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과학박물관교육

Search Result 66,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Development of a Play-Learning Model in Science Museum (과학관 놀이-학습 모형 개발)

  • Kwon, Yi-Young;Jeong, Eu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6 no.2
    • /
    • pp.191-202
    • /
    • 2016
  • In this study, a science museum teaching-learning model was developed with emphasis on play. In order to do this, the models of factor-centered museum education and process-centered museum education were reviewed and characteristics of science museum education were considered. The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is called 'Play-Learning Model in Science Museum', and 'play' is defined as activities to achieve the mission in accordance with methods and rules set by individuals or small groups including scaffolding and play is divided into competition, simulation, and chance. 'Play-Learning Model in Science Museum' emphasizes learning using the articles on exhibition, scaffolding and interaction in small groups, and play. The model consists of four steps: 'Preparation', 'Exploring the exhibits', 'Experience', and 'Summary of learning content'. In the 'Preparation' step, the students form related knowledge and are ready to play. The 'Exploring the exhibits' step is the core step of this model, and entails the students solving problems in the mission by interacting with members of the small group. When they cannot find resolution, they get help. In the 'Experience' step, hands-on activities related to the prior step are included. In the 'Summary of learning content' step, the students summarize what they learned while playing. As science museum education is implemented in a variety of forms, continuous research about the science museum learning model and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are needed.

A Fundamental Study on the Fire Protection Management for Private Museum (사립박물관 소방분야 관리 실태에 관한 기초 연구)

  • Song, Chang-Young;Lee, J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331-334
    • /
    • 2015
  • 박물관은 예술과 과학 분야에서 귀중한 문화유산적 가치가 있는 소장품을 보관 전시하는 등 교양, 조사연구, 예술활동 등에 이바지하고 있다. 이러한 박물관의 소장품을 위협하는 요소 중 화재로 인한 피해는 소장품을 순식간에 파괴하여 복구 불능 상태가 될 수도 있어 가장 위험이 큰 재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34조의 6에서는('15년 12월 31일 시행), 다중이용시설 등의 소유자 관리자 또는 점유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위기상황에 대비한 매뉴얼을 작성 관리토록 되어있다. 하지만 연면적 $3,000m^2$ 이상의 대규모 사립박물관만 해당되며 대다수 사립박물관은 재정적으로 취약하고 소규모 시설로 인해 화재를 비롯한 각종 재난안전관리에 매우 취약하여 소중한 문화적 가치를 지닌 유물들이 소실될 수 있는 높은 위험성을 지니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중 소규모의 사립박물관 50개소를 선정하여 화재안전에 대비한 소방분야의 관리실태를 점검하고 향후 안전관리 교육 훈련 프로그램 또는 안전관리 매뉴얼 개발에 기초 자료로서 활용 될 수 있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A Study on Building Plan for Smart Guide Services Using Augmented Reality (증강현실을 이용한 스마트 가이드 관람 서비스 구축 방안)

  • Choi, Hun;Yoon, Young-Doo;Choi, Eun-Yo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7 no.11
    • /
    • pp.2723-2728
    • /
    • 2013
  • Due to the popularity of smart phones based on personal propensities and individual lifestyle changes customerized services is increasing interest in the individual. The system for personalized services make a difference in the public institutions, museum of science and history. In particular, museums and art galleries have a common motivation which is sightseeing. Museum for the history and science education a national purpose that is put, unlikely art gallery. Museum of science and History, unlike the theme parks have a combination of entertainment and education as a public institution is a large consensus.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exhibits raise a sufficient commitment to and the exhibits should be described by age. Using augmented reality combined with effective entertainment and education measures, we propose the effective smart guide service strategies for museum.

New Changes and Tasks of the Science Museum: Focusing on its relation to PUS (과학(박물)관의 새로운 변화와 우리의 과제: PUS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Leem So-Yeon;Hong Sung-Ook
    •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 /
    • v.5 no.2 s.10
    • /
    • pp.97-127
    • /
    • 2005
  • While science museums, whose functions consist traditionally in collecting, preserving, researching, and displaying science-related objects, present scientific knowledge, figures, or tools in the historical context, science centers give more emphases on science education by exposing interactive exhibits to their visitors. However, neither objects-oriented exhibits nor hands-on technologies can provide museum visitors with the full insight into modem science in terms of its complicated relationships to politics, economy, culture, art, risk, and environment. This paper argues that for the 21st century we need to establish a new kind of science museum through the critical examination of its previous kinds - science museums and science centers. In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the history of the first and second generations of science museums, including their recent trends in science centers, in the West will be elaborated. Secondly, the development of national science museums in Korea will be discussed specifically for the understanding of Korean science museums. The next part of this paper will seek for the possibilities of the third generation of science museums through three examples, which show interdisciplinary, contextual, and institutional approaches to change science museums or science centers. Fourthly, the social function of science museums as 'forum' will be discussed in relation to promoting public 'participation' of science as well as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As a conclusion, some practical suggestions and conceptual guidelines will be proposed for the future Korean national science museum.

  • PDF

Perceptions of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Regarding Natural History and Natural History Museums (자연사와 자연사 박물관에 대한 학생, 교사, 학부모들의 인식연구)

  • Choi, Ji-Eun;Kim, Chan-Jong;Lee, Chang-Jin;Lim, Jin-Young;Lee, Sun-Kyung;Byun, Ho-Seung;Sin, Myung-Kyung;Lee, Sun-Ky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4 no.5
    • /
    • pp.869-885
    • /
    • 2004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cquire a better understanding of how natural history(NH) and natural history museums(NHM) are perceived among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by administering a questionnaire. A total of over 2500 people participated in this survey. We developed the questionnaire which was categorized by three specific areas: 1) people's overall perceptions of natural history and natural history museums; 2)the way of people's getting such perceptions and knowledge; 3) people's possessing interests in NH and NHM. The summary of survey results included; firstly people had paid attention to nature and natural environments; secondly NH and NHM were not familiar to people, but they expressed their eagerness to learn about them; thirdly the first image occurred to people was dinosaur, when they recalled NH and NHM with describing them to be mysterious and education.; on the fourth, NH and NHM were informed through TV programs; lastly, most people responded that they never learned about NH and NHM in schools but they wanted to learn them.

논증과 스토리텔링의 조화를 통한 국립과천 과학관 전시물의 재배열: 우주와 지구 영역을 중심으로

  • Kim, Seong-Jin;Kim, Cheon-Hwi;O, Jun-Yeong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6 no.1
    • /
    • pp.79.1-79.1
    • /
    • 2011
  • 비형식교육의 장인 과학관은 전시물과 그 전시물을 설명한 판넬 등을 통하여 교육적 기능을 담당한다. 비형식 교육의 중요성 때문에, 과학관 전시는 전시물과 내용이 관람자와 교감하고 상호작용해야 할 뿐만 아니라 관람자에게 설득적으로 구성될 필요가 있으며, 하나의 공간에서 학습과 휴식이 어우러지면서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어야한다. 이러한 과학관 전시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가장 우선적으로 도입할 수 있는 방법이 스토리텔링이다. 스토리텔링은 '이야기하다'로서 관람객들에게 흥미 유발의 기능을 가지며, 그 효과가 단순 나열식보다 훨씬 크다. 하지만 스토리텔링기법에도 지식과 정보량에 있어서는 단점이 있다. 이것을 보완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전시물 설명에 논증 기법의 도입이 대두되고 있다. 즉, 거시적인 관점에서는 스토리텔링을 이용한 하나의 스토리를 도입하는 한편, 미시적인 관점에서는 논증의 구조를 따른 설명문을 이용한다면, 관람객들에게 흥미와 함께 지식과 정보를 모두 줄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논증과 스토리텔링의 조화된 결합을 통해 과학관의 전시를 재배열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거시적인 관점과 미시적인 관점에서의 점검기준으로 영국의 자연사 박물관과 국립과천과학관 자연사관 우주와 지구관의 전시물의 구조를 분석 하였다. 그 결과 영국의 자연사 박물관과는 달리 국립과천과학관의 전시물은 스토리 내용, 설명문의 내용, 체험위주의 전시물이 부족하였다. 따라서 현 과천과학관의 전시물에 대해 스토리텔링과 Booth 등(2008)과 Lawson(2003)의 논증과의 조화를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

논증식 배열을 통한 서대문 자연사 박물관 전시물 배열의 제안: 지구의 탄생을 중심으로

  • Jo, Myeong-Sin;Kim, Yong-Gi;O, Jun-Yeong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6 no.1
    • /
    • pp.80-80
    • /
    • 2011
  • 이 연구는 일종의 비형식 교육기관인, 과학관 전시물의 배열과 설명문의 구조에 대한 논증적 접근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한 접근을 통하여 서대문 자연사 과학관 전시물 배열의 문제점과 새로운 전시물 배열방식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첫째, 우리는 논증을 바탕으로 전시물 배열의 거시와 미시적 관점의 점검 기준을 설정하였다. 이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서대문 자연사 박물관 지구의 탄생분야의 전시의 배열에 대한 개선점을 제안한다. 분석은 Booth 등(2008)의 논증에 기초하여 공룡은 다른 동물들에 비해서 어떻게 그렇게 번창하였는가? 그 이유는 무엇인가? 무엇이 이 주장과 이유를 지지하는 증거인가? 질문들을 다루었다. 따라서 이러한 논증 식 전시물 배열이 서대문 자연사 박물관 전시 배열에 도입된다면 더 좋은 전시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결론 짓는다.

  • PDF