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곽향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19초

곽향(藿香) 추출물(抽出物)이 장운동(腸運動)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Agastache Rugosa Extract on Intestinal Motility)

  • 이정수;손창규;조정효;신장우;유화승;이연월;이남헌;윤담희;조종관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761-766
    • /
    • 2005
  • Objectives : 본 연구는 암환자의 위장관 기능장애를 개선시킬수 있는 보다 효과적인 약물개발의 일환으로 곽향 추출물의 장운동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어졌다. Methods : 생리적인 상태에서 곽향추출물이 장운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장운동촉진제인 carbachol과 곽향추출물을 실험쥐들에게 투여후 15분후 charcoal meal을 먹여서 charcoal meal의 소장내 통과 정도를 비교 측정하였다. 또, loperamide, scopolamine, nicotine으로 장운동을 억제시켜 놓은 실험쥐들에 15분 간격으로 곽향 추출물과 charcoal meal을 먹인 후 역시 charcoal meal의 소장내 통과 정도를 비교 측정하였다. Results : 곽향 추출물은 생리상태에서는 장운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곽향추출물은 loperamide와 scopolamine으로 유발된 장운동 억제상태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nicotine으로 유발된 상태에 대해서는 영항을 끼치지 않았다. Conclusion : 곽향 추출물은 소화관 기능부전 완화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천연물이라 추론할 수 있다.

  • PDF

곽향(Agastache rugosa)을 포함한 21종의 한약재가 대식세포주 RAW 264.7 세포의 nitric oxide(NO) 생산 조절에 미치는 효과 (Modulatory Effects of 21 kinds of Medicinal Herbs Including Herba Pogostemi (Agastache rugosa) on Nitric Oxide Production in Macrophage Cell line RAW 264.7 cells)

  • 김승현;강미영;남석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4호
    • /
    • pp.411-417
    • /
    • 2005
  •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에서 곽향(Agastache rugosa)을 포함한 21종의 한약재에서 제조한 열수추출물의 NO생산에 대한 조절효과를 조사하였다. 모든 한약재 추출물은 LPS자극으로 생산된 NO에 대하여 뚜렷한 소거활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LPS 무처리 조건에서 곽향이 RAW264.7 세포의 NO생산을 강력하게 유도하였다. $200{\mu}M$의 NOS2의 저해제인 $N^G-monomethyl-L-arginine(N^GMMA$)의 처리에 의하여 곽향이 유도하는 NO 생산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또한 $NF-{\kappa}B$ 저해제인 pyrrolidine dithiocarbamate(PDTC)의 처리로 NO 생산이 $100{\mu}M$에서 약 79%까지 감소하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는 곽향 열수추출물이 RAW264.7 세포의 NOS2 발현의 이차적인 세포 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NO는 L-arginine 의존적 경로에 의하여 생성된다는 사실을 시사하였다.

한방재료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Extracts of Korean Herbal Materials)

  • 신승렬;홍주연;남학식;윤경영;김광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87-191
    • /
    • 2006
  • 본 연구는 한약재료 및 식품부재료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감잎, 산초, 곽향 열수추출물의 페놀함량과 항산화성을 조사 하였다. 감잎 추출물의 페놀성 물질 함량은 곽향과 산초 추출물에 비해 함량이 높았다. 감잎 추출물이 250 ppm에서 $70\%$, 곽향 및 초피 추출물은 1000 ppm에서 모두 $70\%$의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은 곽향과 산초 추출물에 비해 감잎 추출물에서 높았으며, 특히 감잎 추출물의 농도가 1000 ppm에서는 $99\%$의 SOD 유사활성을 나타내었다. 감잎 추출물이 곽향 추출물과 초피 추출물에 비해 모든 농도에서 월등히 높은 SOD 유사활성을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pH와 농도가 각각 1.2, 1000 ppm 농도에서 감잎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99\%$의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나, 곽향 추출물과 초피 추출물은 각각 53, $72\%$의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pH가 3.0에서도 감잎 추출물의 아질산 소거능력도 다른 추출물에 비 해 뚜렷이 높았다. pH 6.0에서는 모든 추출물의 아질산 소거능력은 $10\~20\%$ 정도로 낮았다. 따라서 감잎, 곽향, 초피 추출물의 아질산염의 소거능력은 pH가 증감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감잎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력은 곽향과 초피추출물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경향이었다.

위생적인 장기 보존을 위한 감마선 조사가 곽향(Teucrium veronicoides)의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mma Irradiation for Hygienic Long-Term Storage on Biological Activity of Teucrium veronicoides)

  • 박혜진;박기태;조영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81-591
    • /
    • 2017
  • 약용식물의 장기 저장을 위한 위생처리법으로 감마선 조사처리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국산 약용식물인 곽향에 감마선 조사처리 후 항산화 효능 및 생리활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먼저 곽향의 감마선 조사처리에 따른 조사 판별 마커 확인을 위해 광자극발광법(PSL), 열발광분석법(TL), 전자스핀공명법(ESR)을 이용하여 조사처리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비조사구 0 kGy와 조사구 5 kGy, 10 kGy에서 조사선량에 따라 명확하게 패턴의 차이를 나타내어 음성 시료와 양성 시료로 판단할 수 있었다. 따라서 약용식물인 곽향의 위생처리 및 장기 보존을 위한 감마선 조사처리 시 PSL, TL, ESR 시험 검지법을 적용하여 감마선 조사 여부 판별이 가능한 것을 입증하였다. 감마선 조사처리에 따른 유용성분의 추출 수율 비교를 위해 물과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비조사구 0 kGy와 조사구 10 kGy의 total phenolics 함량을 비교한 결과, 감마선 조사처리에 따라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 감마선 조사처리에 따라 추출 수율이 증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otal phenolics 추출 수율이 가장 우수한 열수 추출물과 50%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total phenolics 농도를 각각 $50{\sim}200{\mu}g/mL$로 조절하여 항산화 및 생리활성 변화를 비교 검증하였다. 수용성 물질의 항산화 활성 확인을 위한 DPPH 라디칼 저해 효과와 ABTS 라디칼 저해 효과를 비교한 결과, 열수와 50% 에탄올 추출물 모두 감마선 조사처리에 의한 효능 변화 폭이 높게 나타나지 않았다. 지용성 물질의 항산화 활성 확인을 위한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 효과에서도 감마선 조사처리가 효능의 변화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TBARS 저해 효과에는 감마선 조사처리에 의해 열수 및 50% 에탄올 추출물 모두 유의적으로 곽향의 TBARS 저해 효과를 증대시키는 양상을 나타내었지만 그 변화 폭은 크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감마선 조사처리가 곽향의 항산화 효능 변화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며, 곽향이 지닌 고유의 항산화력을 일부 보전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감마선 조사처리에 따른 xanthine oxidase 억제 효과를 비교한 결과는 항산화력과 유사하게 효소 억제 활성에 유의적인 변화를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감마선 조사처리에 따른 ${\alpha}-amylase$ 억제 효과를 비교한 결과는 곽향 열수 추출물 $200{\mu}g/mL$ phenolics 농도에서 10 kGy 조사처리 시 63.57%의 저해율을 보여주었으며, 비조사구 0 kGy에 비해 저해율이 23.26%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어 감마선 조사처리에 따라 ${\alpha}-amylase$ 억제 효과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곽향의 위생처리를 위한 10 kGy의 감마선 조사처리 시 곽향 열수 및 5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에 유의적인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감마선 조사처리가 곽향이 지닌 고유한 기능성을 보전하거나 소폭 증대시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가 감마선 조사처리 기술의 기능성 소재 개발 연구에 적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화장품소재로서 곽향 추출물 및 발효물의 생리활성 연구 (A Study on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Agastachis herba Extract and Fermented Products as Cosmetic Materials)

  • 이정로;한갑훈;오태구;강정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1557-1566
    • /
    • 2023
  • 곽향은 서양에서 Korea mint라고 불릴 정도로 허브와 쓰임새가 매우 유사하다. 서양의 허브는 화장품의 소재로 많이 사용하지만 곽향은 우리나라에서 약재로 더 많이 사용되어 화장품 소재로서의 기능성을 비교해보았다. 곽향 추출물과 추출물을 이용한 유산균과 효모 발효물, 에센셜오일, 플로럴워터에 대한 항산화, 미백,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항균력 실험을 진행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모든 샘플에서 높은 효과가 보였고, 미백과 폴리페놀, 항균력에서 에센셜오일이 가장 높은 효과가 보였다. 반면에 플라보노이드는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효과가 보였다. 이런 결과로 에센셜오일이 기능적으로 가장 큰 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추출물을 가지고 효모 발효를 진행한 시료들이 에센셜오일 만큼의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해 에센셜오일의 적은 추출량에 비해 효모 발효를 진행한 시료가 화장품소재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본다.

식물공장 시스템을 이용한 약초의 채소화에 관한 기초연구 2. 채소화가능 약초의 대량생산 시험 (A Study on Utilization of Medicinal Herb as Vegetable by Hydroponics 2. Experiment on Year-Round Production of Medicinal Herb)

  • 최성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1-80
    • /
    • 1995
  • 주요(主要) 한약재(韓藥材)로 이용(利用)되고 있는 약용식물(藥用植物)인 황금(黃芩), 독활(獨活), 곽향(藿香)을 채소화(菜蔬化)하기 위하여 파종기(播種期) 및 재식밀도시험(栽植密度試驗)과 양액재배(養液栽培)를 실시(實施)하여 대량생산(大量生産) 가능성(可能性)을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채소화(菜蔬化) 가능(可能) 약용식물중(藥用植物中) 황금(黃芩)과 곽향(藿香)은 도장(圖場)의 출현율(出現率)이 높아 초밀식재배(超密植栽培)가 가능(可能)하여 대량(大量) 생산(生産)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2. 채소용(菜蔬用) (가공용(加工用)) 유식물체(幼植物體)의 생산(生産)을 위한 밀식재배시(密植栽培時) 황금(黃芩)과 곽향(藿香)은 4월(月) 초순(初旬) 파종(播種)이 가장 유리(有利)하였으며, 재식밀도(栽植密度)는 초밀식재배(超密植栽培) $10\times5cm$(200주(株)/$m^2$)가 유식물체(幼植物體) 생산(生産)이 증수(增收)되는 경향(傾向)이었다. 3. 식물공장(植物工場)시스템을 이용(利用)하기 위한 양액재배시(養液栽培時) 곽향(藿香)은 여액수경(濾液水耕) 방식(方式)에서 일본야채(日本野菜) 표준액(標準液)에서 재배(栽培)가 가능(可能)하였다.

  • PDF

곽향의 성분 분석 및 주요 성분들의 in silico 항당뇨 타겟 단백질 탐색 (Analysis of Chemical Constituents of Agastachis Herba and in silico Investigation on Antidiabetic Target Proteins of its Major Compounds)

  • 최종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483-492
    • /
    • 2021
  • 곽향은 식욕부진, 메스꺼움 등의 치료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항당뇨 효능도 알려졌다. 본 연구에서는 곽향의 항산화력과 주요 성분들을 조사한 다음, in-silico 방법론을 적용하여 타겟 단백질들을 예측하였다. 먼저 메탄올 추출물의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의 EC50 값은 각각 78.6 ㎍/mL과 31.0 ㎍/mL이었다. 이것은 ascorbic acid의 값(9.9 ㎍/mL, 5.2 ㎍/mL)과 비교할 때 항산화력이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 HPLC-PDA-MS/MS를 이용하여 성분들을 정성 분석한 결과, 추출물의 주요 화합물로 rosmarinic acid, tilianin, agastachoside 그리고 acacetin을 확인하였다. 이들 성분들의 항당뇨 작용 타겟 단백질을 DIA-DB 서버를 사용하여 구조 유사도와 inverse doking 방법론을 적용하여 예측하였다. 본 가상 탐색 결과, 주요 타겟 단백질들은 PPAR-γ, DPP IV, glucokinase, α-glucosidase, SGLT2, aldose reductase, corticosteroid 11-beta-dehydrogenase로 예측되었다. 그리고 이들 단백질들 중 일부는 이미 실험적으로 검증된 타겟 단백질이었다. 따라서 in silico 검색 방법이 유효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활성성분들의 최적의 추출 조건을 결정하기 위하여 여러 추출 용매들로 곽향을 추출하였다. 여러 유기 용매들 중에는 메탄올이 그리고 에탄올-물 혼합용매에서는 80% 에탄올이 가장 효과적인 추출 용매로 확인되었다.

식용식물 추출물을 처리한 간고등어의 저장 중 특성변화 (Changes on the Characteristics of Salted Mackerel Treated Extracts of Edible Plants during Storage)

  • 윤경영;홍주연;김미현;조연숙;신승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39-444
    • /
    • 2007
  • 감잎, 곽향, 초피의 추출물을 고등어의 절임과정에 이용하여 저장기간 동안 간고등어의 기능성에 관하여 실험하였다. $4^{\circ}C$의 저장한 절임고등어의 명도(L.), 적색도(a), 황색도(b)는 절임 방법과 저장기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생선의 안쪽 배부분의 명도(L) 값은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였다. 적색도(a)값은 생선 껍질 부분보다 생선 속살 부분에서 증가폭이 더 컸다. $25^{\circ}C$에서 저장기간 동안 간고등어의 색도의 변화는 생선 안쪽의 배부분은 모든군에서 명도(L)값이 뚜렷히 증가하였다.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모든 군에서 적색도(a) 값은 증가하였고, 대조군이 각 추출물에 절인 고등어군보다 높은 적색도(a) 값을 나타내었다. 저장기간 동안 각 추출물에 절인 간고등어의 물성변화는 $4^{\circ}C$의 간고등어에서 각 추출물에 절인 고등어군이 대조군보다 높은 점착성을 나타내었으며, 다른 군에 비해 초피 추출물에 절인 고등어가 $4^{\circ}C$$25^{\circ}C$의 간고등어에서 높은 점착성을 나타내었다. 경도 변화는 모든 군에서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경도는 떨어짐을 보였다. 각 추출물로 절인 간고등어의 색과 맛의 변화는 초피추출물에 절인 고등어가 감잎추출물에 절인 고등어와 곽향 추출물에 절인 고등어에 비해 관능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냄새의 변화는 감잎 추출물에 절인 고등어가 낮은 점수를 나타낸 반면 대조구와 각 추출물에 절인 고등어군은 비슷한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질감은 모든 군에서 비슷한 점수를 보였다. 전체적인 선호도는 초피 추출물에 절인 고등어가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어 관능적으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곽향, 감잎 추출물 처리한 절인 고등어 순으로 나타났다.

곽향(藿香)의 기원식물에 대한 문헌적 연구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source of Gwackhyang)

  • 김인락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3-49
    • /
    • 2006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original source of Gwackhyang(藿香) newly. Methods : Compare the growing district, figure and etc. of Gwackhyang included in the books on herbal medicine with those of present. Results : 1. The growing district of Gwackhyang is south of China or southern place than China. 2. In the picture of the leaf of Gwackhyang, its end is round and it is similar to Mori folium or the leaf of Solanum melongena. 3. We can propagate it by planting a piece of stem. 4. At the Dynasty of the Sejong king, japan sent it 18 times for diplomacy present, and according to Sejongsillockzirizi(世宗實錄地理志), it was planted for the test one time. 5. Baechohyang, another name of Gwackhyang, is rhizome and root of Anisochilus carnosus according to Bonchogangmok(本草綱目). Conclusion : Provide a basis for these results, Gwackhyang in the books on herbal medicine means Pogostemon cablin. It is a mistake to use Agastache rugosa in GwackhyangJeonggisan(震香正氣散) etc. in Ko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