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과학자의 의미

Search Result 551,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한국의 전통 - 우리 술 이야기

  • Kang, Seong-Eun
    • 식품문화 한맛한얼
    • /
    • v.2 no.1
    • /
    • pp.42-45
    • /
    • 2009
  • 술! 우리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술. 이 술이라는 말에는 어떤 뜻이 내포되어 있을까?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술이라는 말은 본래 '수불'이라고 불렸다고 한다. 물과 불! 우리 선조들은 술을 빚는 과정에서 효모가 생성하는 이산화탄소에 의해 술덧(술밑) 표면에 거품이 생기는 현상을 보고는 물에 불이 붙어서 부글부글 끓어오르는 것으로 생각하고 '수불'이라고 표현한 것 같다. 어찌 보면 비약적인 해석일 수 있으나 우리 선조들이 말 속에 과학 현상을 잘 표현한 것이라 할 수도 있다. 술의 한자어인 주(酒)는 물 수(水)자와 본래 술을 뜻하는 유(酉)자가 합쳐진 것으로 '물이 익은 것' 이라는 뜻이 내포되어 술이 만들어지는 현상을 표현한 것이라면, 술이라는 말은 효모에 의해 술이 만들어지는 과정의 일부를 과학적으로 표현한 말이라고 할 수 있다. 또 이 말 속에는 끓는다는 뜻의 라틴어 'ferverve'에서 유래된 'fermentation', 즉 발효의 의미도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뜻을 내포하고 있는 술에 대해 우리나라 주세법에서는 알코올 도수 1% 이상의 음용 가능한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으나, 각각의 개인이 내리는 술에 대한 정의는 천차만별일 것이다.

  • PDF

Construction of Domain Ontology-based Framework for an Logistics Integrated Environment (물류 통합 환경을 위한 도메인 온톨로지 기반의 검색 프레임워크)

  • Bae, Si-Yeong;Koh, Jin-Gwang;Choi, Hyun-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1091-1094
    • /
    • 2012
  • 산업 및 무역, 유통 기업들은 수많은 물류자원이 된다. 이러한 기업들은 물류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전문 물류 기업에 물품 운송 부분을 맡긴다. 전문 물류 관리 기업들은 컴퓨터와 인터넷의 발전으로 공급자, 구매자와 타사 기업들간에 인터넷으로 서로 연결된다. 하지만 서로 다른 회사에서 사용하고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때문에 이기종데이터는 타사 기업을 위한 물류 정보시스템에 큰 문제가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문 물류 회사를 위한 도메인 온톨로지 기반의 검색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제안한 도메인 온톨로지 기반의 검색 프레임워크는 통합 환경에서 전문 물류 회사를 위한 다양한 시스템과 프로세스를 포함한 문서로 제공될 수 있고 여러 다양한 문서의 통합 검색을 지원하며 문서 안의 의미 정보를 고려할 수 있다.

Data Publishing and Library (데이터 출판과 도서관)

  • Jung, Young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7.08a
    • /
    • pp.101-101
    • /
    • 2017
  • 연구 성과물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함으로써 다른 연구에도 도움을 주어 또 다른 과학적 발명과 발견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는 오픈 사이언스의 철학이 전세계적으로 설득력을 얻으면서 연구 데이터 공개 및 출판을 위한 사회적 논의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지난 몇년 동안 글로벌 표준식별자 개발, 메타데이터 및 인용 방식의 표준화, 데이터 리포지토리 구축 등 연구 데이터 공개 및 출판을 위한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학술지 논문의 부속 자료로 여겨지던 데이터(연구 데이터)는 이제 다양한 분야에서 논문과는 독립적으로 데이터 리포지토리에 기탁되어 공개되거나 데이터 저널에 출판되기도 한다. 그러나 학술 논문의 출판과는 달리 데이터 출판은 종종 다른 용어와 의미로 정의되기도 하며 분야마다 데이터 출판의 방식과 구현의 정도가 크게 다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진행 중인 데이터 공개 및 출판 이니셔티브를 소개하고 데이터의 공적 이용가능성, 문서화, 인용, 식별자 부여, 검증 및 데이터 출판의 단계별 구현 사례를 분석한다. 또한 국내에서 데이터 출판과 관련하여 수행 중인 과제를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학술 정보 출판과 연구데이터 관리를 도서관의 기능으로 인식하고 출판과 관련한 다양한 관심사를 논의하는 도서관 중심 이니셔티브를 살펴봄으로써 데이터 출판과 관련한 도서관의 역할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과학영재와 인문영재의 영재성 타당화 연구

  • 심재영;김언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
    • 2003.05a
    • /
    • pp.91-108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암묵적 방법에 의해 도출된 영재성과 명시적 이론간에 차이가 있는가\ulcorner 둘째, 과학 분야와 인문 분야에는 어떤 영재성 요인들이 있는가\ulcorner 셋째, 분야별로 영재성의 요인구조 어떤 차이가 있는가\ulcorner 연구의 방법은 세 단계로 이루어졌다. 연구의 첫 단계는 과학자, 학부모, 교사, 대학생을 대상으로 암묵적 이론 접근으로 영재 의미를 구명하였다. 연구의 두 번째 단계는 자연계 영재 집단 469명, 인문계 영재집단 285명에 대하여, 암묵적 이론 접근에 의해 밝혀진 영재의 특징들은 과학영재와 인문영재를 구분하는 준거가 되는지의 여부를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연구의 세 번째 단계는 검증된 자료를 가지고 인문계 영재 집단과 자연계 영재 집단 간의 영재성 요인 구조상의 차이를 검토하였다.

  • PDF

Clarifying the Meaning of 'Scientific Explanation' for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과학 학습지도를 위한 '과학적 설명'의 의미 명료화)

  • Jongwon Park;Hye-Gyoung Yoon;Insun L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43 no.6
    • /
    • pp.509-520
    • /
    • 2023
  • Scientific explanation is the main goal of scientists' scientific practice, and the science curriculum also includes developing students' abilities to construct scientific explanations as a major goal. Thus, clarifying its meaning is an important issue in the science education community. In this paper, the researchers identified three perspectives on 'scientific explanation' based on the scoping review method (Deductive-Nomological, Probabilistic, and Pragmatic explanation models). We argued that it is important to clarify and distinguish the meanings of 'scientific explanation' from other concepts used in science education, such as 'description', 'prediction', 'hypothesis', and 'argument' based 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It is also pointed out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scientific explanation' as a product and 'explaining scientifically' as communication, and several ways to revise achievement standard statements in the science curriculum are suggested, to guide students to construct scientific explanations and to help students to explain scientifically. By adopting the three scientific explanation models, the important factors to be considered were classified and organized, and examples of science learning activities for scientific explanation considering such factors were suggested. It is hoped that the discussion in this study will help establish clearer learning goals in science learning related to scientific explanation and aid the design of more appropriate learning activities accordingly.

New Changes and Tasks of the Science Museum: Focusing on its relation to PUS (과학(박물)관의 새로운 변화와 우리의 과제: PUS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Leem So-Yeon;Hong Sung-Ook
    •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 /
    • v.5 no.2 s.10
    • /
    • pp.97-127
    • /
    • 2005
  • While science museums, whose functions consist traditionally in collecting, preserving, researching, and displaying science-related objects, present scientific knowledge, figures, or tools in the historical context, science centers give more emphases on science education by exposing interactive exhibits to their visitors. However, neither objects-oriented exhibits nor hands-on technologies can provide museum visitors with the full insight into modem science in terms of its complicated relationships to politics, economy, culture, art, risk, and environment. This paper argues that for the 21st century we need to establish a new kind of science museum through the critical examination of its previous kinds - science museums and science centers. In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the history of the first and second generations of science museums, including their recent trends in science centers, in the West will be elaborated. Secondly, the development of national science museums in Korea will be discussed specifically for the understanding of Korean science museums. The next part of this paper will seek for the possibilities of the third generation of science museums through three examples, which show interdisciplinary, contextual, and institutional approaches to change science museums or science centers. Fourthly, the social function of science museums as 'forum' will be discussed in relation to promoting public 'participation' of science as well as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As a conclusion, some practical suggestions and conceptual guidelines will be proposed for the future Korean national science museum.

  • PDF

An Analysis on Behavior Characteristics between Gifted Students and Talented Students in Open-end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개방형 문제 해결과정에서 수학 영재아와 수학 우수아의 행동특성 분석)

  • Shin In-Sun;Kim See-Myu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0 no.1 s.25
    • /
    • pp.33-59
    • /
    • 2006
  • This study is intended to reconsider the meaning of the education for gifted/talented children, the foundation object of science high school by examining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between gifted students and talented students in open-end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nd to provide the basis for realization of 'meaningful teaming' tailored to the learner's level, the essential of school education. For the study, 8 students (4 gifted students and 4 talented students) were selected out of the 1 st grade students in science high school through the distinction procedure of 3 steps and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between these two group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basis established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were founded. (1) It must be recognized that the constituent members of science high school were not the same excellent group and divided into the two groups, gifted students who showed excellence in overall field of mathematical behavior characteristics and talented students who had excellence in learning ability of mathematics. (2)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between gifted students and talented students, members of science high school is understood and a curriculum of science high school must include a lesson for improving the creativity as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gifted/talented students, unlike general high school.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try to find a support plan that it reduces the case which gifted students are generalized with common talented students by the same curriculum and induces the meaningful loaming to learners, the essential of school education.

  • PDF

베이즈주의와 오래된 증거의 문제

  • Yeo, Yeong-Seo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6 no.2
    • /
    • pp.135-158
    • /
    • 2003
  • 베이즈주의는 믿음의 정도라는 확률의 의미해석과 수학적 확률론에 의한 계산체계를 기초로 하여 가설과 증거간의 입증(confirmation) 관계를 명료하게 분석한다. 베이즈주의는 증거 E가 가설 H를 입증한다는 것을 PR(HIE&K)-PR(HIK)>0으로 정의한다. 그러나 이러한 분석이 과연 과학자들의 입증개념을 올바로 반영하고 있는가 하는 비판이 오래된 증거(old evidence)의 문제로부터 제기되었다 오래된 증거는 이미 알려진 정보이기 때문에 완전한 확률 값 1을 부여받는다. 이 때 오래된 증거가 가설을 입증할 수 있는가 하는 질문은 베이즈주의자와 실제 과학자 사이에 서로 다른 답변을 도출한다. 먼저 베이즈주의에 따르면 오래된 증거가 가설을 입증할 수 없다. 그것은 PR(EIK)=1일 때 PR(HIK)=PR(HIE&K)의 결과가 도출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과학사의 여러 예들로부터 제시되는 실제 과학자들의 입증개념에 따르면 오래된 증거가 가설을 입증하고 있다. 필자는 이와 같은 입증개념의 이질성 문제가 다만 어떤 증거가 입증 가능한 것인지를 구분해야 하는 질적인(qualitative) 문제일 뿐만 아니라 증거가 가설을 어느 정도 입증하는지 하는 입증도를 정확하게 측정해야 하는 양적인(quantitative) 문제라는 점을 밝힌다. 특히 필자는 양적인 문제를 해결하면 질적인 문제가 자연히 해결된다는 점을 밝히고, 반 프라센이나 가버가 제안한 전략이 모두 질적인 문제만을 다루기 때문에 부분적인 해결책에 지나지 않는다는 점을 밝힘으로써 오래된 증거의 문제의 본질은 양적인 문제에 있다는 점을 주장한다.

  • PDF

J. J. Schwab's life and His Ideas of Science Education (슈왑의 생애와 과학교육 사상)

  • Song, Jin-Wo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6 no.7
    • /
    • pp.856-869
    • /
    • 2006
  • J. J. Schwab is usually considered as the founder of the concept of scientific enquiry, perhaps the most important key word of science education of the 20th century. Mainly through the method of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reappraises Schwab's life as a science educator as well as a curriculum scholar, and his ideas concerning several important issues about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Like other eminent science educators, before the 1950s, who were originally talented scientists but later became engaged in educational activities, Schwab were trained and known as a genetic scientist, but later he concentrated on university reform, curriculum studies and science education. His academic interest was very diverse across different disciplines, from biology and science in general to history, philosophy and education. The essence of his theory of scientific enquiry was 'to teach science as science', and the best way to do it was 'to teach science as enquiry'. With enquiry, however, he tried to deliver some important but differentiated meanings, for example by distinguishing 'science as enquiry' and 'teaching as enquiry', and 'static enquiry' and 'fluid enquiry'. Scientific enquiry was the core concept upon which many of his ideas concerning science education and education in general were based, such as the diversity of science, textbooks, curriculum and roles of teachers. In summary, Schwab can be characterized as a rational reformist of science education, who tried to identify the very nature and goals of the discipline and to bring its substantial changes with concrete and practical guidelines. Nevertheless, some of his ideas, like the diversity of science and conceptual invention, have been handed down by his followers frequently with considerable distortion.

과학영재학교 교육과정 운영실태와 학생 반응분석

  • 문경근;박일영;박수경;정권순;추봉욱;곽미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
    • 2003.11a
    • /
    • pp.165-166
    • /
    • 2003
  • 2002년 3월부터 영재교육법 시행령이 적용됨에 따라 과학기술부에서는 교육인적자원부, 부산광역시 교육청과의 협약을 통하여 부산과학고등학교를 과학영재학교로 지정하였으며 2003년 3월 신입생 입학 이후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과학영재를 조기에 발굴하여 맞춤식 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천함으로써 지식기반 사회를 선도할 수 있는 창의적인 과학영재를 육성하려는 과학영재학교의 설립목적에 부합되도록 계획, 운영, 평가되기 위해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운영 전반에 대하여 점검 및 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과학영재학교 운영상의 주요 측면인 교육과정 운영 분야에 대하여 그 실태와 학생 반응을 분석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과학영재학교의 교육과정 기본 방침은 과학 분야에 대한 깊은 이해와 논리적, 비판적, 창의적 사고력과 태도를 통하여 지식을 창출하는 자기 주도적 탐구자의 양성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교육과정 편제는 교과, 자율연구, 위탁교육 및 특별활동으로 구성되어있다. 교과에는 국어, 사회, 외국어, 예체능을 포함하는 보통교과와 수학, 과학, 정보과학을 포함하는 전공교과가 있다(과학영재학교 교수요목안내서, 2003). 본 연구에서 교육과정 편제, R&E, 교수학습 및 평가의 하위 영역별로 그 실태와 각 영역별 학생 설문 결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학교 교육과정 편제 및 운영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심화 선택과목의 학점 비중을 더 높여야한다는 의견과 보통교과의 학점을 줄이고 전공교과의 학점을 늘려야 한다는 의견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상 학생들이 과학영재학교 선발과정에서 수학, 과학 각 분야별 우수자로 선발된 경우가 많아 학생 개인적으로 자신감을 가지는 과목만 집중적으로 학습하고자 하는 의도의 반영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영재교육과정의 운영지침(이상천, 2002)에 의하면, 대학 수준의 내용을 그대로 도입하는 속진보다 창의성과 사고력 계발에 보다 충실할 수 있도록 내용의 폭을 넓히고 접근방법을 달리하는 심화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운영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현재 개발된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은 창의성 교육의 구현보다는 압축형 속진 교육과정의 특성이 강하여, 이와 같은 운영지침을 실현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므로 교육과정 편제의 개선이나 운영지침에 적합한 교육내용의 개발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R&E(Research & Education)는‘연구를 통한 교육’,‘교육을 통한 연구’를 의미하며 과학영재교육과정의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자율연구와 위탁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