 본 연구는 외래관광객 방문유형과 국적에 따른 관광목적지로서 인사동 문화지구의 장소마케팅 이미지가 외래관광객의 만족도 및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함에 목적이 있었다.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인분석결과 장소마케팅의 유형은 '정체성', '매력물 삶의 질', '문화관광 경제', '도시재생'의 4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둘째, 관광객 유형별 장소마케팅 이미지 차이 분석결과 '매력물 삶의 질', '문화관광 경제' 및 '도시재생' 요인이, 관광객의 국적에 따른 장소마케팅 이미지는 '매력물 삶의 질' 요인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소마케팅 이미지가 관광객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문화관광 경제 요인', '도시재생 요인' 그리고 '정체성 요인'이 그리고 관광객의 재방문 의도에는 '매력물 삶의 질 요인', '문화관광 경제 요인' 및 '도시재생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디지털경제에서의 한국 관광정책의 방향연구 (A Study for the Direction of Korean Tourism Policy in Digital Economy)

  • 이웅규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7-49
    • /
    • 2004
  • According as the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the Internet are advancing rapidly, the digital economy are no longer emerging or beginning today. They are here with ours already. We are living in a new era that the economic paradigm and structures are changed remarkably, namely the digital economy era. Tourism policy is crucial to tourism industry competitiveness by triggering changes in the digital economy. Better tourism policy in the digital economy should satisfy the tourist needs as well as create additional value for the tourism industry.

  • PDF

일본 관광완제학의 연구변천 (A Survey of Research History in Japanese Tourist Economics)

  • 한기장
    •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9-28
    • /
    • 2001
  • 일본의 관광경제학은 196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그후 1970년대 고도 경제성장의 연장선에서. 경제가 발전된다는 가정 하에 관광의 미래예측을 낙관적인 연구가 있었으며, 관광에 의한 지역개발이라는 관점의 논문이 다수 있었다. 그리고 지리 경제학적 관점에서의 논문이 1980년대에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90년대에는 다양한 종류의 관광현상에 대하여 연구가 시작되었다. 일본인의 관광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일본 관광차회지 및 일본 관광학회 연구보고에 실린 관광경제학의 논문이 어떻게 변화하여 왔는지, 연대별로 알아보기로 한다.

  • PDF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관광자원개발과 관광정책의 역할 (Tourism Resource Development for the Activation of Regional Economic and the Roll of Tourism Policy)

  • 김태헌;박숙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403-412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자원의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에서 관광자원, 관광정책 그리고 지역경제 활성화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관광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설문조사는 2010년 7월 1일부터 30일까지 충청지역과 경상도지역의 국 공립 연구원 전문가를 대상으로 실시하여 최종 283부의 연구샘플이 수집되었고, 통계 처리는 SPSS 15.0과 AMOS 6.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역관광자원이 풍부할수록 지원제도와 유치전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지원제도는 유치전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관광정책이 지역경제 활성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유치전략에 의한 효과보다 지원제도에 의한 간접적 영향이 더 큰 것으로 확인 되었다. 그러나 관광자원이 지역경제 활성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의외로 기각되었는바, 우수한 지역관광자원의 보유와 무관하게 관광정책이 구체적으로 시행되지 않으면 지역경제에 무익하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따라서 정부는 관광특구, 지역축제, 문화재의 지정 등을 통한 관광자원의 지속가능한 개발과 패키지화를 추구하되, 개발 및 선정기준의 업그레이드와 지속적인 평가관리를 통해 지자체에 의한 남발과 중복투자를 막고 관광부문의 질적 발전을 유도해야 할 것으로 보이며, 5+2광역경제권이 출범한 상황에서 관광분야의 광역연계협력사업이나 초광역적 연계협력사업을 적극적으로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최적경험 제공을 위한 관광콘텐츠 기획에 관한 연구 (Study of Planning of Contents for Optimal Experience on Tourism)

  • 곽경희;김기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735-745
    • /
    • 2013
  • 관광산업은 여가시간의 증가와 함께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큰 성장을 보이고 있다. 지역을 대표하는 관광콘텐츠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관광콘텐츠는 지역을 방문하는 관광객에게 단순한 여행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넘어 최고의 경험을 제공하는 단계로 발전을 했다. 하지만 이러한 관광콘텐츠는 지역성의 차이 이외에는 그 구성이나 속성에 크게 차별성이 없는 명목상의 관광콘텐츠도 적지 않다. 관광콘텐츠가 개인에게 감동을 주고 이것이 소비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개인에 대한 이해, 개인의 경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기 때문에 서비스 경제사회를 넘어 체험경제사회로 접어든 현재에 '경험'은 관광콘텐츠를 상품으로 기획, 개발하는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글에서 다루는 체험경제이론의 체험4요소와 몰입론의 Challenge-skill 모델은 양질의 관광콘텐츠를 기획/개발하는 단계에서 관광객의 경험을 구체화시켜주는 틀을 제공해줄 수 있다. 이 글은 결과적으로 콘텐츠를 일종의 체험으로 보았을 때, 체험4요소를 통해 최대의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는 4가지 요소를 제안하였고, 몰입론을 통해 콘텐츠의 수준과 관광객의 이해라는 측면에서 제공되어야 하는 균형 잡힌 콘텐츠에 대해 제안하였다.

관광개발의 영향 평가에 관한 연구 -원주시 간현지역을 중심으로- (Evaluation of Tourism Development Impacts -A Case Study in Ganhyun Area, Wonjoo, Korea-)

  • 유기준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68-275
    • /
    • 2003
  • 본 연구는 향후 우리나라의 효율적인 관광개발 추진에 있어 객관적이고 종합적인 영향 평가작업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으로부터 계획되었으며 관광개발의 영향주체인 지역주민과 관광객 시각에서 관광개발의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강원도 원주시 간현지역에서 지역주민과 관광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지역주민들은 관광개발의 결과로 나타난 지역경제의 활성화 분위기는 감지하고 있으나 실질적인 주민고용이나 지역의 경제자립도 향상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또한 관광개발로 인해 지역이미지는 크게 개선되었으나 교통혼잡이나 쓰레기 문제와 같은 사회 문화적 영향으로 생활의 불편함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환경적 영향은 경제적 영향과 사회$.$문화적 영향에 비해 더 부정적으로 평가하였다. 간현관광지에서 관광객이 느끼는 제반환경에 대한 질적 상태는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관광만족도 수준도 비교적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위와 같은 조사결과를 토대로 향후 간현지역이 성공적인 관광지로 발전하기 위한 안을 제언하였다. 향후 지역주민과 관광객 시각에서의 심리적 평가와 더불어 관광지의 물리적 영향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를 통해 관광개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대안의 제시가 요망된다.

특수목적관광 유형 간의 대체보완 및 총 관광수요와의 영향관계 -상관관계분석 및 계량경제모형의 활용- (Substitute or Complementary among Types of Special Interest Tourism and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otal Individual Tourism Demand and Each Types -Application of Correlation Analysis and Econometrics Models-)

  • 곽강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409-418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 목적관광유형들 간의 대체보완관계 및 총 개인관광수요와 각 유형의 특수목적관광 사이의 인과관계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서울에 거주하고 있는 500개의 표본 중에서 349개의 유효표본이 분석에 이용되었다. 통계적 분석방법으로서 상관관계분석은 대체보완관계의 파악을 위해 그리고 인과관계분석을 위해서는 계량경제모델이 적용되었다. 연구결과, 농촌관광과 해양관광은 상호 경쟁적 대체관계에 놓여 있었으며, 해양관광은 다른 어느 유형의 특수 관광보다 총 개인관광수요에 미치는 영향이 강하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