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과학학습 동기

검색결과 358건 처리시간 0.034초

PBL/S-PBL 패키지 평가도구 개발 및 평가 : 보건계열(학)과와 간호(학)과를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Evaluation Frameworks for PBL/S-PBL Packages: in the case of the Dept. in Allied Health Professionals and Nursing)

  • 양정화;김수진;김효실;임진형;채수경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3권3호
    • /
    • pp.203-211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PBL/S-PBL에 사용되는 패키지(교재)를 측정할 수 있는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문헌 고찰을 통하여 PBL 및 S-PBL 패키지를 측정하는 도구의 3항목 15문항의 예비문항들을 만들었다. 예비문항을 대학의 교수 9인의 전문가를 통해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여 PBL은 14문항, S-PBL은 1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평가도구의 구성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요인분석을 하였다. PBL은 동기부여 3항목, 통합성 7항목, 체계성 4항목, 총 14항목으로, S-PBL은 동기부여 4항목, 통합성 6항목, 체계성 5항목, 총 15항목으로 이루어진 평가도구가 제시되었으며 Cronbach's $\alpha$계수가 PBL은 0.9112, S-PBL은 0.9166으로 적절한 신뢰도를 갖는 평가도구로 검증되었다.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와 학업열의가 극복력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s of Stress and Academic Engagement on Resilience in Nursing Students)

  • 이상민;조호진;임민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390-399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와 학업열의 및 극복력의 정도와 그 관계를 확인하고, 스트레스와 학업열의가 극복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G시 1개 대학 간호대학생 192명이었고, 자료수집기간은 2019년 12월 23일에서 26일까지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 22.0 program으로 기술통계, t-test, ANOVA, S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회귀분석으로 실시하였다. 간호대학생의 극복력은 제 특성에서 성별, 학년, 대인관계, 지원동기, 전공만족도, 학점평균 평점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극복력과 학업열의는 정상관관계, 스트레스와는 역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모형분석에서는 학업열의가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주관적 건강상태 중 나쁨, 여성, 3학년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33.0%이었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의 극복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정기수업시간에서부터 내재적 동기부여를 통한 학습이 권장되는 지지적인 분위기 조성과 학업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과 성취감을 가질 수 있는 다양한 학업열의 향상 교육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학업열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PBL 등 교수법 활용을 통하여 극복력을 강화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Circle Map를 활용한 초등학교 과학수업이 학습 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lementary Science Teaching Program with Circle Map on Learning Motive and Learning Achievement)

  • 홍유경;이석희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9권3호
    • /
    • pp.799-810
    • /
    • 2017
  • In this study, to raise the scientific literacy for students,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was developed by applying the Circle Ma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 of Elementary Science Teaching Program with Circle Map on Learning Motive and Learning Achievement. To this end, the 6th grade classroom of A-elementary school located in Jeju-city was selected the experimental group (25 patients). And the other 6th grade classroom in the same school was selected to the comparative group (25 patients).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nducted applying the Circle Map. Comparison group has been conducted lesson program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science class teacher guide. Was through a pre-test of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level can be assumed in the same group. After completing the experimental treatment by conducting a post-mortem examination was statistically validated. In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elementary science class which applied Circle Map had the effect of to improve the scientific motivation(p <.05). In particular, associa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than the scores of the comparative group,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Second, the Circle Map applied to elementary science cla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science achievement.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applied Circle Map was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science achievement post-test comparison. Between the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p <.05). The above findings, Elementary science class which applied Circle Map can be concluded to be effective in science and science achievement motivation. Therefore, applying the Circle Map of elementary science class could be useful i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rough the previous study, applying the Circle Map classes will be able to derive a meaningful learning also subjected to a number of fields and areas.

예비유아교사의 교직 선택동기, 교육신념과 자기주도학습준비도의 관련 및 효과 분석 (Analysis of Relationships and Effec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otivations of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Related to Educational Belief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 유귀옥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5-130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otivations of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educational belief,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The sample included 308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students, and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Modified Orientation to Teach Survey (MOTS), Teaching-belief type scale,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A statistical analysis included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otivations of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educational belief,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conveys that intellectual stimul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had the strongest relationships while nature of work had the weakest. For educational belief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maturationism and interactionism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hile behaviorism displayed a negative correlation. Behaviorism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openness for challenge, a sub-factor of self-directed learning. 2) Analysis of the effec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otivations of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and educational belief o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indicates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otivations of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had a stronger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These results suggest the following: successful performance as an early childhood teacher not only requires receiving institutionalized education but also self-directed learning while working as an early childhood teacher.

언플러그드 활동의 체계적 문헌고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ystematic review of unplugged activity)

  • 김정랑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03-111
    • /
    • 2018
  • 언플러그드 활동의 교육적 효과 및 향후 방향에 대하여 고찰하기 위해 2007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체계적 문헌고찰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는 RISS, KISS, E-article의 세 종류를 활용하였으며 '언플러그드', '놀이중심' 등의 옵션으로 검색을 실시하였다.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방법에서 선정한 프로토콜에 따라 모니터링하고 추출한 결과 최종 선정된 논문은 37편이었으며 연구현황, 연구 대상, 연구 방법, 연구 주제어, 학습 유형, 교육 방법, 연구 효과의 측면에서 분석을 실시하였다. 언플러그드 활동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으며 교육적 효과로는 학업성취도 및 문제해결력, 논리적 사고력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정의적 영역에서는 흥미, 호기심, 동기 부여 측면이 가장 많았다. 문헌분석 결과를 기초로 언플러그드 활동이 지닌 특성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공공도서관 청소년자료실의 공간 평가요소 분석 및 사례조사 연구 (A Study on Space Evaluation Factors and Case Analysis of Teen Space in Public Libraries in Korea)

  • 김지영;이기리;김연지;박옥남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15-245
    • /
    • 2019
  • 본 연구는 국내 공공도서관 청소년자료실 공간에 대한 평가요소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청소년자료실 공간 현황 및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미국 청소년도서관서비스협회의 청소년 공간 가이드라인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6가지 공간 평가항목 - 편의성, 접근성, 안전성, 다양성, 쾌적성, 영감성 - 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서울시 5개 공공도서관의 청소년자료실을 대상으로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공공도서관의 청소년을 위한 공간을 구성함에 있어 안내 및 편의시설, 정보자원에 대한 접근, 이용자 지침 정비, 다양한 공간 활용 및 운영, 쾌적한 도서관 이용환경 제공, 청소년에게 학습동기 부여 및 요구되는 모든 자원의 지원이 가능한 공간이 요구됨을 파악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 과학과에서 프레어모형을 활용한 수업이 학습동기와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ching Program with Frayer model on Learning Motive and Learning Achievement of 6th Grade Elementary Science Learning)

  • 양치훈;이석희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52-163
    • /
    • 2015
  • In this study, to raise the interest and curiosity of students and at the same time to learn science concepts meaningfully for students,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was developed by applying the Frayer mode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 of Elementary Science Teaching Program with Frayer model on Learning Motive and Learning Achievement. To this end, the 6th grade classroom of A-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gwipo-city was selected the experimental group (26 patients). And the other 6th grade classroom in the same school was selected to the comparative group (27 patients).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nducted applying the Frayer model. Comparison group has been conducted lesson program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science class teacher guide. Was through a pre-test of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level can be assumed in the same group. After completing the experimental treatment by conducting a post-mortem examination was statistically validated. In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elementary science class which applied Frayer model had the effect of to improve the scientific motivation. In particular, attention (p <.01), association (p <.01), confidence (p <.01)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than the scores of the comparative group,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Second, the Frayer model applied to elementary science cla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science achievement.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applied Frayer model was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science achievement post-test comparison. Between the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 <.01). The above findings, Elementary science class which applied Frayer model can be concluded to be effective in science and science achievement motivation. Therefore, applying the Frayer model of elementary science class could be useful i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rough the previous study, applying the Frayer model classes will be able to derive a meaningful learning also subjected to a number of fields and areas.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박자 맞추기 게임이 발달 지연 아동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Beat-Keeping Game Through Smartphone Applications on Executive Function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 설예림;김진경;박소연;강대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11권3호
    • /
    • pp.81-92
    • /
    • 2022
  • 목적 : 본 연구는 발달 지연 아동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박자 맞추기 게임이 실행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발달 지연 아동 3명을 대상으로 개별 사례 연구 방법 (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중 ABA설계를 사용하였다. 독립 변인은 박자 맞추기 게임으로, 노래가 나오는 화면을 보고 화면에서 나타나는 검은색 타일을 누르는 게임이다. 박자 맞추기 게임은 주 3회기, 휴식 시간 포함 20분 동안 총 7회기 진행하였다. 종속 변인은 박자 맞추기 게임이 대상자의 실행기능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매 회기 '시각운동속도'를 측정하였고, 중재 전·후에는 '아동 색 선로검사(Children's Color Trails Test: CCTT)'와 '토막짜기(Block design)', '숨은 그림 찾기(Finding hidden picture)'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는 3명의 대상자 모두 독립 변인인 박자 맞추기 게임의 수행도가 향상되었고, 종속 변인인 '시각운동속도', '시각 주의력', 집중력의 실행기능도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결론 : 본 연구 결과, 박자 맞추기 게임이 발달 지연 아동의 실행기능 향상에 효과적인 중재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기초로 학습에 대한 동기 부여가 어렵고 집중력이 부족한 발달 지연 아동을 대상으로 학습 및 중재에 효과적인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개발과 적용이 이루어지길 기대해 본다.

Untact 상황에서 PBL 교수법을 통한 SW 프로젝트 영어 지도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SW Project English Teaching through PBL method in an Untact Environment)

  • 이성옥;김민규;이혜수;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14-51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상황 가운데 'SW프로젝트 영어'를 PBL 교수법으로 운영한 사례 연구를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에 있다. 교양 영어인 만큼 다양한 학년과 전공 학생들이 수강하였고 개강 직후 학생들의 영어 실력 및 SW 관련성을 판단하고자 설문을 시행하였다. 설문 내용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수강 동기와 코로나-19 상황 가운데 어학 수업을 비대면으로 실시해야 함에 따라 적절한 교육과정 운영, 과제 운영을 구성할 수 있는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학생들의 SW 영어 교육에 대한 니즈를 파악 후, SW 관련 영어 실력 배양을 위한 퀴즈와 과제를 구성하였다. 매 과제에 대한 실시간 피드백으로 비대면 녹화콘텐츠 수업임에도 불구하고 1:1 피드백을 통하여 소통하며 학생들의 수업 진행을 점검하였다. 주간 퀴즈를 통한 수업 진도에 따른 학습을 유도하였고 주제와 관련된 과제를 통하여 SW 관련 영어를 학습하도록 하였다. 자신이 모르는 단어를 중심으로 SW 영어 단어장 만들기 및 본인의 목소리로 직접 예제를 녹음하는 과제를 마감까지 충분한 시간을 주어 수행토록 하였다. 과정이 종료되면서 학생들의 성적을 평가한 결과 AI/SW창의융합대학, 경영대학, 문화예술대학, 인문사회대학, 자연과학대학 순으로 학생들의 성적이 평가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상황 가운데 SW 영어를 PBL(Project-Based Learning : 프로젝트 법)이라는 교수법을 통하여 수업을 운영함으로써 학생들의 SW 영어 성취도를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PDF

국내외 학술지를 토대로 분석한 화학교육 연구의 최근 동향 비교 (Comparison of the Recent Trend of Chemistry Education Research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Domestic and Foreign Journals)

  • 한재영;이상철
    • 대한화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290-296
    • /
    • 2012
  • 화학교육 연구의 최근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내와 국외 화학교육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비교 분석하였다. 국내 학술지로는 대한화학회지와 한국과학교육학회지를 선택하였고, 국외 학술지로는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을 선택하였다. 세 학술지에 2000년에서 2009년까지 10년간 게재된 논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주제로 '교수법 및 교육공학', '학습자 특성', '화학 개념 및 실험' 순서로 많이 연구되었고, 한국의 사회적 특성이 반영된 '교육과정 및 교과서' 연구도 종종 이루어졌다. 연구에서 다루어진 화학교육 목표는 '개념 이해 및 개념 변화'가 가장 많았고, 국외의 경우 '성취도 또는 성적'이, 국내의 경우 '실험·탐구 능력'과 '태도, 흥미, 동기'가 두 번째로 많았다. 연구 대상으로 국내에서는 중학생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많은 반면 국외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많아, 국내 연구에서 고등교육에 대한 관심이 요구된다. 연구 방법으로 '조사 및 검사'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국내의 경우 '자료 분석 및 내용 분석'과 '실험 연구', 국외의 경우 '실험 연구'가 두 번째로 많았다. 미래의 화학교육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